View : 237 Download: 0

오정희 소설에 나타난 취약성에 대한 연구

Title
오정희 소설에 나타난 취약성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Vulnerability in Oh Jung-hee's Novels : Based on Judith Butler's theory
Authors
Chen, Kanyu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Keywords
오정희, 주디스 버틀러, 취약성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미현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몸, 젠더, 생명에 주목하여, 오정희 작품 속에 대표적으로 등장하는 취약한 인간을 주디스 버틀러의 이론으로 포스트 주체로서의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의미를 탐구하는 것이다. 취약성이란 인간의 근본적인 조건이자 권력의 작동 속에 불행한 상태를 가리킨다. 그러나 취약한 인간은 비천한 지위만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이를 통해 각종 틀과 규범 자체의 문제점을 드러내는 것이다. 물론 오정희와 버틀러 사이에는 생활 연대와 국정(國情)의 차이가 있지만, 취약성은 전 인류 공통의 속성으로서 오정희 작품의 분석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다. 오정희의 작품에는 당시 문학 세계에서 흔치 않고 다소 일반적이지 않은 사람의 비참한 억압에 대한 많은 묘사가 나타난다. 이류(異類)로 간주하는 이들은 각종 폭력에 의해 좌지우지되는 꼭두각시가 아니라, 포스트 주체로서 가정이나 사회에서 수동 상태에서 능동 상태로 바꾸며 권력 내부에 균열을 형성시킨다. 오정희 소설에 이런 새로운 의미를 탐구하기 위해 다음의 세 장으로 나누어 다른 차원의 취약성에 대해 오정희 소설을 분석한다. Ⅱ장 여러 표징으로 구현되고 경계화된 몸의 묘사를 중심으로 한다. 몸은 오랫동안 정신적 숭고함과 대립하고 배제돼 오기 때문에 전형적인 취약성을 드러낸다. 특히 글쓰기를 통해 몸에 대한 부정적인 묘사와 몸에 대한 각종 폭력적 피해가 구체화된다. 이 바탕 위에서 가부장적 문화 가치관에 기초한 각종 이원적 대립이 파생된다. 이러한 외부 환경 속에서 몸은 여러 가지 표징으로 몸의 취약성을 드러낸다. 그러나 버틀러는 신체적 취약성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반대하고, 몸의 문화적 은유 기능을 주장한다. 버틀러 몸의 물질성보다 몸의 물질성이 어떻게 한 구성적 제약에서 감지되고 이해되는지, 즉 물질화 과정에 초점을 맞춘다. 계보학의 방식으로 몸에 작용하는 각종 폭력을 폭로하는 동시에 주체가 신체적 경험과 욕망을 표현함으로써 능동성을 획득한다. 오정희의 작품에는 몸에 대한 섬세한 묘사가 많다. 이러한 몸에 대한 묘사는 인물의 이미지를 부각하는 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인물의 비참한 운명을 되돌아보고 분석하는 공간이 된다. 그리하여 이런 위태로운 몸들은 더 이상 죄의식으로 낙인찍히면서 물질로 간주되는 비체가 아니다. 몸의 경계는 사회의 경계로 다시 인식되고 몸을 통해 구성적 제약을 밝힌다. 이를 통해 위태로운 몸의 저항력과 생명력을 보여준다. Ⅲ장 젠더 규범에 눌린 작중인물을 중심으로 한다. 오랫동안 여성은 하나의 집단으로서 어떤 비슷한 특징과 경험을 가진 것으로 여겨져 온다. 이런 규범은 젠더를 이원화하여 남성과 여성으로 구분한다. 이에 따라 형성된 이성애적 매트릭스는 끊임없이 가부장제를 안정시키고 있다. 반면 이성애적 매트릭스 밖에서 처하거나 가부장제 호명에 응답하지 않는 사람은 정체성을 얻을 수 없으며 불안한 처지에 갇힌다. 그러나 버틀러는 젠더의 허구성과 수행성을 제시한다. 버틀러는 젠더를 남성과 여성 두 가지 범주로 분류하지 않으며, 젠더는 사회에서 자발적인 선택이 아니라 담론에 만들어지고 주장한다. 물론 담론 밖에 있는 사람은 없지만, 수행성이라는 개념은 젠더를 이원 대립에서 구해내며 젠더를 명사가 아닌 동사로 정의한다. 오정희의 작품에는 독특하게 불안정한 젠더 속성을 가진 인물들을 등장한다. 이 작중인물들은 권력의 호명에 응답하고 가부장제 질서를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권력의 안정을 유지하는 반복 인용 과정에서 여러 탈(脫) 인용의 형식과 반(反)이성애 관계를 생긴다. 이 작중인물들은 보장받지 못한 채 사회에 어렵고 불안하게 생존을 유지하지만, 젠더의 인위성과 젠더 규범의 폭력성을 밝히는 권력의 내부 내파(內破)의 힘을 가진다. Ⅳ장 전후 트라우마를 입는 생명 및 생명 간의 단절 상태를 중심으로 한다. 전쟁 시기에 생명 상실의 트라우마가 주체에 미치는 영향은 지속적이다. 또 전쟁의 폭력성으로 인해 생명과 생명의 관계가 단절되고 주체에 대해 정체불명 등 엄청난 파괴성을 일으킨다. 전쟁 시기가 아닌 때에도 국가는 공적 권력 배분 불균형과 애도의 가치 부인을 통해 폭력을 만들어다. 이로 인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즉, 모든 인간이 생명의 주체로 간주할 수 있는 것이 아니며 생명의 취약성이 드러난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버틀러는 생명을 생명 권력의 틀 안에 두고 그 현실적 지위와 처지를 생각하며 생명을 새롭게 인식하는 일련의 생명 질서를 구축해야 한다는 것을 주장한다. 그 핵심은 주체와 타자 간의 상호의존성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애도에 대한 재정의다. 오정희의 작품에는 전쟁의 폭력성 때문에 상처를 입거나 공적 권력의 분배가 고르지 못해 생명의 가치를 빼앗긴 인물들이 등장한다. 그러나 이 작중인물들은 폭력에 의한 생명의 피해를 수동적으로 받아들이기보다는 윤리의 책임을 지고 생명을 규정하는 기존의 틀을 깨고 부정한다. 사람과 사람 사이의 상호의존적인 관계를 새롭게 구축함으로써 모든 생명, 특히 이미 벌거벗은 생명들을 구원한다. 자신뿐만 아니라 타인에게도 살만한 삶의 권력을 얻게 하는 것이다. 오정희 작품 속 인물은 권력 속에 있는 인간의 상처받기 쉬운 속성과 불안한 상태를 보여주면서도 권력의 작동을 되돌아보는 시각도 제공하여 은폐한 각종 폭력의 존재를 증명하고 대항할 수 있으니, 버틀러의 취약성이라는 개념의 특질을 구현해 낸다. 그리하여 오정희의 작중인물들은 더 이상 비체화되고 병리화된 부정적인 인물로만 해석될 수 없으며, 현실의 재현으로서 다양한 삶의 취양성을 보여주는 인물들이라 볼 수 있다. 