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14 Download: 0

부산시민공원의 사례로 본 도시공원 경계부의 입체적 도시설계 전략 연구

Title
부산시민공원의 사례로 본 도시공원 경계부의 입체적 도시설계 전략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Multifaceted Urban Design Scheme for Urban Park Boundaries Focused on Busan Citizens Park
Authors
윤지예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건축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유다은
Abstract
본 연구는 경계의 다중적인 성격 및 입체적 도시설계 전략을 중심으로 공간적·기능적으로 단절된 도시공원 경계부의 연계성을 강화하기 위한 입체적 도시설계안을 제시하였다. 경계의 다중적인 성격을 바탕으로 경계가 가지는 다중적 속성을 파악하고 입체적 도시설계 전략을 도출하였으며 도심 내 이전적지 개발사례인 부산시민공원 일대의 경계부의 연결성, 장소성, 다공성을 증진하기 위한 입체적 도시설계안을 제시하였다. 도심 내 이전적지는 기존의 기능이 도시의 환경적, 기능적 요구에 부합하지 못할 때 발생한다. 도심 내 이전적지는 도심 내 개발가능한 필지가 부족한 상황에서 공원과 주거단지와 같은 대규모 시설을 공급하기 위한 주요한 자원으로 인식되고 있으나, 기존의 기능이 가졌던 단절적인 성격을 해소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이전적지는 도심 내 공원을 공급하기 위한 주요한 자원 중 하나이므로 이전적지 공원화 과정에서 주변 조직과의 연계성이 주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공원 계획이 주변지역과 분리되어 수립되면서 도시공원과 주변지역 간의 연계성이 충분히 고려되지 않은 사례를 발견할 수 있다. 도심 내 이전적지 개발은 주변지역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며 이전적지 공원화 사업의 경우 공원 주변지역이 정비사업을 통해 주거단지로 개발되기도 한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정비사업을 통한 단지형 개발방식은 주거단지의 경계가 완충녹지나 옹벽으로 구성되거나 사회적 통제로 인해 단절적인 성격이 해소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도시공원과 주변 도시조직과의 연계성 향상을 위하여 도시공원과 주거단지 양 측면을 모두 고려한 입체적 도시설계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부산시민공원을 포함하여 이전적지에 계획된 도시공원의 경우 공간적·기능적으로 단절적인 경계가 충분히 해소되지 못한 사례를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단절적인 경계의 해소를 위하여 경계는 다중적 성격을 가질 필요가 있는데, 이는 두 영역을 구분하는 동시에 두 영역을 매개하는 영역으로 기능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경계의 다중적인 성격은 경계를 구성하는 물리적, 시각적, 심리적 요소에 의하여 두 영역을 연결하고(연결성) 다양한 활동과 경험을 담을 수 있는 장소로 기능하거나(장소성), 경계에서의 다양한 상호침투가 가능하게 하여 물리적·시각적 개방성을 부여할 수 있다(다공성). 둘째, 경계가 가지는 다중적 속성을 구현하기 위한 입체적 도시설계 전략은 크게 세 가지 입체적 도시설계 전략(동선의 연결, 시각적 연결, 프로그램적 연결) 및 다섯 가지 세부 설계전략(계단·경사로·공중가로, 연속적 바닥면, 시각적 연결, 공공건축물, 광장)이 있다. 즉, 경계부의 연결성 향상을 위하여 계단·경사·공중가로, 그리고 연속된 바닥면을 통해 동선을 연결할 수 있으며 장소성 향상을 위해 공공건축물과 광장을 설치하여 두 영역을 프로그램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다공성 향상을 위하여 시각적 투과성을 통한 시각적 연결, 연속된 바닥면을 통한 동선의 연결을 통해 두 영역의 상호침투를 유발할 수 있다. 셋째, 도심 내 이전적지 개발사례인 부산시민공원 일대 경계부를 대상으로 입체적 도시설계안을 제안하였다. 부산시민공원 일대 경계부는 미군기지로 사용되었던 이전시설의 폐쇄적인 성격에 의하여 일부 단절적인 경계가 존재하고 있다. 부산시민공원은 연결성의 측면에서 도로로 인한 단절이 존재하고 장소성의 측면에서 다양한 활동의 발생 가능성이 부족하며, 다공성의 측면에서 일부 단절적 경계에 의한 물리적·시각적 단절의 문제가 있다. 또한 부산시민공원 주변지역이 ‘시민공원주변 재정비촉진지구 및 촉진계획’과 ‘부전역 복합환승센터 계획’ 등이 예정된 만큼 부산시민공원의 경계는 매개하는 영역으로서의 경계의 다중적인 성격이 강조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부산시민공원 일대 경계부에서의 연결성, 장소성, 다공성 향상을 위한 핵심 전략으로 연속적 바닥면, 공공건축물, 그리고 광장을 선정하고 경게부 마스터플랜을 제안하였다. 주변지역으로부터 공원으로의 연결성 향상을 위하여 연속적 바닥면을 동측 경계부에 1개소 추가하여 총 2개소 계획하였으며, 공원 경계부에서의 장소성 향상을 위하여 동측 및 남측 경계부에 공공건축물을 2개소 추가하여 총 3개소 계획하였다. 또한 경계부에서의 장소성 및 다공성 확보를 위하여 주요 보행동선을 중심으로 광장을 5개소 추가하여 총 6개소를 계획하였다. 특히, 부산시민공원과 부산시민공원 재정비촉진 3구역 간의 경계부를 전략 구역으로 설정하고 입체적 도시설계 전략을 세부적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경계가 가지는 다중적인 성격을 바탕으로 경계의 다중적 속성 및 입체적 도시설계 전략을 도출하고 부산시민공원 일대 경계부를 대상으로 입체적 도시설계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분석의 내용 및 입체적 도시설계안은 부산시민공원 일대 경계부를 포함하여 다양한 경계부에 적용가능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도시 경계부의 연결성, 장소성, 다공성을 향상하기 위한 도시·건축 계획에 활용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This study presented a multifaceted urban design plan to strengthen the connectivity of the spatially and functionally disconnected boundaries of urban parks, focusing on the multiple characteristics of boundaries and multifaceted urban design strategies. This study identified multiple boundary attributes and derived a multifaceted urban design strategy. This approach enhances connectivity, sense of place, and porosity of the boundaries of the Busan Citizens Park area, which is a development case of a relocated site within the city. A relocated site within a city occurs when existing functions of a building or facility fall short of the environmental and functional needs of that city. Relocated sites within cities are recognized as a major resource for supplying large-scale facilities, such as parks and residential complexes under the shortage of land available for development. However, there are some cases where the disconnected nature of existing functions would not be removed. In particular, because the relocated site is one of the main resources for supplying parks in a city, there is a need for considering connectivity with the surrounding urban fabric in the process of transforming the relocated site into a park. However, there are cases where a park plan does not consider connectivity between the park and the surrounding areas sufficiently. The