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44 Download: 0

니트 소재 구성 요소를 활용한 니트 패션 디자인

Title
니트 소재 구성 요소를 활용한 니트 패션 디자인
Other Titles
Development of Knit Fashion Designs Applied Diverse Knit Material Components
Authors
이연희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패션디자인전공
Keywords
니트소재구성요소, 원사, 게이지, 조직, 니트패션디자인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박선희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use of knit material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knit material components such as yarn, gauge, and various stitches in the planning and production steps of knit fashion design and by conducting production practices. Ultimately, this study aims to present useful and substantial data for knit fashion design projects. In addition, actual cases of knit fashion in use of knit material components are analyzed, and various and creative ways of utilizing knit materials are suggested by presenting practical examples of knit fashion design. As to study methods,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on previous studies and related references to examine the concept and structure of knitwear as well as the history of knit fashion changes and developments. A process of knit fashion design applying material components to knit design is suggested.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knit stitches and stitch properties, this study compares stitches with the same yarn, course, and wale used.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various knit samples of fancy yarns were designed and compared with the original yarn. The knit state of fancy yarns was varied and different from that of the original yarn. Specifically, the weight and size if each stitch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plain flat stitch. When the same numbers of needling and revolution were applied, the all-needle stitch was the heaviest and largest among basic stitches. As to rib change stitches, the Milano stitch was the heaviest and hard. The revolution count also was the highest. Second,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he gauge, the swatch of each gauge was stitched with ends of the same yarn, and then the weight and size were compared. When the size was the same, each gauge type showed the following significant difference: Gauge 12: 2 ends and 17.3g; Gauge 7: 4 ends and 23.8g; Gauge 5: 6 ends and 28.7g; and Gauge 3: 15 ends and 41g. Therefore, it was verified that the low-gauge knit design should utilize a light and thick yarn. Third, as to color jacquard stitches, the normal jacquard was the heaviest. Currently, this knit is not often used. Bird Eye Jacquard, which is commonly used in the industry, was the second heaviest. The results above show that there were various knit stitches, and that the design should be decided in consideration of the yarn's knit cost. The following section is about actual cases of using knit fashion design components among modern collections. Analysis results are as below: As to knit material yarns, various fancy yarns were utilized including the straight yarn. Many recent designs combine the straight yarn and various fancy yarns. Particularly, men's wear utilized a variety of yarn