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43 Download: 0

유아교육에서는 학교폭력을 어떻게 보아야 하는가?

Title
유아교육에서는 학교폭력을 어떻게 보아야 하는가?
Other Titles
How should school violence be consider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Kindergarten teachers’ experience and understanding
Authors
한산섬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박은혜
Abstract
본 연구는 유치원교사의 학교폭력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학교폭력으로 인식하는 특성을 탐구함으로써 유아교육에서 학교폭력에 대한 관심을 촉구하고 유치원교사가 교육현장에서 발생하는 폭력적인 문제에 대한 인식의 방향을 설정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아래와 같다. 1. 학교폭력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2. 학교폭력은 어떠한 특성을 갖는가? 3. 유아교육에서는 학교폭력을 어떻게 보아야 하는가? 4. 유아교육현장의 폭력적인 문제에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가? 본 연구의 연구참여자는 서울 및 경기도 소재의 공립 및 사립유치원에서 근무하는 현직 담임교사 15명이다. 학교폭력에 대한 유치원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질적연구방법인 심층 그룹 면담을 사용하였다. 면담은 2023년 3월 18일부터 2023년 4월 30일까지 약 한 달 반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한 그룹당 약 120분-150분간 실시되었다. 면담 시 면담 내용은 모두 녹음하고 전사하였으며, 수집한 자료는 질적분석방법을 통해 결과를 정리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폭력의 심각성과 시대에 따라 변화하는 학교폭력의 양상 및 인식은 유아교육에서도 유치원교사의 학교폭력에 대한 인식의 필요성을 가지게 하였다. 특히 학교폭력이 초등학교에 가면 새롭게 갑자기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유아기에 형성된 인성과 유아기의 경험이 학교폭력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유아교육에서부터 학교폭력에 대한 관심과 인식이 요구된다. 둘째, 유치원교사들이 인식하는 학교폭력의 특성은 의도성, 강제성, 지속성, 힘의 불균형, 피해 주체의 관점, 신체적·정신적 상해 유발과 회복 여부, 중재자의 개입 정도, 사회적 수용 여부와 같이 8가지로 정리할 수 있었다. 학교폭력에 해당하는 행동을 한 것에는 동기나 원인, 당시 상황 등의 맥락이 있기 때문에 단순히 행동 유형만을 가지고, 혹은 단 하나의 특성만을 가지고 학교폭력으로 판단하고 단정 짓는 것이 아니라, 위와 같이 학교폭력이 가질 수 있는 다양한 특성을 복합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유치원교사가 가지는 개인적인 윤리적, 도덕적 기준도 학교폭력으로 인식하는 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교육전문가로서의 인성 형성과 유지가 중요하다. 셋째, 유아교육에서 주체의 특성을 고려한다면, 유아교육의 맥락에서 학교폭력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에 조심스럽고 다소 부정적으로 보았다. 교육구성원 간 관계에 존재하는 학교폭력 특성을 가진 문제들은 학교폭력이라 칭할 수는 없으나 ‘폭력적인 문제’로서 보아야 하며, 그것은 모든 각 교육구성원에게 직·간접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한다면, 유아교육현장에서의 폭력적인 문제는 모든 교육구성원 간 관계성 속에서 양방향적으로 보고 해결되고 예방될 필요가 있다. 넷째, 유아교육현장의 모든 교육구성원 간 관계 속에 존재하는 폭력적인 문제의 부정적인 결과와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적절한 대처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한편으로 교사들이 적절하면서도 보다 적극적인 대처를 하기 위하여 교육전문가로서 가지는 주체성을 보호하고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적 차원에서의 진단과 보완이 필요하였다. 본 연구는 학교폭력에 대한 유치원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 경험과 이해의 현황을 제시함으로써 유아교육에서도 학교폭력이라는 주제에 대한 관심을 촉구하고, 유아교육현장에 존재하는 폭력적인 문제를 교육구성원 간 분절된 관계가 아닌 모든 교육구성원을 아우르는 관계 중심적이면서 양방향적인 관점으로 볼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는 데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교폭력을 예방하기 위하여 유아교육에서부터 유치원교사는 교육현장에 존재하는 폭력적인 문제에 대해 민감한 인식을 가질 필요성을 제기하였으며, 상호 존중하는 분위기의 교육현장을 만들기 위하여 교사양성과정에서부터 역량을 기르고 현장에 있는 교원을 위한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mote interest in school violenc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o set direc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of violent problems in the educational field by examining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of school violence and studying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 violence. The research question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y should we have interest in school violence? 2. What characteristics does school violence have? 3. How should school violence be consider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4. How should we handle the violent problem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15 teachers working at public or private kindergartens in Seoul and Gyeonggi-do. To find out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of school violence, in-depth group interview,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used. The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a month and a half from March 18, 2023 to April 30, 2023, and took about 120-150 minutes per group. All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and to get the results, the data were organized through a qualitative analysis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seriousness of school violence and the changing aspects and perception of school violence made it necessary for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of school violenc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particular, interest and awareness of school violence are requir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because school violence does not appear suddenly when children go to elementary school, and personality and experiences formed in early childhood can affect school violence behavior.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 violence recognized by kindergarten teachers could be organized to eight categories: intention, forcement, persistence, power imbalance, victim's perspective, physical and mental injury caused and recovered, degree of mediator's intervention, and social acceptance. Since the behavior corresponding to school violence has a context such as motivation, cause, and situation at the tim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various characteristics of school violence as described above, rather than simply judging it as school violence with only one behavior type or characteristic. In addition, it is important to form and maintain a personality as an educational expert since the kindergarten teachers’ personal ethical and moral standards can also affect the perception of school violence. Thir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use of the term school violenc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was cautious and somewhat negative. Problem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 violence that exi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members cannot be called as “school violence”, but should be considered as "violent problems", which directly and indirectly had a negative impact on all educational members. Considering this, violent problem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need to be solved and prevented in both direction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ll educational members. Fourth, appropriate measures were being taken to minimize the negative consequences and effects of violent problem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ll educational memb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take an appropriate and more active response, diagnosis and supplementation at the institutional level were needed to protect and demonstrate the agency of educational experts. By studying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of school violence and presenting the current status of experience and understanding, this study is meaningful to urge attention to the topic of school violenc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o present that the violent problem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should be considered as relationship centered and two-way relationship between all educational members, not as separated relationship.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kindergarten teachers need to have a sensitive perception of violent problems that exis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and it was suggested that competence should be enhanced through the teacher training course and institutional support for teachers in the field is needed to create a mutually respectful educational fiel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