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03 Download: 0

검은 물, 하얀 불

Title
검은 물, 하얀 불
Other Titles
Black Water, White Fire : A Study on Landscapes Beyond Time
Authors
강유정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강애란| 이찬웅
Abstract
This dissertation aims to explore own artistic expression and approach to observation of landscape and contemplation about the world as a painter. As a part of the world including natural scenery, landscape is the major motif of painting expression. It is an object of observation and record as a scene which is appeared specifically in front of our eyes. And at the same time, as a symbol and image, landscape suggests a new world through deconstruction and recombination. Looking at the landscape and painting it is not just for realistic representation, but an artistic practice that witnesses and reveals the invisible world. If we gaze at the landscape, we can see the invisible located behind the visible. The time of the landscape we experience for a short time implicates a long time of nature beyond the visibility. The time of the landscape follows the cycle of nature, suggesting historical repetition and embracing us aware of our finite existence. Therefore, to look at the landscape is an exploration of the universal order invisibly standing behind of the landscape and beyond its visual scenery. To paint landscape is to convey ‘the invisible’ through ‘the visible’. The landscape is an experimental subject for artists to establish own pictorial methodology providing another leap into a world that solely and entirely consists of formative elements. The landscape reincarnated as a painting through this process suggests the viewer to imagine beyond the time of the reality. When the boundary between past and present, reality and unreality, moment and eternity become indistinguishable, we are liberated from the limitation surrounding us. This is the ‘landscape beyond time’ formed in the contemplation of the world. When it comes to the landscape, ‘transcendence’ has double meanings. ‘Transcendence’ means that it makes you get out and look beyond real time and space, and simultaneously also means a landscape created and reconstructed through pictorial expression. My artwork presents two main methodologies to realize the landscape of transcendence. The first way is to remind the order of repetition and circulation in terms of the matter. It reinterprets the past and invokes possibilities of new present through landscape materials that imply repetition. The other way is to use black color and insert symbolic images in terms of the form. To describe the landscape, I use black oil paint thin and transparent to reveal the brushstroke, and express shapes and shades through black-and-white contrasts. ‘Black landscape’ is a typology of these expressions and is the result of seeking own artistic expressions under limited conditions and attempting various techniques. ‘White mass’ is also a main image strategy. This is a symbolic image of the landscape forming layers within the image and infusing mythic imagination. In the body of this dissertation, I examine the ontological perception and pictorial methodology revealed in the landscape by classifying my artworks from 2018 to 2022. Each chapter follows the flow of artworks ranging from the landscape of history, daily life, and imagery, and focuses on subject and formative characteristics. Especially, I reveal my artistic achievements by focusing on the establishment of pictorial expression, recognition of limitations, and the solving process, including the color and techniques of artworks. In addition, I refer to philosophy or aesthetic theories, and artworks of other artists. Chapter 2 discusses the repetition and accumulation of history, focusing on the landscape of history. I observe real places and face historical facts. Discovering ruins, I look at them as traces of history. I understand the sedimentation and the fall of history as the structure of the strata and overlap it with the surrounding natural scenery. Considering the time of history and the time of nature as similar, I want to seek an artistic method that evokes the tragedy of the past. Chapter 3 observes the daily landscape and finds the landscape as an object of pictorial representation. I