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29 Download: 0

조르주 바타유의 ‘소모’로서 ‘비정형’ 개념을 통해 본 현대미술 연구

Title
조르주 바타유의 ‘소모’로서 ‘비정형’ 개념을 통해 본 현대미술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Contemporary Art Seen Through Georges Bataille's Concept of 'Formless' as 'Expenditure'
Authors
박수현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Keywords
조르주 바타유, 소모, 비정형, 주권성, 연속성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박숙영
Abstract
본 논문은 조르주 바타유(Georges Bataille, 1897-1962)의 ‘소모(dépense)’로서 ‘비정형(informe)’이 현대미술작품에 어떻게 구체적으로 구현되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양차세계대전과 68혁명으로 인해 인간의 이성과 합리성, 사회의 진보에 대한 기대가 무너졌으며 현대미술에는 절대적 진리와 권위를 거부하며 다원주의로 나아가는 반모더니즘적 흐름이 형성되었다. 바타유의 이론은 예술에 나타난 포스트모던적 특징을 해석하는 데 이론적인 근거가 될 수 있다. ‘소모’는 목적이나 조건 없이 유용한 것을 파괴하는 비생산적 소비로서, 현실의 안락한 삶과 유용성을 목적에 두는 ‘생산’의 반대개념이다. 바타유는 ‘일반경제론’에서 인간사회가 생산에 지나치게 치우쳐있다고 지적하며, 소모를 통해 생산 중심의 사회 질서를 위반하고 인간의 사물화에 저항하며 금기 너머의 신성을 경험하기를 촉구한다. 바타유는 예술을 소모로 본다. 예술은 유희와 신성을 탐구하는 행위로 시작되었다. 예술가는 아무 것에도 종속되지 않고 자신에게 다른 것을 종속시키지도 않는 주권적(sovereign) 존재로서 자신을 소모하고 타인과 연결되는 연속성(continuité)을 추구한다. ‘비정형’은 전통적 서구 미학에서 사물의 본질로 탐구됐던 ‘형태(forme)’를 공격하기 위한 것으로, 완전하고 이상적인 대상을 저급한 것으로 끌어내리며, 대상이 가진 형태와 내용, 의미와 언어의 관계를 흐트러뜨림으로써 의미가 하나로 귀결되지 못하게 한다. 또한 동질한 속성으로 규정되고 분류된 것들의 경계를 해체한다. 비정형은 이상적 형태가 재현하는 세속의 권위와 위계를 공격하고, 의미나 목적이 성취되는 것을 막으며, 기능과 역할, 위계에 따라 대상을 분류하고 조직하는 생산의 체계를 공격한다는 점에서 소모를 나타낸다. 이에 소모로서 비정형 미술은 사회의 이상을 재현하는 수직적이고 견고한 형태를 공격하여 낮고 일시적인 것으로 이행시키고, 형태와 내용, 언어와 의미를 임의적으로 결합시켜 작품이 완결된 결과나 고정된 의미를 성취하지 못하게 한다. 또한 이성적으로 대상을 규정하고 통제하는 시각의 방식을 거부하고 신체의 감각을 통해 작품을 경험한다. 시간의 흐름 속에서 관람자와의 관계 안에 경험되는 작품은 불규칙한 양상에 머물게 된다. 그리고 예술가가 창조자로서의 절대적 위치를 포기하고 관람자를 작품을 만들어가는 주체로 초청함으로써 작가와 관람자는 서로 연결되어 연속성을 가지게 된다. 펠릭스 곤잘레스-토레스(Felix Gonzalez-Torres)의 작품은 전구가 수명을 다해 꺼지거나 관람자가 사탕을 가져가는 참여에 의해 형태나 의미가 지속적으로 변화하는데, 그 불안정한 상태는 인간 삶의 유한함을 폭로한다. 작가와 관람자, 소장자, 기획자 등 다양한 주체들은 작품의 형태와 구성요소를 바꾸고 함께 만들어가는 협업관계 안에서 서로 연결된다. 토마스 허쉬혼(Thomas Hirschhorn)은 쓰레기같이 하찮고 내구성 약한 볼품없는 형태를 통해 민주주의체제, 소비사회 등 체제를 공격한다. 그리고 예술에서 소외되고 배제된 장소와 사람들과의 교류하며 즉흥적이고 우연적인 소통을 이룬다. 피에르 위그(Pierre Huyghe)의 여행, 놀이와 같은 이벤트들은 명확한 계획이나 목표 없이 통제할 수 없는 요소들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열린 결론을 가진다. 대중문화의 콘텐츠나 다른 예술가의 작품을 모방하고 다른 작가들과의 협업을 통해 재구성되는 작품들에서 여러 요소들과 주체들은 혼재되면서 작품의 다양한 의미를 만들어간다. 이와 같이 현대미술에 나타난 소모로서 비정형은 포스트모더니즘의 다원적이고 반이성적인 관점을 드러내고 사회의 권위와 가치에 도전함으로써 미술의 전통과 가치뿐 아니라 사회적이고 정치적인 맥락에 개입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how the concept of ‘formless’ as ‘expenditure’ of Georges Bataille (1897-1962) is specifically embodied in contemporary works of art. Due to the two world wars and the 1968 Revolution, expectations for human reason, rationality, and social progress crumbled, forming an anti-modernist trend in contemporary art that rejected absolute truth and authority and moved towards pluralism. Bataille's theory can be a theoretical basis for interpreting the postmodern characteristics in art. ‘Expenditure’ is an unproductive consumption that destroys useful things without purpose or condition, a concept contrary to ‘production’ for which comfort in practical life and usefulness is the objective. Bataille points out in ‘General Economy’ that human society is overly biased towards production, and calls upon us to transgress the production-oriented social order, resist human objectification, and experience the sacred that lies beyond the taboos through expenditure. Bataille sees art as expenditure. Art began as an act of play and exploration of the sacred. Artists expend themselves as sovereign beings that are not subordinate to anything and do not subordinate others to themselves, and seek continuity that connects with others. 