materials. Second, a gauge is also used depending on the yarn. As materials for spring and summer seasons are developed actively, many knitwear products for S/S seasons are available in the market. From ultrahigh gauges to low gauges, various knit designs are developed. Third, many different stitches also emerged, but basically, varied stitches were used with the plain stitch as the basis. One noteworthy aspect was that the intarsia stitch, which was not highly available because of the high price, is widely used now. Finally, this study presents 6 knit samples for women in use of knit fashion designs. Various yarns, gauges, and stitches were used for these designs. First, the stripe stitch and space dyeing yarn were used to represent the stripe mood of various colors. The design combined simplicity and diversity at the same time. Second, the design of modified leaf stitches used the hairy mohair yarn for a massing image. Third, a variety of modified stitches were utilized to pursue variety in addition to the basic stitch form. 12 stitches were used to complete products of simple and feminine design. Fourth, the design using the color jacquard floating technique was based on the traditional fair isle stitch. The plain and reverse patterns were combined in pursuit of diversity. The modified cable stitch as well utilized the traditional Aran pattern for modernized design. This stitch is useful for design patterns that combine traditional and modern elements. Fifth, the cape-type hood coat was suggested with the design using the color tubular jacquard. The tubular jacquard was designed with the stitch for receivable dressing. For the inseam in the sewing step, ribbon tapes were utilized. Now that sustainability is a keyword for humanity, knit materials can be widely used for various sustainable designs in line with such concepts as eco-friendliness, recycling, and zero waste. For knit materials and designs to be utilized, however,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knit fashion design processes and production methods based on knit material components. It is expected that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diversified and creative knit fashion designs are developed and that various future studies are conducted for eco-friendly knit design.;니트웨어는 다변화하는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는 고부가가치 상품으로 변화되고 있으며, 소비자 라이프스타일에 최적화된 아이템으로 지속적인 연구와 개발이 필요하다. 니트 패션 디자인은 다양한 원사의 활용, 편직 과정에서 다양한 원사와 게이지의 조절, 조직의 변화 등으로 다양하고 독창적인 변화를 시도할 수 있다. 또한 여러 장식기법을 추가로 하여 다른 변화를 줄 수 있어 디자이너의 창의성이 돋보일 수 있는 디자인 분야로 최근 다양하고 폭넓은 디자인으로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니트 디자인은 일반적인 직물 우븐 디자인과 달리, 니팅 방법 및 조직 등 기술력이 수반되어야 하는 디자인 분야로 니트 생산 및 기술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갖추지 않으면 쉽게 디자인에 접근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니트 패션 디자인의 기획 및 생산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니트 소재를 구성하는 원사, 게이지, 다양한 조직에 대한 이해와 이를 적용한 실물 작업 진행을 통하여 니트 소재 활용의 이해를 높이고, 니트 패션 제품 생산을 진행하는 프로세스를 제안하여 니트 패션 디자인 전개를 위한 실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니트 소재를 구성하는 원사, 게이지, 다양한 조직을 활용한 니트 패션 사례를 조사 분석하고, 실제 니트 패션 디자인을 전개하여 다양하고 창의적인 니트 소재의 활용 효과를 제안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선행연구 및 문헌 조사를 통하여 니트의 개념 및 구조, 니트 패션의 변화와 발전에 대하여 조사하였으며, 니트 산업 현장에서 진행되는 과정을 참고하여 니트 디자인의 소재 구성 요소와 제작 방법을 적용한 니트 패션디자인 프로세스를 제안하였다. 