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57 Download: 0

허구의 서사를 통한 생명력의 표현

Title
허구의 서사를 통한 생명력의 표현
Other Titles
Expression of vitality through fictional narratives : Focusing on my own painting works
Authors
박승희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Keywords
인류세, 회화, 생명력, 광물, 에너지, 포스트휴먼, 젤리신, 지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강애란| 전혜숙
Abstract
본 논문은 본인의 상상력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텍스트와 회화 작업을 분석하면서, 그것의 이론적 배경과 동시대적 의미에 대해 서술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인은 평소 도시적 환경보다는 자연적 환경에서 안정감을 느끼고, 자연친화적 삶을 선호하는 성향이 있었다.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자연을 가까이 할 수 있는 경험이 중요했고, 특히 2013년 핀란드에서의 레지던시는 자연에 대한 이해를 작업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던 중 최근 황폐해진 지구의 문제들을 많이 접하면서 인류세에 대한 논의들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이러한 과정이 현재의 작업을 이루게 하였으며, 본 논문을 통해 자연과 지구에 대한 문제들을 본인의 작업과 연결하여 논하고자 한다. 본인에게 지구는 인간이 위치한 장소일 뿐 아니라, 인간과 연결된 개체이다. 이는 지구가 타자로서 개발되어야 할 대상이 아닌, 인간과 함께 존재해야할 개체임을 말한다. 본인은 광물을 살아있는 개체로 묘사하는 허구의 서사와 회화들로, 인간중심적 시선을 탈피하는 작업을 전개하였다. 이는 기존에 존재하는 비인간과 인간의 이분법적 구분을 해체하고, 두 영역이 동등한 생명으로서 관계해야함을 제안하고 있다. 텍스트는 의인화된 ‘광물’과 그들의 신인 ‘젤리신’을 주요 등장인물로 설정하고 있다. ‘광물’과 ‘젤리’의 두 물질성에 살아있음의 개념을 주입하고, 비인간을 인간과 동등한 생기의 주체들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는 인류세적 논제들과 연결되며, 본인의 작업에 있어서 지구 환경의 변화에 대한 인식을 다룬 면과 그 맥락을 같이 한다. 작품 분석은 텍스트 작업 「젤리신의 말씀」의 전문을 소개하고, 그와 관련한 <하얀 곳으로 가라> 시리즈와 <광선과 힘과 지구와 당신> 시리즈를 분석한다. <하얀 곳으로 가라> 시리즈에서는 ‘광물’과 ‘젤리’의 물질 세계를 구상적 풍경, 의인화 된 젤리신, 빠른 터치의 추상적 이미지로 표현한 양상들에 대해 알아본다. 본인에게 세 가지 소재들은 형태적으로 다르게 드러나지만, 살아있음의 생명력을 다룬다는 측면에서 그 줄기를 같이한다. 이러한 내용들을 회화적 실험들로 전개한 과정들을 살펴보고, 작업들을 설치하는 방식에 있어서 전시장의 삼차원적 공간을 활용하는 면에 대해 언급한다. 이를 통해 평면 안에서의 에너지에 대한 표현을 전시 공간으로 확장하는 부분에 대해 살펴본다. <광선과 힘과 지구와 당신> 시리즈에서는 비인간과 인간의 관계에 있어서 ‘함께-하기’의 가능성에 대한 고민과 그 의미에 대해 탐구한다. 지구 현실의 위기적 측면과 이를 헤쳐 나가기 위해 필요한 활기가 혼재하는 허구의 세계에 대한 표현을 분석하고, 본인이 회화로써 제시하고자 하는 역동적 생명력에 대한 실험들에 대해 소개한다. 이는 대상의 정확한 형태보다는 붓터치의 표현성을 강조하는 기법, 물감의 즉흥적인 겹침과 쌓임을 활용하는 것, 그리고 곡선과 사선의 화면 구성으로 설명할 수 있겠다. 끝으로 작업의 전체적인 방향성과 관련하여 포스트휴먼적 긍정의 정치학을 토대로 비인간과 인간의 공생적 미래에 대한 염원을 언급한다. 본인은 인류세의 시기를 경험하면서 지구 환경의 문제는 비인간과 인간에 대한 인류의 의식 구조가 변하지 않는 이상 해결되기 어려울 것임을 체감하고 있다. 그 문제의 심각성에 비해 근대주의적인 사고와 그에 바탕을 둔 개발우선주의의 행보는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고 생각한다. 본 논문을 통해 텍스트와 회화의 허구적 세계관이 은유하고 있는 지구생명력에 대한 표현들을 분석하고, 앞으로의 작업 연구에 대한 내용과 태도의 기틀을 마련하고자 한다.;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describe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contemporary contextual significance of my text and painting works. I tend to feel a sense of serenity in natural, rather than urban environments, and prefer an environmentally-friendly life. My working process relies on the experience of being close to nature. In particular, the Finland residency of 2013 provided an opportunity to develop an understanding of my practice’s relationship to nature. In the meantime, I encountered issues relating to environmental devastation, and became interested in discussions of the Anthropocene. This process led to my current work, and through this thesis, I would like to discuss issues of Earth and nature as they pertain to it. To me, the earth is not merely a place where humans are located, but an object connected to humans. As such, the earth is not an object to be developed by human subjects, but an entity with which humans are intrinsically linked. I have developed fictional narratives and paintings that break the anthropocentric gaze by describing minerals as living entities. This dismantles the existing dichotomy between the human and non-human, and suggests that the two subjects be viewed on equal terms. The text introduces anthropomorphic ‘minerals’ and their ‘Jelly God’ as main characters. Further, it injects life into the inert materialities of 'mineral' and 'jelly', and as such, non-humans are presented as subjects of equal vitality to their human counterparts. This connects to Anthropocentric themes, and shares its context with aspects of my work which deal with the perception of change in the global environment. This analysis of my work also introduces the full text of the written piece, The Words of Jelly God, and analyzes the related series Go to White Places and Beam, Forth, Earth, You. The Go to White Places series discussed the material world of ‘minerals’ and ‘jelly’ through figurative landscapes, the anthropomorphic Jelly God, and quick-touch abstraction. Although the three subject matters are described in divergent formal terms, to me, they share the same stem in terms of dealing with the vitality of being alive.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se pictorial experiments is examined, as is the utilization of installation within the three-dimensional exhibition space. In this way, I also examine the expansion of energy beyond the picture plane. The Beam, Forth, Earth, You series, considers the possibility and meaning of humans/non-human convergence. Through these paintings, I want to recognize the critical aspects of Earth's reality, analyze a fictional world where the vitality necessary to overcome it is mixed, and introduce experiments with dynamic vitality. I define these in three ways: first, as techniques emphasizing the expressiveness of the brush touch rather than the precise shape of the object; second, in the use of improvised overlapping and accumulation of paint; and finally, in the screen-based composition of curvilinear and oblique lines. Overall, the works describe a symbiotic future between humans and non-humans, one based on the positive politics of post-humans. While experiencing the Anthropocene, I feel that the problems of the global environment will be difficult to solve without fundamental changes to the structure of human consciousness toward non-humans. Despite the seriousness of our problems, modern thinking—and the rapacious development based on it—persist. Through this thesis, I intend to analyze my expressions of Earth's vitality, which I metaphorize in fictional worlds of texts and paintings. I also aim to lay the groundwork for the content and attitude of future research.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