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98 Download: 0

행위하는 물질로서의 예술작품

Title
행위하는 물질로서의 예술작품
Other Titles
Artworks as Acting Matter : Focusing on Jane Bennett’s Vital Materialism
Authors
김리우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Keywords
제인 베넷, 생기론적 유물론, 신유물론, 행위성, 물질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남시
Abstract
세계를 구성하는 다양한 물질 혹은 사물들은 모두 각자의 생기를 지니고 행위성을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상관주의 사유 아래 무력하고 수동적인 것으로 여겨지던 물질의 지위를 회복하려는 다양한 철학적 움직임 중 미국의 정치철학자 제인 베넷(Jane Bennett, 1957~ )의 생기론적 유물론(Vital Materialism)을 중심으로 물질이 가지는 생기의 개념에 대해 정리하고, 그 이론을 토대로 하나의 물질로서 예술작품이 드러내는 능동적인 행위성을 사례로 분석하였다. 능동적인 물질에 대한 담론이 중요한 이유는 상관주의 사유 아래 인간중심적으로 세계를 바라보는 기존의 물질관이 최근 다양한 환경적, 생태적 문제들을 직면하며 한계에 봉착하였기 때문이다. 상관주의는 주체의 의식을 벗어나는 사물의 본질을 외면하고, 인간과 자연 사이에 거대한 벽을 형성하였다. 하지만 문명이 발전하며 무분별한 개발과 파괴의 대상이 되던 자연이 사실 무한하지 않으며, 인간 문명의 존속을 위해 자연을 보호해야 한다는 인식이 퍼지고 기존의 물질관에 대한 갱신이 요청되었다. 물질로 이루어진 세계와 자연을 더 이상 인간에게 종속된 수동적이고 죽어있는 대상으로 대할 수 없게 된 것이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 속에 등장한 다양한 이론 중 제인 베넷의 생기론적 유물론은 물질을 살아있고 능동적으로 행위하는 대상으로 바라봄으로써 인간과 물질을 나누는 이원론에서 벗어나고자 한다. 생기론적 유물론이 다루는 주된 대상인 물질의 행위성은 브뤼노 라투르(Bruno Latour, 1947~2022)의 행위자 네트워크 이론에 그 이론적 배경을 둔다. 베넷은 인간 행위자와 비인간 행위자가 모두 행위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라투르의 이론에서 더 나아가 생명 활동의 근원으로 여겨지던 생기를 물질로까지 확장해 물질의 행위성을 설명한다. 물질이 가진 생기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베넷은 한스 드리슈(Hans Driesch, 1867~1941)와 앙리 베르그송(Henri-Louis Bergson, 1859~1941)으로 대표되는 비판적 생기론자들이 주장하는 기계론적이지 않은 생명력 개념을 계승한다. 그러면서 베넷은 생명력의 범위를 물질로 확장해 생동하는 물질의 가능성에 대해 논한다. 베넷은 다양한 사례를 통해 살아있는 물질의 가능성에 대한 타당성을 더한다. 베넷의 철학 안에서 인간과 물질을 포함해 세계의 모든 구성 요소가 평평한 존재론적 장 안에 위치하게 되고 물질은 세계 안에서 생기적 참여자로 활동한다. 이러한 베넷의 생기론적 유물론을 통해 우리는 물질을 인간-비인간의 위계질서에 벗어나 하나의 배치 안에서 동등하게 상호작용하는 능동적 대상으로서 사유할 기회를 얻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제인 베넷의 생기론적 유물론에서 물질을 바라보는 방식을 통해 김윤철, 이수경, 라파엘 로자노헤머(Rafael Lozano-Hemmer)의 작업을 분석함으로써 그들 작품 안에서 발휘되는 물질의 능동적인 행위성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김윤철은 다양한 과학실험을 토대로 여러 물질이 가진 고유한 물성의 작용을 통해 물질의 행위성을 드러낸다. 그리고 이수경은 버려진 도자기 파편들을 모아 새로운 형태와 이야기를 창조한다. 파편들은 개별 형태를 유지하면서 하나의 개체로 결합되며, 이들은 군집이나 더 큰 구조물을 형성하여 배치되기도 한다. 관객들은 이러한 배치의 행위성을 체험하면서 버려진 도자기 파편의 되살아난 생명력을 마주하게 된다. 라파엘 로자노헤머의 작품에서는 기술을 이용한 인터랙티브 아트를 통해 관객의 참여가 예측 불가능한 방식으로 작품에 반영되는 과정에서 인간과 비인간의 행위소들이 하나의 동등한 배치를 이루며 작품을 완성해 나간다. 위와 같은 예술작품 사례를 통해 인간 주체의 해석에 의한 수동적인 대상이 아닌 모든 비인간 행위소들을 동등한 지위에서 능동적으로 행위하는 대상으로 바라볼 수 있는 관점을 제시하였으며, 현재까지 인간 사회에 전반적으로 퍼져 있는 물질에 대한 고전적인 관점이 갱신될 수 있는 가능성을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cept of vitality in matter, focusing on the Vital Materialism proposed by Jane Bennett(born in 1957), an American political philosopher and women's studies scholar. This study aims to restore the status of matter, which has been considered powerless and passive under correlationism, by examining the active agency of artworks based on Bennett's theory. The discourse on active matter is crucial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anthropocentric view of the world under correlationism, particularly in the face of various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issues. Correlationism has created a significant divide between humans and nature by disregarding the essence of objects beyond human consciousness. However, as civilization progressed, the finite nature of the environment, subjected to reckless development and destruction, became apparent. Thus, a reevaluation of the prevailing materialistic view was demanded to protect nature for the survival of human civilization. The material world and nature could no longer be regarded as passive, lifeless objects subordinate to humans. Amidst these contemporary challenges, Jane Bennett's Vital Materialism emerges as a theoretical framework to transcend the dualism between humans and matter. The agency of matter, the central focus of vital materialism, is rooted in Bruno Latour's actor-network theory, which acknowledges the capacity for action in both human and non-human actors. Bennett extends this notion by expanding the concept of animation, the source of life activity, to encompass matter. In explaining the vitality of matter, Bennett draws from the non-mechanistic concept of life force advocated by critical vitalists such as Hans Driesch and Henri-Louis Bergson. She extends the scope of life force to include matter and explores the potentiality of living matter. Through various examples, Bennett supports the plausibility of living matter. In Bennett's philosophy, all elements of the world, including humans and matter, exist within a flat ontological field, with matter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world. Vital materialism offers us an opportunity to perceive the world as a more active entity and engage with nature as equal participants outside a hierarchical framework. This paper analyzes the works of Yoonchul Kim, Soo Kyung Lee, and Rafael Lozano-Hemmer based on the perspective of Jane Bennett's Vital Materialism to explore the active agency of matter within their artworks. Yoonchul Kim demonstrates the agency of matter through the unique properties and actions of various substances, while Soo Kyung Lee collects discarded ceramic fragments to create new forms and narratives. These fragments are combined into a cohesive object while retaining their individual forms, and they are also arranged to form clusters or larger structures. By experiencing the performativity of these arrangements, viewers confront the revitalized life force of discarded ceramic shards. In Rafael Lozano-Hemmer's work, human and non-human actors are equally represented, as audience participation is unpredictably reflected in the artwork through technology-enabled interactive art. Through these examples, this paper presents a perspective in which all non-human actors can be viewed as active agents on an equal footing, rather than passive objects subject to interpretation by human subjects. It also discusses the possibility of renewing the classical view of matter prevalent in human socie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