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26 Download: 0

지워져가는 기억의 풍경

Title
지워져가는 기억의 풍경
Other Titles
Landscape of Fading Memory
Authors
오지유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Keywords
기억, 풍경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애란
Abstract
본 논문은 본인이 경험한 현실과 가상의 혼합된 여행 기억과 그 공간들에서 본 풍경 이미지를 작품으로 변환하는 과정을 연구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인문학과 예술이론을 바탕으로 본인의 2018년도부터 최근까지의 작품의 변화를 살펴봤다. 21세기 환경에서 현대인은 실제 공간에서 생활하는 동시에 가상 공간에서도 머물 수 있다. 이렇게 실제와 가상이 혼합된 공간을 여행하며 본 풍경에서 얻은 시각적 경험은 본인 작업의 주요 모티브가 되었다. 본인은 이 과정에서 수정한 이미지를 여러 단계의 기계적 편집과정과 회화적 표현을 거쳐 풍경화로 변환했다. 현실 여행에서 본 풍경을 가상 공간에서 검색하며 기억을 되짚어보고, 이 공간만이 가질 수 있는 시각적 체험을 분석했다. 풍경을 직접적인 묘사를 통해 그대로 재현하기보다 여행 사진을 촬영하듯 스크린샷으로 이미지를 저장하고 편집한 후 출력의 과정을 거쳐 판화와 회화 작품으로 완성했다. 본인은 도시에서 찾아 볼 수 있는 공원, 창문의 이미지를 선택해 변주하며 각각의 시리즈를 제작했다. 작품의 표현방식은 불분명한 기억의 이미지를 끄집어내듯, 부유하듯 흘러가는 물감의 번짐, 그 위 가볍고 얇은 표면을 만들기 위해 에어브러쉬로 분사된 물감, 그리고 차이와 반복을 통해 변화된 이미지들을 중첩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혼합된 풍경을 세 가지 방식으로 구체화해 작품으로 표현한 과정에 대하여 밝히고 있다. 본문에서는 작업의 주요 개념인 기술 발전으로 인한 혼합된 공간 경험에 대한 사유를 공고히 하기 위해 본인이 사용하는 풍경 이미지에 대한 이론적 분석을 전개했다. 21세기의 공간을 감각하는 방식에 대해 짚어보며 현실과 가상의 혼합된 여행의 경험과 이 때 포착한 풍경 이미지를 ‘포스트프로덕션(postproduction)’ 개념을 빌려 작업의 시대적 당위성을 살펴보았다. 우선 본인은 실제 경험의 기억과 스크린 속 장소 이미지가 겹쳐지는 풍경을 회화에 담았다. 가상 지도에서 감각한 공간 역시 다른 형태의 여행이라고 느껴 풍경 사진을 카메라로 찍듯이 크롭해 스크린샷으로 저장했고, 이 이미지를 본인만의 재편집 및 재사용의 과정을 거친 후 예술작품으로 완성했다. 동시에 가상 공간을 여행 할 때, 과거 여행의 기억이 현재의 시간으로 떠오르는 경험을 했기에, 떠오르는 기억의 여러 이미지들을 한 회화의 화면 안에 중첩시켰다. 본인의 일련의 작품들은 많은 여행지 장소 중 자연 풍경보다는 도시 속 공원과 창문 이미지의 풍경을 담고 있다. 현대인의 생활공간과 거리가 먼 산이나 들과 같은 자연 풍경보다는 도시 속 공원과 창 이미지에서 주제와의 유사점을 찾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우선 포화될 것만 같은 삶의 틈에서 보낸 여행의 의미를 일상에 존재하면서도 약간 떨어진 시공간인 공원이라는 장소에서 본인 주제와의 접점을 찾을 수 있었다 창 이미지는 스크린이라는 매개체를 통해 안에서 밖을 내다볼 수 있게 된 역설적인 경험에 대해 탐구한 것을 표현한 것이다. 본인 작품의 표현방식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구체화할 수 있다. 본인은 겹겹이 쌓는 투명한 층인 디지털 레이어의 방식에 영향을 받아 다양한 이미지의 층위를 쌓는다. 그 후 전통적인 캔버스에 소크 스테인(soak stain) 기법을 참고하거나 에어브러쉬를 통해 아크릴 물감을 분사하는 등 디지털 이미지와 회화를 섞는 방식을 사용해 완성했다. 이는 아날로그와 디지털 어느 하나만이 선행되거나 몰입할 수 있는 시대가 아니라 두 가지가 뒤섞인 시대를 살아가고 있음을 회화를 통해 드러내고자 하는 시도이다. 본인이 경험한 공간의 이동성과 기억의 특징인 유동성을 나타내고자 천에 물감을 자연스럽게 스며들게 하여 얼룩을 생기게 하는 소크스테인 기법을 사용해 캔버스 천을 초벌칠했다. 그 후 현시대의 가벼운 이동성과 플랫한 표면의 스크린을 표현하듯 납작한 표면을 표현하기 위해 에어브러쉬를 사용했다. 그 결과로 화면 위에 여러 겹의 층위를 쌓아 이미지를 중첩했지만, 캔버스의 표면은 얇은 두께를 유지할 수 있었다. 연작의 작품들은 작품의 제작 과정 중 실제 풍경과 모방된 풍경, 디지털 이미지와 판화 사이에 이미지가 반복되며 생겨나는 차이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 본 논문은 실제와 가상의 경계가 모호해진 현대 공간 내에서의 여행 경험에 대한 기억과 여러 과정을 통해 제작된 이미지를 표현하고자한 본인 작품에 대하여 설명한 글이다. 본인의 작품은 현시대 공간을 구성하는 시각적 양식을 드러냄과 더불어 회화를 통해 관람자가 풍경을 심리적으로 바라보는 가능성을 기대한다. 이러한 작업을 바탕으로, 앞으로도 현대 사회에 우리 인간이 마주하고 있는 풍경의 공존에 대한 심도 있는 탐구 해나가고, 이를 효과적으로 극대화해서 드러낼 수 있는 작업 방식을 모색해 나가고자 한다.;This thesis was described with the aim of reflecting the times by researching the mixed experiences of travel that became the motif of my works and the creative process of converting images collected in the space into landscape paintings. From the beginning of the work to the latest, this text followed the journey by illuminating my art works. In terms of content and form, I tried to explain them by researching on humanities and art theories, and tried to demonstrate how I visualized them. I mainly expressed the landscape in which my experiences and memories overlap through painting media. In the beginning, I was fascinated by the familiar but unfamiliar appearance of the point of view and movement, which is the surface of the virtual landscape, but gradually began to explore the modern space and place. Landscape paintings reflect the environment in which humans live. People living in the 21st century can stay in the virtual world, but at the same