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54 Download: 0

근대 여성 음악가에 대한 젠더 담론

Title
근대 여성 음악가에 대한 젠더 담론
Other Titles
Gender discourse on modern female musicians: Focusing on magazines in the 1920s and 1930s
Authors
고기은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은하
Abstract
본 논문은 1920-1930년대에 창간된 잡지들에서 근대 여성 음악가들을 어떻게 표상하고 있는지를 읽어냄으로써 그녀들에 대한 차별과 배제를 당시의 젠더 담론으로 해석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었다. 1920-1930년대는 일본, 미국 등지에서 귀국한 유학생들과 1927년 경성방송국 개국 및 1930년대 본격적인 대중가요 음반의 발매 등으로 여성 음악가들의 사회적 진출이 활발해진 시기였다. 또한 3·1 운동 이후 일제의 문화정치로 인해 양적으로 팽창된 근대적 매체는 근대 여성들이 목소리를 낼 수 있는 공간의 확장을 의미했다. 음악과 잡지가 근대 여성 음악가들이 등장한 공적 공간이라는 점에서 공통점을 갖기에 본 논문은 1920-1930년대에 창간된 잡지들에서 표상된 근대 여성 음악가들을 주목했다. 1920-1930년대에 창간된 『신여성』(新女性, 1923), 『여성지우』(女性之友, 1929), 『신가정』(新家庭, 1933), 『여성』(女性, 1936), 『삼천리』(三千里, 1929)에서 살펴본 근대 여성 음악가들에 대한 인식은 대부분 부정적이며, 그녀들의 예술 활동에 대해 인정하지 않는 양상으로 나타났다. 근대 기사들은 여성 음악가들의 음악적 소양이나 연주에 대한 평보다는 그녀들의 외양이나 근대적 의식주, 풍문으로 들은 이야기, 연애, 정사 등을 흥밋거리로 제공했다. 여성 음악가들은 사치스럽고 허영이 많은 존재로 그려졌으며, 그녀들의 연애는 풍기문란과 정조유린이라는 윤리적 병폐의 논란이 되었다. 기혼 유자녀인 여성 음악가들은 음악적 소양을 게을리 하거나 음악활동을 포기하면서까지 가사에 충실해야 했으며, 음악활동을 하게 되었을 때 그에 대한 비판과 수모를 감수해야 했다. 무대라는 공적 공간에 등장한 여성 음악가들은 남성들의 관찰과 응시의 대상으로 묘사되었는데, 특히 대중가수로서의 여성이나 기생의 경우 예술가나 예인으로서보다 부도덕한 여성으로 기본 설정되는 경향이 지배적이었다. 근대 여성 음악가들에 대한 이러한 인식은 지식인 남성들에 의해 ‘개조의 대상,’ ‘나쁜 신여성인 모던걸,’ ‘양처/주부’라는 당시의 젠더적 범주 안에서 담론의 대상이 되었다. 지식인 남성들은 여성 음악가들에게 인격의 자각과 실력수양 없이 자유와 평등을 주장하지 말라고 훈계했고, 여성 음악가들의 뛰어난 재주도 허영심이 되어 지식인 남성들의 규율과 통제를 받게 되었다. 반면 가사를 전담하기 위해 음악적 소양을 게을리하거나 음악활동을 중단하는 것은 모범적인 모습으로 비추어졌으며, 유행 여가수나 기생들은 결혼을 했더라도 양처/주부의 모습으로 그려내는 것을 자제했고, 기생의 경우 결혼상대로 부정되기까지 했다. 본 논문은 1920-1930년대 잡지에 창간된 잡지의 글을 통해 근대 여성 음악가들을 악단 내에서 배제하고 차별하기 위해 지식인 남성들이 보여준 일관적이지 않은 태도 및 이중적인 시선과 더불어 이들 잡지에 표상된 근대 여성 음악가들의 위치를 확인했다.;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nterpret the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of women as a gender discourse at the time by reading how modern female musicians are represented in magazines founded in the 1920s and 1930s. The 1920s and 1930s were a time when female musicians entered the society actively, with international students returning from Japan and the United States, the opening of Gyeongseong Broadcasting Station in 1927, and the release of full-fledged popular song records in the 1930s. In addition, the modern media, which was quantitatively expanded due to Japanese cultural politics after the March 1st Movement, meant the expansion of the space where modern women could voice their voices. Since music and magazines have something in common in that they are public spaces where modern female musicians appeared, this paper paid attention to modern female musicians represented in magazines founded in the 1920s and 1930s. Recognition of modern female musicians examined in Sinyeoseong(新女性, 1923), Yeoseongjiu(女性之友, 1929), Singajeong(新家庭, 1933), Yeoseong(女性, 1936), and Samcheonli(三千里, 1929) published in the 1920s and 1930s was mostly negative and did not acknowledge their artistic activities. Modern articles provided interest in female musicians' appearance, modern food, clothing and shelter, stories heard through rumors, love affairs, and affairs rather than reviews of female musicians' musical literacy or performance. Female musicians were portrayed as extravagant and vain beings, and their love affairs became a controversy over the ethical ills of disorderly conduct and violation of chastity. Female musicians who are married and have children had to be faithful to their lyrics even while neglecting musical knowledge or giving up music activities, and when they started musical activities, they had to endure criticism and humiliation. Female musicians who appeared in the public space of the stage were described as objects of observation and gaze by men. In particular, women as popular singers or gisaengs tended to be defaulted as immoral women rather than artists or entertainers. This perception of modern female musicians became an object of discourse by intellectual men within the gender categories of ‘object of transformation,' ‘bad new woman, modern girl’ and ‘good wife/housewife' at the time. Intellectual men admonished female musicians not to insist on freedom and equality without self-awareness and skill development, and female musicians' outstanding talent became vanity and came under the discipline and control of intellectual men. On the other hand, neglecting musical knowledge or stopping music activities in order to be in charge of housework was seen as an exemplary figure, and fashionable female singers and gisaengs refrained from portraying them as adoptive good wife/housewife even if they were married. even denied This paper examines the inconsistent attitudes and dual perspectives of intellectual males to exclude and discriminate against modern female musicians within the musical circles through the articles of magazines published in the 1920s and 1930s, as well as the modern female musicians represented in these magazines confirmed their lo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