이들이 보여주는 취약성은 권력의 폭력적 작동을 재현하는 장치뿐 아니라, 권력 내부에 균열을 일으켜 폭력에 맞서는 원천이기도 하다. 이에 오정희의 작품에 나타난 취약성을 살펴보는 일은 작중인물들을 능동적인 포스트 주체로 주목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의미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active and proactive meaning of the vulnerable human as a post-subject, focusing on body, gender, and life within the works of Oh Jung-hee, using Judith Butler's theory. Vulnerability refers to the fundamental condition of human beings and the unfortunate condition within the operation of power. However, the depiction of vulnerable humans in Oh Jung-hee's works goes beyond portraying a humble status; it reveals the problems within various frameworks and norms themselves. While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living conditions and national circumstances between Oh Jung-hee and Butler, vulnerability can be applied as a common attribute of all humanity even in the analysis of Oh Jung-hee's novels. Oh Jung-hee's novels show many descriptions of the miserable oppression of someone was not common in the literary world at that time. These people who are considered as “others” are not swayed by all kinds of violence. As post-subjects, they change the state of unrest from passive to active within the family or society, thus forming a rift within the power. In order to explore this new meaning in Oh Jung-hee's novels, it is divided into the following three chapters to analyze different perspectives of vulnerability. Chapter II focuses on the description of the body, which is implemented and delineated through various symbols. The body has long been at odds with and excluded from spiritual sublime, it exhibits a typical vulnerability. In particular, negative descriptions of the body and various violent damages to the body are embodied through writing. Based on this foundation, various binary oppositions rooted in patriarchal cultural values emerge. In this external environment, the body reveals its vulnerability through various symbols. Butler, however, opposes the negative perception of physical vulnerability and argues for the body's cultural metaphor function. For Butler, it focuses on how the materiality of the body is detected and understood under one compositional constraint, that is, the process of materialization. In the method of genealogy, various violence that acts on the body is exposed, and at the same time, the subject gains activity by expressing bodily experiences and desires. Oh Jung-hee's novels have many delicate depictions of the body. This depiction of the body not only helps to highlight the image of the figure, but also becomes a space for reflection and analysis of the tragic fate of the character. Thus, these precarious bodies are no longer bodies that are branded with guilt and regarded as material. The boundaries of the body are recognised as the boundaries of society, and constitutive constraints are revealed through the body. Through this, it shows the resistance and vitality of the precarious body. Chapter III focuses on the characters in the novels who are pressed by gender norms. For a long time, women have been regarded as a group with similar characteristics and experiences. These norms dichotomize gender into male and female, and the resulting heterosexual matrix constantly reinforces patriarchy. On the other hand, those who find themselves outside the heterosexual matrix or who do