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97 Download: 0

반영하는 창, 유동하는 몸

Title
반영하는 창, 유동하는 몸
Other Titles
A Reflecting Window, A Flowing Body : A Study on Painting based on Sensations across Online and Offline
Authors
황은실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Keywords
콜라주, 가상과 실제, 몸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문경원
Abstract
본 논문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공간을 오가는 과정에서 몸에 축적되는 감각을 투영한 나의 회화에 대한 연구이다. 나는 주로 창에 비치는 풍경을 모티프로 삼아 디지털과 실제 공간의 경험이 뒤섞인 몸의 감각을 새로운 가상의 공간으로 제시 한다. 내게 디지털 경험은 스크린을 통해 전개되는 다양한 경험들을 모두 아우른다. 작품에서는 스크린을 통해 보는 사진의 디스플레이 형태, 스크롤을 통한 이미지의 왕복, 스크린 샷 행위, 인스타그램 서핑, 포토샵의 레이어링을 비롯한 각종 인터 페이스 경험이 주로 중요하게 작용한다. 작품에 큰 영향을 미치는 디지털 경험의 종류들은 시기마다 다르지만, 모두 가상과 실제의 공간이 뒤섞이면서 발생하는 감 각들을 포착하고자 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본론에서는 2021년부터 2023년까지 그린 작품을 3가지 유형으로 분류한다. 디 지털 공간과 실제 공간의 뒤섞임에 대한 관심은 부분적으로 반영되다가 창에 비 치는 풍경을 모티프로 한 연작들부터 본격적으로 표현되기 시작한다. 첫 번째 유형은 스크린에 떠있는 이미지를 바라보는 과정에서 경험된 스크린의 얕은 피상성과 표피적인 원근감에 주목한 작품들을 포함한다. 나의 신체로 경험했 던 감각에 다가서기 위해 디지털 사진 이미지를 응시하는 과정에서 스크린의 평 면성은 화면에 전이되었다. 화면 전체에서 구현되는 원근감, 물감의 층, 채도, 붓 질의 속도 등은 디지털 스크린의 영향을 받아 피상적인 감각을 가진다. 두 번째 유형은 2022년부터 그리기 시작한 연작들이다. 나 의 관심은 창에 비치는 풍경을 묘사하거나 재현하는 것에 있지 않았고, 그 형상을 경유해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경험이 뒤섞인 몸의 감각을 회화의 평면이라는 새로 운 질서 안에서 어떻게 제시할 것인가에 있었다. 나는 창에 비치는 풍경이 가지는 운동성에 기대어 스크린샷 이미지들을 삽입하게 되는데, 이를 콜라주로 이해한다. 내 작품에서의 콜라주는 디지털 시대로 이행하며 비물질적인 ‘복사 붙여넣기’의 행위로 전환되는 모습을 보인다. 이 과정을 통해 화면에는 실제 풍경과 스크린 샷 이미지, 구상과 추상, 드로잉과 색면들이 엮이면서 패치워크 같은 형태를 이룬다. 이 패치워크는 마치 투명하게 비워진 것 같은 백색의 배경 위에서 구현되는데, 이 는 순전한 가상의 공간이기 위해 비운 공간이다. 세 번째 유형은 디지털 미디어 경험에서 비롯되는 양가적인 충동을 반영한 작 품들이다. 디지털 미디어의 원격 현전성은 우리의 신체를 접촉과 이입으로부터 차 단함으로써 감금하지만, 디지털 감각을 체화한 우리의 몸은 보다 확장된 공간에서 실존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내 회화에서는 디지털 감각을 체화하고 반영하는 제 스처와 신체성을 되살리려는 상이한 제스처들이 중첩된다. 이는 내 안에서 이미 긴밀히 연결되어 있는 두 충동을 은유한다. 본 논문은 나의 몸의 감각이 경계를 넘어서고, 패치워크처럼 뒤섞으며, 스며들 듯이 중첩하는 행위로 발현되는 과정을 현상학적인 방법으로 접근한다. 연작의 의미는 동시대 시각 지형을 단순히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 을 포착하고 종합하는 행위에서 드러나는 나의 몸에 있기 때문이다. 회화에서 사 용된 제스처들은 그 자체로 내 작업의 주제와 의미를 구성한다. 나는 몸의 감각에 집중하여 만들어낸, 공감할 수 있는 감각을 지닌 풍경을 통해 동시대 시각 경험을 공유하는 관람자들에게 확장된 새로운 공간성을 체험할 수 있게 하려 한다;This paper is a study of my paintings that project the senses accumulated in the body in the process of traveling between online and offline spaces. I present the sense of the body, which is a mixture of digital and real space experiences, as a new virtual space, mainly using the scenery reflected in the window as a motif. For me, the digital experience encompasses all the various experiences that unfold through the screen. In the work, various interface experiences, including the display form of the picture viewed through the screen, the round-trip of the image through scrolling, the act of screen shots, Instagram surfing, and the layering of Photoshop, are mainly important. The types of digital experiences that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work vary from time to time, but they all have something in common that they want to capture the senses that occur when virtual and real spaces are mixed. In the main body, works drawn from 2021 to 2023 a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Interest in the mixing of digital space and real space is partially revealed, and then the series of Flowing Window, based on the scenery reflected in the window, begins to be expressed in earnest. The first type includes works that focused on the shallow superficiality and superficial perspective of the screen experienced in the process of looking at the image floating on the screen. In the process of staring at a digital photo image to approach the senses experienced by my body, the flatness of the screen was transferred to the screen. The perspective, layer of paint, saturation, and speed of brushwork implemented throughout the screen have a superficial sense under the influence of the digital screen. The second type is the series of Flowing Window, which began drawing in 2022. My interest was not in describing or reproducing the scenery reflected in the window, but in how to present the body's sense of mixed online and offline experiences within the new order of the plane of painting. I insert screenshot images against the mobility of the scenery reflected in the window, which I understand as a collage. The collage in my work transitions to the digital age and turns into an act of non-material 'copy and paste'. Through this process, actual scenery, screen shot images, concepts and abstractions, drawings and colors are woven on the screen, forming a patchwork-like form. This patchwork is implemented on a white background as if it were transparently emptied, an empty space for pure virtuality. The third type is works that reflect the ambivalent impulses arising from the digital media experience. The remote presentability of digital media confines our bodies by blocking them from contact and transfer, but our bodies, which embody digital senses, have come to exist in a more extended space. As a result, gestures that embody and reflect digital senses and different gestures to revive physicality overlap in my conversation. This metaphorizes the two impulses already closely connected within me. This paper approaches the process in which my body's senses are expressed in the act of crossing boundaries, mixing like patchwork, and overlapping like permeation in a phenomenological way. The meaning of the series is not just a reflection of contemporary visual topography, but also in my body revealed in the act of capturing and synthesizing it. The gestures used in the painting themselves constitute the theme and meaning of my work. Through the landscape with a sympathetic sense created by focusing on the senses of the body, I intend to allow viewers who share contemporary visual experiences to experience the expanded new spatial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