또한 니트 조직에 대한 이해와 조직 물성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각 조직별 편직을 동일한 원사, 편침, 회전수(단수)를 동일하게 편직하고 비교하였다. 컬러 활용을 위한 조직으로 7종류의 컬러 자카드와 인타시아 편직도 동일한 조건으로 편직 비교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원사의 시직을 진행하여 원사와 편직 후 원단 상태를 비교할 수 있었다. 플레인 평편 조직을 기준으로 중량과 사이즈가 조직마다 다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동일한 침수와 회전수를 적용하였을 때 기본 조직은 올니들 조직이 사이즈와 중량에서 제일 무겁고 크게 편직되었다. 리브 변화조직은 밀라노 조직이 회전수가 많으며 중량도 가장 무거웠으며, 단단하게 편직되었다. 장식사는 원사의 느낌과 다르게 다양한 편직 상태를 확인 할 수 있었다. 둘째, 원사 활용에 따른 게이지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동일한 원사의 합사(ends)를 활용한 게이지별 스와치를 편직, 중량과 사이즈를 비교하였다. 같은 사이즈 대비 12게이지는 2합사에 17.3g이었으며, 7게이지는 4합사로 23.8g, 5게이지는 6합사로 28.7g, 3게이지는 15합사로 41g의 큰 차이가 나타났다. 이에 로우 게이지의 니트 디자인은 가볍고 굵기가 굵은 원사의 활용으로 결정해야 적정함을 확인하였다. 셋째, 컬러 자카드 조직은 노멀자카드가 중량이 가장 많이 나왔으나 현재 잘 활용되지 않는 편직으로, 현재 업체에서 활용도가 높은 버드아이 자카드가 중량이 다음으로 많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니트의 조직은 매우 다양하며 원사와 편직 비용을 감안하여 디자인을 결정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니트 디자인 프로세스 과정으로 니트 디자인 요소를 적용한 니트를 편직하고, 제작 봉제하여 완성하는 니트웨어 과정을 제시하였다. 니트웨어는 완성 봉제 시 니트 봉제의 특수 기계인 링킹 기계를 활용하여 제작 완성 과정을 제시하였다. 봉제 완성 기법은 니트 패션 산업 현장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쉐이핑(풀 패셔닝)과 자카드 기법에 주로 활용되는 컷앤링킹 방법을 활용한 사례를 편직하여 봉제 완성을 진행하였으며, 세부적인 부분 작업을 사진 자료로 제시하여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현대 컬렉션에 나타난 니트 패션 사례를 조사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니트 소재의 원사는 스트레이트얀부터 다양한 장식사가 많이 활용되고 있었다. 스트레이트얀과 다양한 장식사를 결합한 디자인들이 많이 등장하였으며, 특히 남성복에 다양한 원사 소재들이 활용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게이지도 원사에 따라 활용되는데, 봄여름 소재의 개발도 많아져서 S/S 시즌의 니트웨어들이 많이 등장함을 확인하였다. 울트라 하이게이지부터 로우게이지까지 다양한 니트 디자인이 개발되고 있다. 셋째, 조직도 다양하게 등장하였으나 기본적으로 플레인 조직을 기본으로 변화조직들이 활용되고 있었다. 특히 과거 편직과 비용면에서 작업이 용이하지 않았던 인타시아 편직이 많이 활용되고 있음이 주목할 만한 점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조사 제작 분석 내용은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니트 패션디자인 요소를 활용한 6착의 여성 니트 디자인을 전개, 제작하였다. 다양한 원사와 조직을 최대로 활용하여 디자인을 전개하였으며, 작품Ⅰ은 스트라이프 조직과 스페이스다잉 원사를 활용하여 다양한 컬러의 스트라이프 분위기를 끌어낼 수 있었으며, 간단하면서 다양성을 표현할 수 있는 디자인으로 전개할 수 있었다. 작품 Ⅱ는 게이지를 활용한 디자인으로 한 벌의 디자인 3게이지, 5게이지, 12게이디를 같이 활용하여 심플하지만 세련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었다. 작품 Ⅲ은 변형 리브 조직을 활용한 디자인으로 헤어리한 모헤어 원사를 활용하여 하프 가디건 조직의 특성을 적용한 러플 조직의 볼륨있는 니트 원피스 디자인으로 전개하였으며, 니트 조직의 볼륨있는 디자인을 표할 수 있었다. 작품 Ⅳ는 다양한 변형 조직을 활용한 디자인으로 기본 조직과 다양한 링스앤링스, 레이스, 리브 등의 변화 조직을 융합하여 여성스러우면서 심플한 실루엣에 다양성을 보여주는 디자인으로 결과를 만들어 낼 수 있었다. 작품 Ⅴ는 컬러 자카드의 플로팅 기법을 활용한 디자인으로 전통 페어아일 조직을 여성복에 활용한 디자인으로 전개하였다. 페어 아일 패텅을 플레인과 리버스면을 같이 활용하여 텍스쳐의 변화를 활용할 수 있었으며, 전통 조직을 활용한 니트 패션디자인으로 전통과 현대를 접목할 수 있는 디자인으로 표현하였다. 작품 Ⅵ은 컬러 자카드의 튜블러자카드 기법을 활용한 디자인으로 망토형 후드 코트를 제안하였다. 튜블러 자카드는 리버시블 착의가 가능한 조직으로 봉제 제작시 시접 처리를 리본 테이프를 활용하여 제작하여 다양한 착용 방법을 제안하였다. 최근 지속가능함이 인류를 위한 중요한 키워드로 대두되는 현 시점에서 니트 소재는 친환경, 리사이클, 제로웨이스트 등 다양한 지속가능 디자인의 전개가 용이한 소재이다. 그러나 니트 소재와 디자인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니트 패션 디자인 프로세스 및 니트 소재 구성 요소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하고 창의적인 니트 패션 디자인의 개발은 물론 친환경 니트 디자인을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지속되길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