'Formless' is meant as an attack on 'form' that has been explored as the essence of things in traditional Western aesthetics, and it declasses a perfect and ideal object to something base, and disrup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bject’s form and content, meaning and language so that the meanings cannot converge. In addition, it dismantles the boundaries of things that were defined and classified through homogeneous attributes. Formless represents expenditure in that it attacks the profane authority and hierarchy represented by ideal forms, prevents fulfillment of meaning or purpose, and attacks the system of production that classifies and organizes objects according to function, role, and hierarchy. As a result, formless art as expenditure attacks the vertical and solid forms that reproduce the ideal of society, transforms it into something lowly and transient, and arbitrarily combines form and content, language and meaning, preventing the work from achieving an end result or a fixed meaning. It also rejects the visual method that rationally defines and controlled the object, rather experiencing the work through the bodily senses. A work that is experienced in relationship with the viewer through the course of time remains in an irregular condition. And as the artist disclaims the absolute position as a creator and invites the viewer as the subject of the work’s creation, the artist and the viewer becom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hence gain continuity. The works of Felix Gonzalez-Torres continuously change their form and meaning by the light bulb burning out or the viewers participating by taking candy, and this unstable state exposes the finiteness of human life. Various subjects such as artists, viewers, collectors, and curators becom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collaborative relationship that changes the work’s form and components and creates it together. Thomas Hirschhorn attacks systems such as democracy and consumer society through unattractive forms that are insignificant and flimsy such as garbage. And he interacts with places and people who are alienated and excluded from art, achieving spontaneous and accidental communication. Pierre Huyghe's events such as travels and play are made up of uncontrollable elements without clear plans or goals and thus have open conclusions. In the works that are reconstructed by imitating the contents of popular culture and the works of other artists and through collaboration with other artists, various elements and subjects are mixed to create the various meanings of the work. As such, formless as expenditure in contemporary art reveals the pluralistic and anti-rational perspective of postmodernism and challenges the authority and values of society, and thus interferes with the social and political context as well as the tradition and value of ar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