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22 Download: 0

일상 도구의 조합을 인터페이스로 이용한 인터랙티브 아트 연구

Title
일상 도구의 조합을 인터페이스로 이용한 인터랙티브 아트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Interactive Art Interface Using Daily Tools : Focused on ‘Find Joy in the Ordinary’
Authors
김정우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영상디자인전공
Keywords
인터페이스, 인터랙티브 아트, 일상 도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유현정
Abstract
Since the interactive art is usually accompanied with interaction with appreciators, there are needs for studies on how to draw out people’s natural participation and behaviors. Especially for interactive art, which is realized with tangible interfaces, appreciators’ active engagement is needed because it involves physical contacts with analogue objects, by which realistic feeling and high-degree immersion can be felt. So it is critical for interactive-artists to make appreciators manipulate the interface in a similar way, without any compulsion. With this concern, this study soak alternatives for autonomous participation of appreciators with daily tools. Human beings get in touch with various tools in daily life, and use them in agreed ways, sometimes in combination with other tools. Such interaction methods with daily tools, which has been socially agreed, could be applied to the interactive art. As such, such interactive artworks based on the daily-tool interface would lead to more voluntary and active participation from appreciators. Most existing interactive arts based on daily tools tend to make artworks within limited scope, pre-determining audience interaction they desire, and looking for interfaces fitting in. For differentiation from those existing works, the most used-tools in daily life were surveyed and the installation was set as they were so that the appreciators can choose the interaction methods as they want. Also, through tool-combination the interaction among various tools was encouraged, but without any explanation so that the appreciator can make any attempt. Doing so, this work emphasized the interactions, not only between appreciator and the work, but also among various interfaces within the work. But since there are various opinions on how to define “daily tools”, related studies were researched. And in this research-work, the daily tool was defined as “daily necessities with relatively small size which are tangible and manipulable so that most people are familiar with in daily life and can use in standardized way”. Then quantitative surveys asking about the examples of daily tools were conducted, to general people who could become appreciators. And additional tools which can be combined with the ones previously answered were asked. Following the result, in the work “Find Joy in the Ordinary”, five tools — pen, scissor, cup, paper, and water bottle — were used as tangible interfaces. And the work was interactive art where any combination of two among those five tools can interact, to create various situations. In the two tools connected with circuits, when the parts with conductivity get in touch with each other, the current flow is recognized and the tool location is detected by camera in real time. And the saved animation is projected to around it using ceiling projector. As such, the image cover the appreciator-behaviors – such as drawing, cutting - to words, and show various situations associated with those words’ equivocality. With those the appreciators will redisc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action, movement language and tools, and as such they can experience as if they were manipulating things of different dimensions. This study is the one to see whether the artist can make appreciators appreciate the works as intended using daily-tool combinations as interface, without directly referring to it. And it differs from the past works, in that daily tools were used as tangible interface, and that appreciators were allowed to experience works more autonomously based on the tool-usage commonly known. Lastly, It is hoped that method of connecting and manipulating daily tools, which was proposed in this study, help for autonomous interaction of appreciators in future Interactive Art.;인터랙티브 아트는 작품 감상자와의 상호작용을 필수적으로 수반하기에, 사람들의 자연스러운 참여와 행동을 이끄는 방법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그 중 탠저블 인터페이스를 수반하는 인터랙티브 아트는, 신체를 움직여 아날로그 오브제와 직접적으로 접촉한다는 점에서 감상자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높은 몰입감과 실제적인 느낌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탠저블 인터페이스를 어떤 강제적 지시 없이도 모든 감상자가 비슷하게 조작하도록 유도하는 것은 인터랙티브 아트가 당면한 주요 과제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감상자의 자율적인 참여를 위한 방안을 일상 도구에서 모색하였다. 인간은 일상에서 다양한 도구와 접촉하고 그 도구를 약속된 사용 방식대로 작동하며 다른 도구를 자연스럽게 같이 사용하기도 한다. 이렇게 사회적으로 정해진 일상 도구 간의 상호작용 방식을 인터랙티브 아트에서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에서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일상 도구를 인터페이스로 이용한 인터랙티브 아트 작품은 자연스럽게 그리고, 능동적이고 자발적인 감상자의 참여를 이끌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였다. 일상 도구를 인터페이스로 이용한 기존 인터랙티브 아트의 경우, 대체로 작가가 관객에게 행동하기를 원하는 인터랙션을 정하고 그에 맞는 인터페이스를 정하여 제한된 범위 내에서 작품을 제작하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선행 연구들과 차별점을 갖기 위해 일상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도구를 조사한 후, 실제 도구의 모습 그대로를 설치하여 감상자의 상호작용을 자율에 맡기고자 하였다. 또한, 두 도구를 함께 사용하여 도구 간의 상호작용을 장려하되 감상 방법에 대한 어떤 설명문도 기재하지 않아 감상자가 다양한 시도를 해볼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이를 통해 감상자와 작품 간의 상호작용뿐 아니라 작품 내 인터페이스 사이에서 발생하는 상호작용을 강조하였다. ‘일상 도구’의 정의가 무엇이며 그 종류에는 무엇이 있는지 여러 의견이 존재하기에 문헌 연구를 통해 살펴보았다. 여러 가지 종류가 있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일상 도구를 ‘손으로 들고 조작할 수 있고, 크기가 크지 않으며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학습되어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는 생활용품’으로 정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감상자가 될 수 있는 일반인들에게 자주 쓰는 일상 도구의 예시를 묻는 정량적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고, 답변한 도구와 함께 사용하는 다른 도구 혹은 사물을 같이 응답하도록 요청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에 따라 연구 작품 ‘Find Joy in the Ordinary’에서는 펜, 가위, 컵, 그리고 종이, 물병이라는 5가지의 도구를 탠져블 인터페이스로 사용하게 되었다. 작품은 감상자가 테이블 위에 설치된 5가지의 도구 중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두 가지 도구를 조합하여 상호작용할 경우 다양한 상황을 연출하는 인터랙티브 아트 작품이다. 작품은 회로가 연결된 두 도구가 전도성을 지닌 일부 부분끼리 서로 접촉할 경우 전류가 흐르는 것을 인식하며, 도구의 위치는 카메라를 통해 실시간으로 계산된다. 이때 저장된 애니메이션 영상이 천장 프로젝터를 이용해 해당 도구 근처로 투사된다. 영상은 ‘그리다’, ‘자르다’와 같은 감상자의 행동 혹은 동작을 단어화하고, 그 동작어가 가진 다의적인 성격으로 인해 연상되는 다른 여러 상황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감상자는 상호작용과 동작어, 도구 간의 관계를 복합적으로 재인식하는 경험을 얻으며, 마치 다른 차원의 도구 및 현상을 조종하는 것 같은 경험을 할 수 있다. 본 연구 작품은 인터랙션을 지시하지 않고 일상 도구의 조합을 인터페이스로 이용하여 감상자가 작가의 의도대로 작품을 감상하도록 만들 수 있는지를 실험한 작품이다. 일상 도구를 탠저블 인터페이스로 이용한 것과 더불어 사람들이 흔히 알고 있는 도구의 사용법을 이용해 감상자가 주체적으로 작품 체험을 할 수 있게 하는 작품이라는 점에서 차별성을 갖는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일상 도구끼리 연결 지어 조작하는 상호작용이 앞으로 인터랙티브 아트에서 감상자의 자율적인 상호작용을 위한 방안 연구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