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13 Download: 0

NORC 관점의 고령친화생활환경의 물리적환경 조성을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 연구

Title
NORC 관점의 고령친화생활환경의 물리적환경 조성을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legal system for the physical environment of aging-friendly living environment from the NORC perspective
Authors
최경령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건축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미선
Abstract
This study, taking the Seobinggo apartment district, Seoul, as a case study, sought to present the areas of improvement required in the legal systems that exist to create senior-friendly physical and social environments from the perspective of naturally occurring retirement communities (NORC).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such legal systems and analyzed major case studies at home and abroad on senior-friendly living environments, addressing the areas of improvement required in the district unit planning of the Seobinggo apartment district and deriving relevant improvement measures. Additionally, based on analytical findings, this study proposed a range of feasible ways to improve the senior-friendly living environments in the Seobinggo apartment district through the process of overhauling and streamlining related legal systems. Korea has become an “aged” society and will be approaching the status of a “super-aged” society by 2025. Moreover, it is expected that approximately half of Koreans will become senior citizens by 2070. As the population ages, the nation is likely to witness a growing number of NORCs, which are not planned residential complexes for the aged. Therefore, in preparation for rapidly emerging NORCs, it is of utmost importance to create senior-friendly living environments or communities and make them available for as many senior citizens as possible. In particular, the nation is urgently advised to develop elder-friendly living environments centering on the special but universal apartment type of housing in Korea. The majority of previous studies on the creation of senior-friendly environments revolve around the urban environment from a macro perspective and space planning from a micro perspective. Few studies have explored local communities and living environments in which the elderly are most prolific. Among the required environments for the elderly, the physical environment must be created first as it underlies the social and service environments. Nevertheless, the nation’s policies that have been formulated to create elder-friendly physical environments leave something to be desired. Thus, to universalize the physical aspect of senior-friendly living environments, it is imperative to introduce new effective legal systems while improving the current ones. The key analytical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analyzed a series of case studies conducted at home and abroad on elder-friendly living environments and devised policy measures that aim to build senior-friendly physical environments. The proposed policy measures can be categorized as urban environment (five measures each for transportation and walking) and facility environment (two for apartment complexes and eleven for facilities). Facility-related policy measures are further divided into five for leisure, five for care and health, and one for employment. Second, this study examined the district unit planning, which is publicly available, for the creation of senior-friendly living environments in the Seobinggo apartment district and identified a host of deficiencies in the planning. Except one for transportation and two for walking, the district unit planning in terms of the urban environment proved to be insufficient for proposed policy measures. As for the facility environment, the planning is not ready to embrace any of policy measures, and thus is in urgent need of supplementation. Third, the review of the current legal systems developed to create senior-friendly physical environments revealed that such legal systems do not reflect demographic changes. In other words, an increasing demand for legal and institutional support, which is necessary to create elder-friendly living environments in which senior citizens can lead their high-quality lives, is not being met by supply. Fourth, this study held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to structuralize the areas of improvement in the district unit planning for the Seobinggo apartment district and improve the current legal systems governing the creation of senior-friendly living environments in the region. The interview results indicate the need for more comprehensive legal intervention in constructing elder-friendly living environments in the Seobinggo district. This study derived the following improvement measures. Following the conformity with the hierarchy of law in the improvement of district unit planning for the Seobinggo apartment complex, this study proposes the following improvement measures for three different cases: connecting with relevant existing clauses of the corresponding legal system, revising existing clauses for extended application and adding new clauses. The measures that aim to improve the transportation aspect of the urban environment were formulated based on The Road Traffic Act, The Act on Promotion of the Transportation Convenience of Mobility Disadvantaged Persons, The Urban Traffic Improvement Promotion Act, The Bicycle Act, The Parking Lot Act, The National