not respond to the patriarchal are unable to acquire an identity and are trapped in an insecure position. Butler, however, presents the falsity and performativity of gender. Butler does not categorize gender into two binary categories of male and female, asserting that gender is created and thought of in discourse, not as a voluntary choice in society. Of course, no one is outside the discourse, but the concept of performativity rescues gender from binary opposition and defines gender as a verb rather than a noun. Oh Jung-hee's novels feature characters with uniquely precarious gender attributes. These characters respond to the call of power and perform the patriarchal order. However, in the process of repeated citations that maintain the stability of power, various forms of de-citation and anti-heterosexual relations arise. The characters in novels maintain a difficult and unstable survival in society without being guaranteed, but they have the implosion power to reveal the humanity of gender and the violence of gender norms. Chapter IV focuses on the traumatic life after the war and the disconnection between lives. The trauma of loss of life in times of war has a lasting impact on subjects. Moreover, the violence of the war breaks the relationship between lives, causing tremendous destruction such as unidentified subjects.  Even outside the wartime period, violence arises from the state's imbalance in the distribution of public power and the denial of the value of mourning. This can lead to problems. In other words, not all humans can be regarded as the subject of life, and the vulnerability of life is revealed. Thus, Butler argues that life should be placed within the framework of life power, and a series of life orders that newly recognize life by thinking about its realistic status and situation. At its core is the accurate recognition of the interdependence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ther, and the redefinition of mourning. In Oh Jung-hee's novels, there are characters who are hurt by the violence of war or who are deprived of the value of life due to the uneven distribution of public power. However, rather than passively accepting the damage to life caused by violence, these characters take responsibility for ethics and break the existing framework that defines life. By renewing the interdependent relationship between people, we save all lives, especially those that are already naked. It gives you the power to live not only for yourself but also for others. The characters in Oh Jung-hee's work embody the peculiarities of Butler's concept of vulnerability, as they show the vulnerable nature and insecure state of human beings in power, but also provide a perspective on the operation of power, proving the existence of various hidden violence and countering it. Thus, Oh Jung-hee's characters can no longer be interpreted only as abjected and pathologized negative characters, but as representations of reality, they show the vulnerability of various lives. The vulnerability they exhibit is not only a device for replicating the violent workings of power, but also a source of confrontation with violence by creating cracks within power. Therefore, focusing the vulnerability in Oh Jung-hee's novels will be meaningful in that it allows us to draw attention to the characters as active post-subjec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