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35 Download: 0

An Analysis of Risk Factors for Suicide of Black Youth using the 2019 National High School Youth Risk Behaviour Survey through the Interpersonal Theory of Suicide

Title
An Analysis of Risk Factors for Suicide of Black Youth using the 2019 National High School Youth Risk Behaviour Survey through the Interpersonal Theory of Suicide
Authors
HANDY, EVANNA PEARL CAROLE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융합보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혜경
Abstract
Background: In 10 years the black youth suicide rate has almost doubled. Low diagnosis rate for mental illnesses and changes in suicidal behaviour have resulted in insufficient access of suicide interventions by Black youth. The present study sought to determine relevant risk factors in suicidality for Black youth through the lens of the Interpersonal Theory of Suicide—a model important in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 of suicide attempts. Methods: The 2019 National Youth Risk Behaviour Survey was analyzed using 2,401 youth who reported active suicidal ideation in the last year. For active suicidal ideation, t-test and LSM difference tests were done. For planning, attempts, and injury, odds ratios were calculated. Analyses were stratified by gender, and statistics were calculated for both "Black" and "non-black" groups for comparison. Results: Statistically significant measures of frequency or mean were found for hopelessness [6.82% of female students, 6.38% of male students], sexual assault, tobacco use, cannabis use, and illicit drug use among black high school students who reported active suicidal ideation [sexual assault: mean=0.50±0.16, tobacco use: freq= 6.48±2.86(0.45), marijuana use: mean=2.70±0.83, illicit drugs use: freq=2.77±0.91]. Statistically significant risk factors for suicidal planning in Black students were fighting [male OR: 1.37, 95% CI: 1.01-1.86] and alcohol use [male OR: 230.68, 95% CI: 107.13-496.71], while risk factors for a suicide attempt were bullying [male OR: 5.84, 95% CI: 1.67-20.45], sexual assault [male OR: 2.01, 95% CI: 1.37-2.94], dating violence [female OR: 1.30, 95%: 1.00 -1.69; male OR: 27.91, 95% CI: 15.09-51.63], illicit drug use [female OR: 1.09, 95% CI: 1.01-1.18], and gun carry [female OR: 11.79, 95% CI: 2.26-61.65]. Statistically significant risk factors for suicidal injury were fighting [male OR: 77.14, 95% CI: 47.65 -124.87], sexual assault [male OR: 720.41, 95% CI: 383.55->999.99], tobacco use [female OR: 1.41, 95% CI: 1.01-1.98; male OR: 1.55, 95% CI: 1.08-2.23], cannabis use [male OR: 1.06, 95% CI: 1.01-1.12], and illicit drug use [male OR: 2.45, 95% CI: 2.18-2.76]. All odds ratios were higher in Black students than non-black peers. Conclusion: Risk factors for different aspects of suicidality affect Black youth in a unique yet complex way and cannot fully be understood through the Interpersonal Theory of Suicide. Many of these risk factors are also punished behaviours, and these risk factors intersect with race to explain the exclusion of Black youth from current suicide interventions.;10년 동안 흑인 청소년의 자살률은 거의 두 배가 되었다. 정신 질환 낮은 진단율과 자살 행동의 변화로 인해 흑인 청소년들이 자살 개입에 접근이 충분하지 않다. 본 연구는 자살 시도의 발달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모델인 자살에 대한 대인관계 이론(Interpersonal Theory of Suicide)의 렌즈를 통해 흑인 청소년의 자살 경향성에 관련된 위험 요소를 밝히려 한다. 2019년 전국청소년위험행태조사 (National Youth Risk Behaviour Survey)는 지난 1년간 적극적인 자살생각을 보인 청소년 2,401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적극적인 자살생각에 대해서는 t-test와 Least squared means difference test를 시행하였다. 귀무 가설은 p<0.05에서 기각되었으며 그룹이 다르다는 것을 나타냈다. 자살 계획, 시도 및 부상에 대해 교차비를 계산하고 95% 신뢰 구간을 사용하여 유의성을 결정했다. 분석은 성별로 계층화되었고 비교를 위해 "흑인" 및 "비흑인" 그룹으로 나누었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빈도 또는 평균 측정은 희망 없음[여학생의 6.82%, 남학생의 6.38%], 성폭행, 담배 사용, 대마초 사용 및 적극적인 자살 생각을 보고한 흑인 고등학생의 불법 약물 사용[여성--성폭행: 평균=0.50±0.16, 흡연: 빈도=6.48±2.86(0.45), 대마초 사용: 평균=2.70±0.83, 불법 약물 사용: 빈도=2.77±0.91]. 흑인 학생의 자살 계획에 대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위험 요소는 싸움[남성 OR: 1.37, 95% CI: 1.01-1.86]과 알코올 사용[남성 OR: 230.68, 95% CI: 107.13-496.71]이었고, 자살 시도의 위험 요소는 괴롭힘[남성 OR: 5.84, 95% CI: 1.67-20.45], 성폭행[남성 OR: 2.01, 95% CI: 1.37-2.94], 데이트 폭력[여성 OR: 1.30, 95%: 1.00 -1.69; 남성 OR: 27.91, 95% CI: 15.09-51.63], 불법 약물 사용[여성 OR: 1.09, 95% CI: 1.01-1.18], 총기 소지[여성 OR: 11.79, 95% CI: 2.26-61.65]으로 나타냈다. 자살 상해에 대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위험 요소는 싸움[남성 OR: 77.14, 95% CI: 47.65-124.87], 성폭행[남성 OR: 720.41, 95% CI: 383.55->999.99], 흡연[여성 OR: 1.41, 95% CI: 1.01-1.98; 남성 OR: 1.55, 95% CI: 1.08-2.23], 대마초 사용[남성 OR: 1.06, 95% CI: 1.01-1.12], 불법 약물 사용[남성 OR: 2.45, 95% CI: 2.18-2.76]. 모든 승산비는 비흑인 학생보다 흑인 학생에서 더 높았다. 자살 성향의 다양한 측면에 대한 위험 요소는 독특하면서도 복잡한 방식으로 흑인 청소년에게 영향을 미치며 자살에 대한 대인관계 이론(Interpersonal Theory of Suicide)으로는 완전히 이해할 수 없다. 이러한 위험 요소 중 다수는 처벌을 받는 행동이기도 하며, 위험 요소는 인종과 교차하여 현재 자살 개입에서 흑인 청소년을 배제하는 이유를 설명한다 할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융합보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