Land Planning and Utilization Act, and their subordinate statutes and systems. The measures formulated to improve the walking aspect were proposed through The Road Traffic Act, The Building Act, and their subordinate statues and systems. The measures developed to improve the complex-related aspect of the facility environment were suggested based on The Act on Promotion of the Transportation Convenience of Mobility Disadvantaged Persons, The Welfare of Senior Citizens Act, and their subordinate statutes and systems. The measures for the improvement of facilities were devised through The Parking Lot Act, The Welfare of Senior Citizens Act, The Act on Urban Parks and Green Areas, The Installation and Utilization of Sports Facilities Act, The Dementia Management Act, and their subordinate statutes and systems. The framework of senior-friendly living environments, when introduced to other related legal systems, including the apartment district unit planning which is currently on the drawing board to incorporate the improvement measures proposed by this study, can be applied not only to the Seobinggo district but also to other apartment complexes. However, this study has a limitation in that it did not reflect the voices of the elderly who play an integral role in developing and operating senior-friendly living environments from a NORC perspective. Nevertheless, this study delved into policies for elder-friendly living environments centering on the apartment district and proposed effective measures to improve existing policies, which warrants academic attention. Future studies should conduct resident surveys to reflect real consumers’ needs in their research and subsequently lay a foundation upon which policies tailored to specific locality needs can be formulated, enabling elderly residents to effectively navigate a super-aged society by providing them with high-quality senior-friendly living environments.;본 연구는 서빙고아파트지구를 사례로 NORC 관점의 고령친화생활환경의 물리적 환경 조성을 위한 법제도의 개선방안에 대해 제시하는 연구이다. 고령친화생활환경의 물리적 환경 조성 관련 법제도의 현황을 파악하고 국내외 주요 고령친화생활환경 사례를 분석하여 고령친화생활환경의 물리적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방안을 도출하였으며, 서빙고아파트지구 지구단위계획의 미흡한 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서빙고아파트지구 내 고령친화생활환경 조성을 위한 관련 법제도 등을 통한 개선방향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우리나라는 고령사회에 진입하였고 2025년에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하고 2070년에는 전체 인구의 절반 정도가 고령자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계획된 노인주거단지는 아니지만 고령인구가 밀집된 노인밀집주거단지인 NORC가 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NORC의 등장에 대비하여 고령친화적 지역사회, 즉 고령친화생활환경을 조성하고 보편화하는 것이 우선적인 과제이다. 특히, 아파트라는 특수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보편적인 주거형태를 중심으로 고령친화생활환경으로의 변화가 시급하다. 그러나 기존의 고령친화적 환경 조성 관련 선행연구들은 지금까지는 거시적 관점의 도시환경과 미시적 관점의 공간계획 등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주를 이루어 왔고 고령자들의 일상생활권인 지역사회 및 생활환경에 대해 다루는 연구는 미비하였다. 그 중에서도 고령친화생활환경의 물리적 환경은 사회적 환경과 서비스 환경의 기반이 되어 먼저 조성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고령친화생활환경의 물리적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정책적 방안이 미흡하다. 따라서 고령친화생활환경의 물리적 환경을 보편화하기 위해서는 이를 제공하기 위한 법제도의 마련과 개선이 시급하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외 고령친화생활환경 사례들을 분석하여 고령친화생활환경의 물리적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정책적 방안을 도출한 결과, 도시환경 범주의 교통 요소 항목이 5개, 보행 요소 항목이 5개, 시설환경 범주의 단지 요소 항목이 2개, 시설 요소 항목이 11개로 나타났다. 또한 시설 요소 항목은 여가시설 관련 항목이 5개, 돌봄 및 건강시설 관련 항목이 5개, 일자리 시설 관련 항목이 1개로 구성되었다. 둘째, 사례로 선정한 서빙고아파트지구의 고령친화생활환경을 조성하기에 공람된 지구단위계획 상에 미흡한 점이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통 요소의 1항목, 보행 요소의 2항목을 제외하고는 모두 미흡한 것으로 드러났다. 단지와 시설을 포함하는 시설환경은 모든 항목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나 도시환경에 비해 보완이 시급한 상태이다. 셋째, 고령친화생활환경의 물리적 환경 조성 관련 법제도의 현황을 파악하는 과정을 통해 인구구조의 변화에 따른 법제도적 지원이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인구 비율의 변화에 따라 수요에 맞는 제도적인 뒷받침과 안전하고 편안하며 고령자들의 높은 삶의 질을 보장하는 고령친화생활환경을 필요로 하나 이러한 수요에 맞는 공급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었다. 넷째, 전문가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여 서빙고아파트지구 지구단위계획의 미흡한 점을 구조화하여 서빙고아파트지구의 고령친화생활환경 조성을 위한 법체계를 재정립한 결과 서빙고아파트지구 고령친화생활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법 체계보다 더 많은 법제도의 개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서빙고아파트지구 지구단위계획의 미흡한 점의 적절 위계에 맞춰 해당 법제도의 기존 조항과의 연결이 필요한 경우, 연계 및 확대 적용을 위해 기존 조항을 개정하는 경우와 신설 조항이 필요한 경우로 고령친화생활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세 가지의 개선책을 제안하였다. 도시환경의 교통 요소 계획의 개선방안은 「도로교통법」, 「교통약자법」, 「도시교통정비법」, 「자전거법」, 「주차장법」, 「국토법」과 그의 하위 법령 및 제도들을 통하였다. 또한, 보행 요소 계획의 개선방안은 「도로법」, 「건축법」과 그의 하위 법령 및 제도들을 통해 제시하였다. 시설환경의 단지 요소 계획의 개선방안은 「교통약자법」, 「노인복지법」과 그의 하위 법령 및 제도들을 통해 제안하였다. 또한, 시설 요소 계획의 개선방안은 「주차장법」, 「노인복지법」, 「공원녹지법」, 「체육시설법」, 「치매관리법」과 그의 하위 법령 및 제도들을 통해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개선방안에 대해 현재 수립 중인 아파트지구 지구단위계획을 포함하여 관련된 타 법제도에도 고령친화생활환경 관련 내용을 도입하면 서빙고지구뿐만 아니라 다른 아파트 정비 지역에도 적용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본 연구는 NORC 관점의 고령친화생활환경은 개발과 운영에 있어 주민들 스스로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고령인구의 직접적인 요구사항을 반영하지 못했다는 한계를 갖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고령친화생활환경 정책에 대해 아파트지구를 중심으로 다루었으며 기존 정책에 대해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미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의 한계를 감안하여 후속연구에서 주민 설문조사를 통해 수요자들의 요구도 반영 및 보완하면 향후 초고령사회에 대비하여 주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고령친화생활환경 정책을 마련하는 토대가 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건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