development of relocated sites within cities further affects the surrounding areas, and in the projects developing parks at relocated sites, the areas surrounding the park may be developed as a residential complex through additional maintenance projects. However, in the complex-type development approach of maintenance projects, there are many cases where boundaries are green buffer zones, retaining walls, or otherwise limited due to social control. Thus, there is a need for a multifaceted urban design scheme, which considers both aspects of the park and the residential complex to enhance connectivity between the park and the surrounding urban fabric. First, there are many urban parks projects planned in relocated sites, including Busan Citizens Park, while their spatially and functionally disconnected boundaries have not been sufficiently removed. To remove these disconnected boundaries, there is a need for multiple characteristics that concurrently separate and mediate two certain areas. Due to their multiple characteristics, boundaries mediate two areas by the physical, visual, and psychological factors constituting the boundary (connectivity). Additionally, boundaries constrain various activities and experiences (sense of place). Or boundaries allow various penetrations, thereby adding physical and visual openness (porosity). Second, multifaceted urban design scheme which realize the multiple attributes of boundaries are largely divided into three types (connection of flow, visual connections, and program-based connection), and five detailed design strategies (stairs·ramps·bridgies, continuous floors, visual connections, public buildings, plazas). Specifically, the flow can be connected through stairs·ramps·bridgies, as well as continuous floors to improve the connectivity of the boundaries. Or the two areas can be connected through programs by installing a public building or plaza at the boundary to enhance the sense of place. Furthermore, to improve porosity, mutual penetration of the two areas can be facilitated by visual connection through permeability, as well as connection of flow through continuous floors. Third, this study proposed a multifaceted urban design plan for the boundaries of the Busan Citizens Park area, which is a development case of a relocated site within the city. Due to the closed nature of the previous facility, which was used for U.S. military camp, there is some disconnection along its boundaries. Busan Citizens Park has the following problems: 1. there is a disconnection due to roads in terms of connectivity, 2. there is a lack of possibility of occurrence of various behaviors in terms of the sense of place, and 3. there is an issue of physical and visual disconnection due to some disconnected boundaries in terms of porosity. In addition, because the “Reorganization Promotion District and Promotion Plan around Busan Citizens Park(시민공원주변 재정비촉진지구 및 촉진계획)” and the “Bujeon Station Complex Transit Center Plan(부전역 복합환승센터 계획)” are scheduled for the areas surrounding Busan Citizens Park, there is a need for emphasizing the multiplicity of the boundaries as a mediating sphere. This study, focusing on key strategies to enhance connectivity, placeness, and porosity in the boundaries of the Busan Citizens Park area, selected continuous floors and the installation of public buildings and plazas, and proposed a master plan for the boundaries. To improve the connectivity from the surrounding areas to the park, a total of two continuous floors were planned by adding another spot at the eastern boundary. To improve the sense of place at the boundaries of the park, a total of three public buildings were designated by adding one each to the eastern and southern boundaries, respectively. Moreover, to secure the sense of place and porosity at the boundaries, a total of six plazas were planned by adding five more along the major flow of pedestrians. In particular, the boundary between Busan Citizens Park and its Redevelopment Promotion Zone 3 was set as a strategic zone to present a multifaceted urban design strategy in detail. Based on the multiplicity of boundaries, this study derived multiple attributes of boundaries, and further presented a multifaceted urban design plan for the boundaries of Busan Citizens Park area. This analysis and the multifaceted urban design plan exhibit significance in their applicability to various boundaries, including those of the Busan Citizens Park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tilized for urban and architectural planning to enhance connectivity, the sense of place, and porosity of urban boundar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건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