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79 Download: 0

학령전기 언어발달지연 아동의 기능적 의사소통을 위한 리듬 기반 노래부르기 프로그램

Title
학령전기 언어발달지연 아동의 기능적 의사소통을 위한 리듬 기반 노래부르기 프로그램
Other Titles
A Rhythm-Based Singing Program for Enhancing Functional Communication in Pre-School Children with Language Delay
Authors
강예솔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치료학과
Keywords
언어발달지연 아동, 리듬 기반 노래부르기, 기능적 의사소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유가을
Abstract
본 연구는 리듬 기반 노래부르기 프로그램을 언어발달지연 아동에게 적용하여 기능적 의사소통에 미치는 변화를 확인하고자 한 사례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언어처리와 리듬처리 간 관련성 및 타이밍 처리 과정을 통해 언어발달을 촉진할 수 있다는 기제를 바탕으로 타이밍 처리를 위한 리듬 동조화(1단계), 어휘 내재화를 위한 말 리듬 찬팅(2단계), 의사소통 상황이 반영된 구조에서의 리듬기반 노래부르기(3단계)의 총 3단계의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대상자는 서울 소재 통합 어린이집에 다니는 평균 만 3세 아동으로 언어발달 지연 범주에 속한 총 3명의 아동이다. 각 아동에게 주 2회, 회기별 30분, 총 12회기 세션의 개별 중재가 진행되었으며 사전과 사후 기능적 의사소통이 요구되는 악기 연주 중심의 놀이 상황에서 나타나는 발화 시도나 수준, 발화의 적절성을 평정 및 분석하였다. 또한, 회기별로 구조화된 질문-응답 형태의 노래부르기 상황에서 아동의 의사소통 행동을 관찰하여 기능적 의사소통의 발화 시도나 수준, 발화의 적절성을 분석하였다. 프로그램의 참여한 총 3명의 언어발달지연 아동에게 사전 사후에 평정된 의사소통 행동을 각 의사소통 기능별로 분석하였을 때, 요구하기 행동에 대한 평정 점수는 사전 4.6점에서 사후 6.9점, 응답하기에 대한 점수는 사전 평균 4.3점에서 사후 평균 7.6점, 객관적 질문하기의 경우 사전 1.3점에서 사후 3.6점, 주관적 진술하기의 경우에는 사전 1.3점에서 사후 2.6점으로 증가하여 대부분에 기능에서 참여 아동의 평정 점수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회기별로 구조화된 질문 상황에서 나타난 행동을 평정한 결과는 첫 회기 평균 1.3점에서 마지막 회기 3.3점으로 상승하는 변화가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리듬기반 노래부르기 활동이 언어발달지연 아동의 기능적 의사소통에서의 발화 시도나 수준에 있어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는 선행 연구를 통해 확인된 언어발달을 위한 리듬의 치료적 적용 기제를 토대로 실제적인 음악치료 중재 프로그램으로 구성될 수 가능성을 보여준 결과로 언어발달지연 아동의 고유한 필요에 부합하는 치료적 프로그램의 다양화가 필요한 시점에서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중재 내용과 전략을 제시한 데 그 의의가 있다. 또한 추후 연구에서는 보다 다양화된 의사소통의 맥락과 콘텐츠의 활용, 또래를 포함한 자연스러운 의사소통 환경의 적용 등을 활용하여 리듬 기반 중재의 확장 가능성을 확인할 것을 제언한다.;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change in the rhythm-based singing program on the functional communication of children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The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an average 3-year-old child attending an integrated daycare center in Seoul, and a total of 3 children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participated. The research procedure was conducted twice a week, 30 minutes per session, and a total of 12 sessions of individual music therapy. The program conducted in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rhythm-based singing activity based on prior research that it can promote language development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processing and rhythm processing in language development and auditory timing processing. In order to measure changes in functional communication, the attempt, level, and appropriateness of speech in children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were evaluated by video observation and analysis, and data were calculated. As a result of the study, a total of three children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showed positive changes in functional communi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치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