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34 Download: 0

임옥인 단편소설의 여성 유토피아 공간 연구

Title
임옥인 단편소설의 여성 유토피아 공간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Women’s Utopia in Im Ok-in’s Stories
Authors
윤도연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미현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pace of female utopia among Im Ok-in's short stories. Lim Ok-in, a writer immigrated from North Korea and female writer, is a prolific writer who has written more than 40 short stories, more than 10 long novels, and more than 10 essays, including her representative work Wolnamjeonhu (Before and after the immigration to South)" Nevertheless, research on Im Ok-in is insignificant, and the majority of them are related to her identity as a "Vietnam female writer" or a "Christian writer." In addition, her novels, which mainly depict romantic love, are criticized for not being realistic and following the patriarchal system. However, in Lim Ok-in's novel, there are gestures of resistance and language of cracks by female subjects who were unable to actively protest against patriarchy in chaotic times.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find the utopia space that women of the time had or dreamed of, focusing on Lim Ok-in's short stories, which were not previously noted. At this time, the study of utopia aims to refer to the theories of Frankfurt theorists who wanted to bring utopia into the real space. Feminist Frankfurt scholar Seyla Benhabib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a community that includes others by referring to the critical theory that Max Horkheimer named "human liberation planning” and Jürgen Habermas' "communication behavior theory." She also calls for the discovery of "specific others" through non-institutional norms such as "desire" and "solidarity," which were considered inferior, bringing the internal nature (instinct) suppressed by ‘normal’ moral discourse. Chapter 2 examines the body as a space where people can affirm otherness. Modern bodies, which began to be regulated by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medicine, defined only healthy male bodies that could participate in labor and war as “normal.“ At this time, men who have physical disabilities due to huge narratives such as liberation and war lose mobility, are kicked back, and become another batter who suppresses others. On the other hand, women appear as characters with congenital disabilities. In a patriarchal society, women who were already in charge of the area of "abnormal" as a healthy normal male body type become "abnormal" due to disability. Chapter 3 examines the family as a place to rebuild love. Since the ‘sweet home‘ ideology through romantic love was actually only one norm for maintaining a male-centered family, heterosexual and blood-centered families are described as unfortunate spaces for women. On the other hand, families based on love, not institutions, appear as solidarity families beyond capitalism. This family is a space expanded to a neighboring community or a living community and a space of solidarity love that includes others. The chapters 4 is the transboundary space of the public domain. Existing education and labor were referred to as the domain of