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81 Download: 0

증강현실 기반의 실내 보행자용 길 안내 애플리케이션 UI 디자인 연구

Title
증강현실 기반의 실내 보행자용 길 안내 애플리케이션 UI 디자인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UI Design of Road Guide Application for Indoor Pedestrian Based on Augmented Reality : Focused on the transfer passage at Gangnam Station
Authors
최지은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UX(UserExperience)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종훈
Abstract
지하철은 도시화와 산업화가 진행되면서 인류에게 중요한 이동수단이 되었다. 수도권 내에 노선이 점차적으로 확장됨에 따라 환승을 통해 다양한 지역에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어 이용객의 수도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노선을 연결하는 환승역도 함께 많아지고 있다. 하지만, 이용객의 증가에 따른 승강장 또한 이용객으로 포화상태가 되었으며, 환승역의 경우 경로를 안내해야 하는 안내표지판의 콘텐츠가 복잡 해져 정보를 이해하지 못하거나 인파가 몰려 안내표지판을 제대로 확인하지 못하고, 목적지가 다른 환승객과 출입구로 향하는 이용객이 비좁은 승강장 내에서 보행을 하며 길을 헤매거나 지하철의 탑승 및 환승에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바탕으로 하여 지하철 이용객들이 복잡한 승강장 내에서 목표지점까지의 원활한 이동을 돕기 위해 증강현실 기반의 보행자 용 길안내 애플리케이션을 제안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안내표지판에 정보의 콘텐츠가 많아지게 되면 오히려 자신이 알고자 하는 정보를 습득하기 어려운 현상이 발생하며, 보행 시 인파가 몰릴 경우 안내표지판을 제대로 확인하지 못한다는 어려움을 겪는다는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사용자의 위치와 보행 상황에 알맞은 정보를 제공해주는 시각정보 기반의 길안내 서비스를 제안하여 지하철 역사 내 보행 이용경험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기대 하였다. 복잡한 지하 환승 공간의 지하철 이용 경험을 관찰하기 위하여 국내에서 유동인구가 가장 많은 강남역의 환승 구간을 연구를 위한 지하철 역사 내 보행 경로로 선정하고, 지하철 역사 내에서 보행자의 보행 정황에 맞는 정보를 노출시킬 수 있는 증강현실 기반의 길안내 UI를 제안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 논문을 통해 증강현실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증강현실 길안내 UI의시각 표현 유형, 증강현실의 사용성 평가항목에 대해 알아보았고, 문헌 조사를 바탕으로 지하철 역사 보행 안내 표지판의 현황과 안내표지판의 종류를 알아보았으며, 물리적, 공간적 한계를 넘어선 지하철역사 내 안내 가이드의 필요성에 대하여 입증하였다. 둘째, 강남역의 현황 분석을 하여 타 역보다 승강장이 좁고 복잡한 원인에 대하여 이해하였고, 필드리서치를 통해 본 논문이 연구를 위해 보행 경로로 선정한 환승 구간의 페인 포인트를 발견 및 도출하였다. 셋째, 심층 인터뷰 대상을 선정하여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고, 이용객들의 불편사항과 니즈를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어피니티 다이어그램을 제작하여 사용자의 목표를 도출하였으며, 행동패턴분석을 통해 2개의 퍼소나를 설계하여 강남역 환승 통로의 이용자를 대표하도록 하고 사용자 여정 지도를 제작하였다. 마지막으로, 사용자 여정 지도를 통하여 프로토타입을 만들고 심층 인터뷰에 참여하였던 동일한 인터뷰 대상자들 중 행동패턴분석으로 그룹 지어진 일부에게 프로토타입을 직접 테스트하는 과정을 수행한 뒤 만족도 평가와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증강현실 기반의 길안내 UI가 기존 안내표지판의 불편함을 개선하고 강남역 환승 통로의 길 찾기의 페인 포인트를 해결할 수 있으며, 보행 경험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는 증강현실 기반의 보행자용 길안내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연구를 제안하여 지하철 역사 내 환승 보행 경험을 향상시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유동인구가 많은 강남역 환승 구간을 중점으로 연구가 이루어졌지만, 본 연구를 통해 강남역의 환승 구간뿐만 아니라 증강현실이 다른 실내의 보행 경험의 개선에도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As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progressed, subways became an important means of transportation for humankind. With the gradual expansion of lines in the metropolitan area, it is convenient to use it in various areas through transit, the number of passengers is increasing every year, and the number of transfer stations connecting lines is also increasing. However, as the number of passengers increases, the platform becomes saturated with passengers. As they cannot correctly check the information signs, passengers who are transiting to other destinations and passengers heading to the entrance/exit are complaining of difficulty in boarding and transiting subways, as well as walking through the cramped platform. Therefore, based on these problems, this research proposes an augmented reality-based pedestrian route guidance application to help subway users navigate smoothly from complex stations to their destina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it is difficult for people to learn the information they want to know when there are many information contents on the guide signs, and they cannot correctly check the guide signs when there are crowds of people while walking. We proposed a visual information-based route guidance service that provides information suitable for the user's location and walking situation and expecte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improving the walking experience of the subway. In order to observe the experience of using the subway in the complex underground transit space, the Gangnam Station, which has the largest floating population in Korea, was selected as a walking route of the subway for research, and the walking conditions of pedestrians of the subway. We proposed an augmented reality-based guidance UI that can expose appropriate information. The specific research process is as follows. First, through previous papers, we investigat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augmented reality, the visual expression type of augmented reality route guidance UI, and the usability evaluation items of augmented reality, based on a literature survey,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us of subway historical pedestrian guide signs and the types of guide signs. We proved the need for a subway guide that transcends physical and spatial limits. Secondly, we analyzed the current situation of Gangnam Station, understood the reasons why the boarding area is narrower than other stations and complicated, and through field research, we discovered and derived the pain points of the transfer section that was selected as the walking route for this paper's research. Thirdly, we selected the subjects for in-depth interviews and proceeded with in-depth interviews to understand the inconveniences and needs of customers. Based on this, we created an affinity diagram to derive the user's goal, designed two personas through behavior pattern mapping, and created a user itinerary map to represent the users of the transit passage at Gangnam Station. Finally, we created a prototype through the user itinerary map and directly tested the prototype on some of the same interviewees who participated in the in-depth interview, grouped by behavior pattern mapping, and then evaluated satisfaction and I did an in-depth interview. As a result, it was determined that the augmented reality-based route guidance UI can improve the discomfort of existing guide signs, solve the pain point of route search in Gangnam station transfer passage, and help improve walking experience.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in proposing a route guidance application for pedestrians based on augmented reality for a smooth transfer walking experience in the subway. Although the research focused on the transit section of Gangnam Station, which has a large floating population, it is expected that augmented reality will help improve the walking experience not only in the transit section of Gangnam Station, but also in other indoor area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UX(User Experience)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