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15 Download: 0

유변(流變)적 이미지를 통해 표현된 인간

Title
유변(流變)적 이미지를 통해 표현된 인간
Other Titles
Humans expressed through rheological image : Focused on my paintings
Authors
육윤소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Keywords
유변적, 인간, 이미지, 점액질, 회화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광호
Abstract
이미지에 대한 탐구와 의미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계속해서 변해 왔다. 현대 사회에는 이미지를 접할 수 있는 많은 매체가 존재할 뿐 아니라 이미지의 생성도 빠른 속도로 일어난다. 시각 예술을 다루는 본인은 동시대의 이미지를 어떻게 해석하고 어떤 기준으로 선택하고 어떤 방법으로 표현할지에 대해 항상 고민해 왔다. 본인의 작업은 이미지를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에서 시작한다. 본인은 이미지를 고정된 것으로 보지 않고 계속 흘러가는 것으로 여긴다. 이미지는 흘러가는 시간 속에서 매우 빠른 속도로 생성, 복제, 삭제되기를 반복한다. 그리고 이미지는 그것이 속한 맥락에 따라 여러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따라서 본인의 작업에서 이미지들은 형상과 의미의 변화를 가진다. 본인이 구성하는 화면에서는 이미지들의 충돌과 결합, 그로 인한 이미지의 형상 및 의미 변화가 필수적으로 일어난다. 이미지를 어떤 방식으로 취할지에 대한 고민과 함께 본인이 생각하는 이미지의 특성과 맞는 소재를 찾고자 하였다. 모든 이미지들이 유변하다고 생각함에도, 시간의 지속 안에서 끊임없이 유변하는 하나의 대상을 찾고자 한 것이다. 이러한 고민과 관심은 인간에 대한 호기심으로 발전하였다. 다양한 성격 혹은 기질, 특성을 가지는 인간은 본인에게 상당히 매력적으로 다가왔다. 인간은 시시각각 변하는 상황에 따라 지속해서 변화하는 대상이다. 상황에 따라 인간은 여러 모습을 획득하는데, 본인은 이 모습들의 끈적한 조합을 점액질과 같이 바라보고자 하였다. 인간의 여러 모습은 서로 엉키고 달라붙은 채 유동적으로 움직인다. 따라서 이 모습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인간은 점액질처럼 언제든지 변화할 수 있다. 본인은 유변하는 이미지 특성에 대한 시도로 얻은 방법인 ‘떼어내기’와 ‘조합하기’를 통해 작품의 인물을 구성하고 그려나갔다. 본인의 작업은 인간을 그리기 시작하면서 회화적으로 큰 변화가 있었다. 이미지를 차용하던 이전 작품에서는 대상을 재현하려고 하는 내적 갈등이 있었다. 그러나 시각 이미지의 차용 없이 내면에서 일어나는 심상을 날 것으로 표현하는 인물화에서는 회화 매체만의 특성을 더욱 강조하게 되었다. 본인이 주 매체로 다루고 있는 회화, 특히 유화는 유동적이고 점도가 높으며 건조가 느리므로 즉흥적 표현에 용이하다. 본인은 이미지 및 인간의 유변성과 유화의 물성을 점액질과 같이 여겼다. 이러한 생각은 본인의 회화도 점액질과 같은 상태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본인은 내면의 떠오르는 의미들을 조합하여 빠르게 가상 인물을 만들어 내었다. 그 가상의 인물을 빠르게 옮겨 내기 위해서 작업 속도와 집중력은 본인에게 매우 중요하였다. 유화의 물성에 대한 탐구와 함께 즉흥성 및 충동과 집중력은 본인과 작품 사이를 더욱 긴밀한 관계로 만들었다. 본인과 작품 사이의 긴밀한 관계는 더 나아가 작품 속 인물에 본인의 감정을 투여하게 하였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유변하는 이미지에 대한 고찰과 조형적 탐구를 바탕으로 유변적인 점액질로서의 인간 이미지 표현을 중점적으로 탐구하고자 하였다. 본인은 인간을 고정된 대상이 아니라 변화무쌍한 이미지로 여긴다. 본 연구는 본인의 이미지에 대한 고찰과 여러 방법적 시도에 대한 결과이자, 이미 그 자체로 충분히 유변적 이미지인 인간에 대한 관심과 표현으로 나아가는 변화 과정에 대한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rganize my thoughts on rheological images and to explore formative ideas, as well as the expression of rheological humans. The way of exploration and meaning of images have continued to change with the stream of the times. In contemporary society, there are not only many mediums that can access images, but also images are generated quickly. While dealing with visual art, I have always thought about how to interpret contemporary images, what criteria to choose, and how to express them. My works start with how to view the images. I do not see the images as fixed. Rather, it is considered to be flowing continuously. Images are repeatedly created, replicated, and deleted over time. Also, the images are interpreted in various meanings according to the context they belong. Thus, in my works, images have changes in their figure and meaning. These images collide and combine on the screen I construct. As a result, the changes in the figure and meaning of the image occur necessarily. Along with thinking about how to take an image, I tried to find an object that match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image I think. I was eager to search for a certain object that constantly changes within the continuity of time while thinking that all images flow and change. These concerns and interests developed into curiosity about humans. Humans with various personalities, tendencies, or characteristics were quite attractive to me. The humans are objects that change repeatedly in response to the changing situation. Depending on the situation, the humans appear in various forms. I tried to look at the sticky combination of these figures like slime. Human figures move fluidly while tangled and clinging to each other. Therefore, the humans who are made up of these combinations can change at any time, like slime. I tried to capture the characteristics of a flowing and changing image. I composed and drew the characters of the works through the methods ‘unfixing’ and ‘combining' obtained in this process. My works have undergone a big change since I started drawing the humans. In my previous work, I had an inner conflict when I tried to represent the object by borrowing its images. Now, I have come to emphasize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painting medium more through portraits that express the images that occurs in my mind without borrowing the visual reference of the object. Oil painting which I am dealing with as the main medium, are high in viscosity, and slow in drying. These qualities allow to make them easy for an instant expression. I regarded images, humans and the materiality of oil painting as the slime. This idea led even my painting to a slime-like state. I quickly created a virtual character by combining the inner meanings. Work speed and concentration were tremendously essential to swiftly translate the virtual character into my work. With the exploration of the materiality of oil painting, improvisation, drive, and concentration made the relationship between me and my work much more closely. Moreover,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me and the work made me project emotions on the character. Through this study, I tried to focus on the human image as a rheological slime based on the idea of rheological images and the formative exploration. I regard humans as constantly changing images, not fixed objects. This study is the results of the contemplation and various methodological attempts of the image, and about the process of change to interest in and expression of humans being already sufficiently rheological images in themselv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