men. Only men could acquire knowledge as intellectuals, and this gender hierarchical knowledge led to an exclusive public space. On the other hand, women's labor was private and consumed as 'natural' and something obvious. Women in Lim Ok-in's novel change their labor to the labor of women with a desire for ownership, not just care labor at the level of service. In addition, they actively enjoy their desire for knowledge without hiding it and create their heterogeneous public sphere in the public domain of gender-based hierarchical men. Since this public forum is a communication space based on equality, it will be able to crack the existing exclusive public space. In Lim Ok-in's novel, independent female subjects who do not hide their desires appear. They form a community in solidarity with others with non-institutional norms such as love and friendship. The others who have become each other's "specific others" become able to communicate truly, and their community has a utopian personality. In a male-centered society, the utopia space through true communication between others will be a space that not only brings about solidarity with others but also a crack in patriarchy. ;본 연구의 목적은 임옥인 단편소설 중 여성 유토피아 공간을 탐색하는데 있다. 월남민이자 여성 작가였던 임옥인은 대표작 『월남전후』를 비롯해 단편소설 40편 이상, 장편소설 10여권 이상, 수필집 10여권 이상을 집필한 다작 작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임옥인에 대한 연구는 미미하며, 그마저도 ‘월남 여성작가’ 혹은 ‘기독교 작가’라는 그의 정체성과 결부된 연구가 다수를 차지한다. 뿐만 아니라 낭만적 사랑을 주로 그리고 있는 그의 소설이 현실 저항적이지 않으며 가부장제를 그대로 답습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그러나 임옥인 소설 속에는 혼란한 시대상에서 가부장제를 향한 적극적인 항쟁을 할 수 없었던 여성 주체들의 저항의 몸짓과 균열의 언어들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고는 기존에 주목되지 않았던 임옥인의 단편소설을 중점으로 당대 여성들이 꾸려나갔던 혹은 꿈 꾸었던 유토피아 공간을 찾아보고자 한다. 이때 유토피아 연구는 유토피아를 현실의 공간으로 가져오고자 했던 프랑크푸르트 이론가들의 이론을 참고하고자 한다. 페미니스트 프랑크푸르트 학자 벤하비브는 호르크하이머가 ‘인간 해방 기획’이라고 명명했던 비판 이론과 하버마스의 ‘의사소통행위이론’을 참고하여 타자를 포함하는 공동체의 중요성을 역설한다. 또한 그는 기존 도덕 이론에서 억압당했던 내적 자연(본성)을 도덕적 담론 내로 가져오며, 열등한 것이라 간주되었던 ‘욕구’와 ‘연대’와 같은 비제도적 규범들을 통해 ‘구체적 타자’를 발견할 것을 주장한다. 2장에서는 타자성을 긍정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의 신체를 살핀다. 과학과 의학의 발전으로 규율되기 시작한 근대의 신체는 노동·전쟁 등에 참여 가능한 건강한 남성 신체만을 ‘정상’으로 규정지었다. 이때 해방과 전쟁 등의 거대 서사로 신체적 장애를 가지게 된 남성들은 이동성을 잃고 후방으로 쫓겨나게 되며 타자를 억압하는 또 다른 타자가 된다. 반면 여성들은 선천적 장애를 가진 인물들로 등장한다. 가부장제 사회에서 건강한 정상 남성 신체의 타자로 이미 ‘비정상’의 영역을 담당하고 있었던 여성은, 장애로 인해 ‘비정상’의 ‘비정상’이 된다. 3장은 사랑의 재구축 공간으로써 가정을 살핀다. 낭만적 사랑을 경유한 스위트홈 이데올로기는 사실상 남성중심적인 가정을 유지시키기 위한 하나의 규범에 불과하였기 때문에, 이성애·혈연중심적 가정은 여성에게 불운한 공간으로 묘사된다. 반면 제도가 아닌 사랑을 기준으로 이루어진 가정은 자본주의를 넘어서는 연대적 가정으로 등장한다. 이러한 가정은 이웃 공동체 혹은 생활 공동체로 확대된 공간이며 타자들을 포함하는 연대적 사랑의 공간이다. 마지막 4장은 공적 영역의 탈경계적 공간이다. 기존의 교육과 노동은 남성들의 영역으로 일컬어졌다. 남성들만이 지식인으로서 지식 습득이 가능했고, 이러한 성별위계적인 지식은 배타적인 공적 공간으로 이어졌다. 반면 여성들의 노동은 사적인 것이며 ‘당연한 것’으로 소비되었다. 임옥인 소설 속 여성들은 자신들의 노동을 단순한 봉사 차원의 돌봄노동이 아닌, 소유 욕망을 가진 여성들의 노동으로 변경한다. 또한 지식에 대한 자신들의 욕구를 숨기지 않고 적극적으로 향유하며 기존의 성별위계적인 남성들의 공적 영역에 자신들의 이질적 공론장을 만들어낸다. 이러한 공론장은 평등을 기반으로 한 의사소통적 공간이기에 기존의 배타적인 공적 공간에 균열을 가할 수 있을 것이다. 임옥인 소설 속에서는 이렇게 자신들의 욕망을 숨기지 않는 주체적인 여성 주체들이 등장한다. 이들은 타자들과 사랑과 우정과 같은 비제도적 규범들로 연대하며 하나의 공동체를 꾸린다. 서로의 ‘구체적 타자’가 된 타자들은 진정한 의사소통이 가능해지며 그들의 공동체는 유토피아적 성격을 가지게 된다. 남성중심적 사회에서 타자들 간의 진정한 의사소통을 통한 유토피아 공간은, 타자들과의 연대뿐만 아니라 가부장제에 균열을 가져오는 공간이 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