time, they cannot leave the real space at all. Therefore, I thought modern people are living in mixed spaces, and wanted to express this environment with landscape paintings. To sum up, my work is a landscape painting containing the experience of traveling and fading memories of seeing a mixed landscape. I looked back on memories by looking for the scenery seen in the real trip in the virtual space, and analyzed the visual experiences that only virtual space can have. Rather than reproducing this landscape through direct description, the image was saved and edited as a screenshot as if taking a picture of travel, and then completed as printmakings or painting works through the process of output. The places I visualized were chosen as cities, parks, and windows that correspond to my content, and I produced each series of variations of these places. In addition, the expression method of the work was visualized by focusing on the flowing movement, the image of unclear memories, the overlap of light-weight layers, and ‘different and repetitions’ in the production process of my works. Chapter II, ‘Overlapped Time and Space’ focuses on the experience of a mixed trip between reality and virtuality, and how to convert the landscape image captured at this time into a work of art by borrowing the concept of ‘Postproduction’. Chapter III, ‘The City Landscape as Metaphor’ attempted to analyze why I paid attention to the parks and window images of skyscrapers in the city among many travel destinations. In Chapter IV, ‘Overlapped Images’, the expression method of my works were largely divided into three and explained in detail. The result of researching my works are as follows below. First of all, through the work, I captured the scenery where the memory of the actual experience overlaps with the image of the place on the screen. The space seen on the virtual map also felt like a place to experience, so it was converted into a unique format for a work of my art. The experience of space inevitably accompanies individual experiences and memories, so I expressed bleached images as if the part of memory disappears, or overlapped images of memories that come to mind in a chain. The selection of places to visualize as my works also chose a place where the subject and material can be metaphorized. Rather than the natural scenery far away from modern people’s living spaces such as mountains and fields, I could find similarities with my content in the images of parks and window in the city. It describes the exploration of the paradoxical experience of being able to look out from inside through the screen. Also, time and space that exists in everyday life but can be spent in a slightly different time and space. I borrow the digital layer method to convert images or stack layers. However, on top of that, I still used a method of mixing digital images and paintings, such as using acrylic paint or spraying pigments with an airbrush, referring to the soak stain technique on traditional canvas. This is an attempt to reveal through painting that both analog and digital, the two are mixed, not only analog or digital can be preceded or immersed in this era. My paintings expressed my visual and lyrical experiences by reconstructing work with memories of travel experiences in modern space and images produced through various processes. Based on an in-depth exploration of the co-existence of landscapes facing us in modern society, I would like to research ways to effectively maximize and reveal them. In addition to revealing the visual style that constitutes the current space, my work expects the possibility that the viewer will see the landscape psychologically through paint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