find formative elements such as shapes and contrasts in the landscape and ways to express them through painting. Especially, I expand the meaning and expressions of black color through applying the methodology of drawing as a basis for painting. Also, I study the method of producing images by considering the landscape as an image and overlapping it. Chapter 4 analyzes the landscape of imagery and the main symbolic images as its components. Focusing on the image of fire and water which appears in artworks and following its origin, meaning and flow of change, I imagine a world of transcendence beyond the landscape. As well, I intend to establish a type of landscape expression in contemporary art, contemplating the method of combining and editing images of landscape. Landscape is an object of intellectual thoughts and artistic expressions. It is not just one of the many subjects of painting, but as an all-out confrontation between a painter and the world, and it compels the artist to experiment and provides a leap forward. A painter expands perception of the world with and within the landscape and establishes own formative language. Beyond the scars of history and the solitude of the city found in the landscape, I tried to find the possibility of evoking the past and healing it and the potential of daily life. Also, I tried to build a transcendent world beyond the reality through painting. Just as I intend to sense and reveal the visible and the invisible through the landscape, I will continue to develop a pictorial methodology which can detect and express the other side of the world.;이 논문은 화가로서 풍경을 관찰하면서 세계를 사유하고 이를 예술적으로 표현하고자 노력했던 여러 방식과 그 의미를 탐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풍경이란 자연 정경을 포함한 세계의 한 단면으로서 회화적 표현의 주요한 모티브이다. 그것은 눈앞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정경으로 관찰과 기록의 대상이면서, 동시에 하나의 상징이자 이미지로서 해체와 재조합을 통해 새로운 세계를 암시한다. 풍경을 바라보고 그리는 행위는 단순히 사실적 재현에 그치지 않고, 보이지 않는 세계를 목격하고 또한 드러내는 예술적 사유의 실천이다. 우리가 충분히 풍경을 바라본다면, 보이는 것들 이면에 위치해 보이지 않던 것을 보게 된다. 우리가 짧게나마 경험하는 풍경의 시간은 보이지 않는 기나긴 자연의 시간을 암시한다. 풍경의 시간은 순환하는 자연의 시간에 따르며, 역사의 반복을 암시하고 유한한 우리 자신의 존재를 인식하게 한다. 그러므로 풍경을 본다는 것은 눈에 나타난 정경을 통해, 그리고 그것을 넘어 이면의 보편적 질서를 탐구하는 것이다. 풍경을 그리는 것은 ‘보이는 것’을 통해 ‘보이지 않는 것’을 전달하는 것이다. 풍경은 화가가 자신의 고유한 회화적 방법론을 확립하기 위한 실험대로, 오직 그리고 온전히 조형 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또 하나의 세계로 진입하는 도약대를 제공한다. 이 과정을 거쳐 그림으로 다시 태어난 풍경은 감상자에게 현실의 시간을 넘어서는 상상을 하게 한다. 과거와 현재, 현실과 비현실, 순간과 영원의 경계가 식별 불가능해질 때, 우리는 우리를 구속했던 한계로부터 자유로워지게 된다. 이것이 세계에 대한 사유 속에서 태어난 ‘시간을 초월한 풍경’이다. 이때 ‘초월’의 의미는 이중적이다. 현실적인 시공간을 벗어나 그 너머를 바라보게 만든다는 것을 의미하며, 또한 회화적 표현을 통해 창조되고 재구성된 풍경을 의미하기도 한다. 나의 작품은 초월의 풍경을 실현하는 두 가지 주요한 방법을 제시한다. 하나는 내용의 측면에서 반복과 순환의 질서를 상기시키는 것이다. 반복을 암시하는 풍경 제재를 통해 과거를 상대화하고 새로운 현재의 가능성을 마련한다. 다른 하나는 표현의 측면에서 검은색을 사용하고 상징적 이미지를 삽입하는 것이다. 풍경을 표현하기 위해 검은 유채를 얇고 투명하게 사용하여 붓질을 드러내고, 흑백의 대비를 이용해 형상과 명암을 표현한다. ‘검은 풍경’은 이러한 표현을 유형화한 것으로, 제한적인 조건 속에서 개성적 표현을 모색하고 다양한 기법을 시도한 결과이다. ‘하얀 덩어리’ 또한 주요한 이미지 전략이다. 이는 풍경 속 상징 이미지로 이미지 내에 층위를 형성하며 신화적 상상력을 불어넣는다. 본론에서는 2018년부터 2022년에 이르는 작품을 세 유형으로 분류하여 풍경에 드러난 존재론적 인식과 회화적 방법론을 살펴본다. 각 장에서 역사의 풍경에서부터 일상의 풍경, 심상의 풍경에 이르는 작품의 흐름을 좇으며, 주제 의식과 조형적 특징을 주요하게 살펴본다. 특히 작품의 색채와 기법을 비롯한 회화적 표현의 확립과 한계 인식, 그리고 이를 해결하는 과정을 주요하게 다룸으로써 예술적 성취를 밝힌다. 이 밖에도 철학 또는 미학 이론, 다른 예술가의 작품을 참조한다. 2장에서는 역사의 풍경을 중심으로 역사의 반복과 퇴적을 논한다. 실제 장소를 관찰하며 역사적 사실을 마주한다. 폐허가 된 유적을 발견하며, 그것을 역사의 흔적으로 바라본다. 역사가 지층처럼 퇴적되고 쇠락하는 모습을 주위의 자연 정경과 겹쳐본다. 역사의 시간과 자연의 시간을 유사하게 여기며, 과거의 비극을 환기하는 예술적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3장에서는 일상의 풍경을 관찰하며 풍경을 회화적 재현의 대상으로 바라본다. 풍경에서 형상과 명암 등 조형 요소를 발견하고 이를 회화를 통해 표현하는 방법을 모색한다. 특히 회화의 기초로서 소묘의 방법론을 적용하여 검은색의 의미와 표현 기법을 확장한다. 또한, 풍경을 하나의 이미지로 여기고 중첩함으로써 이미지 연출 방식을 고민한다. 4장에서는 심상의 풍경과 그것을 구성하는 주요한 상징 이미지를 분석한다. 작품에 주요하게 등장하는 불과 물 이미지를 중심으로 그것의 기원과 의미, 변화의 흐름을 좇으며 풍경 너머 초월적 세계를 상상한다. 또한, 풍경 이미지를 조합하고 편집하는 방식을 고민하며 동시대 미술에서 풍경 표현의 하나의 유형을 확립하고자 한다. 풍경은 지적 사유와 예술 표현의 대상이다. 풍경은 회화의 여러 제재 중 하나에 그치지 않으며, 화가와 세계의 전면적인 대면으로서 화가에게 실험을 강제하고 도약을 제공한다. 화가는 풍경과 함께, 풍경 안에서 세계에 대한 인식을 확장하고 자신만의 조형 언어를 확립한다. 나는 풍경에서 역사의 상흔과 도시의 고독을 보았으며, 그 너머로 과거의 환기와 치유, 일상의 잠재성을 찾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현실을 넘어서는 초월적 세계를 회화를 통해 구축하고자 하였다. 풍경을 통해 보이는 것과 너머의 보이지 않는 것을 감각하고 드러내고자 하였듯, 앞으로도 세계의 이면을 감지하고 이를 표현할 수 있는 회화적 방법론을 발전시키고자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