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58 Download: 0

K-POP NFT 굿즈의 활성화를 위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제안

Title
K-POP NFT 굿즈의 활성화를 위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제안
Other Titles
Proposal of mobile application to promote KPOP NFT goods: Focusing on digital wallet
Authors
김세정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영상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유미
Abstract
2021년 3월 미국의 아티스트 비플의 NFT(Non fungible token: 대체 불가능한 토큰) 작품인 <매일: 첫 5,000일(Everyday: The First 5000 Days)>이 크리스티 경매에서 높은 가격에 팔리면서 NFT는 전 세계에서 가장 핫한 키워드로 급부상하였다. NFT는 금융, 예술, 수집품, 음악, 신분 증명 등 다양한 영역으로 확대되었고, 디지털상에서 개인의 선호를 표현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엔터테인먼트 분야, K-POP 굿즈(Goods)와의 접목에 기대를 모으고 있다. 하지만 아직 K-POP NFT 굿즈와 NFT 굿즈를 활용할 수 있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연구가 부재하다. 이에 본 연구는 새로운 굿즈의 형태로 활용될 수 있는 K-POP NFT의 가능성 및 발행 현황을 확인하고, K-POP NFT를 보관하고 사용할 수 있는 지갑 어플리케이션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선행 연구를 통해 굿즈와 수집 문화, 팬덤 굿즈, NFT에 대해 살펴보니 굿즈는 키덜트 문화와 덕후 문화를 바탕으로 다양한 분야로 확장되고 있었으며, NFT 굿즈 또한 활성화되고 있는 경향을 보였다. NFT 굿즈를 감상 및 관리할 수 있는 NFT 지갑의 사례를 파악하고자 국내에서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디지털 지갑 4개(메타마스크, 카이카스, 클립, 페이버렛)를 분석하였고, 대부분의 지갑이 가상자산을 관리하는 목적으로 만들어져 NFT 감상 및 관리에는 부적합한 경향을 보였다. K-POP 굿즈의 발전 과정과 각각의 사례를 조사하니 K-POP 굿즈는 기술의 발전과 함께 실물 굿즈에서 디지털 굿즈로 변화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디지털 굿즈는 서비스의 운영 상황에 따라 감상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최근에 등장한 NFT 굿즈는 실물 굿즈에 비해 활용방안이 부재하며, 다양한 플랫폼에서 발행된 NFT 굿즈를 한 곳에 감상할 수 없었다. 이를 바탕으로 K-POP NFT 굿즈를 하나의 플랫폼에서 관리 및 전송할 수 있는 지갑 어플리케이션의 필요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지갑 어플리케이션의 구상에 앞서 사용자들의 니즈를 파악하기 위해 K-POP 굿즈 구매 경험이 있는 20~30대 남녀 20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심층 인터뷰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어피니티 다이어그램을 구축하고 퍼소나를 설정해 어플리케이션의 주요 기능과 콘셉트를 도출하였다. 어플리케이션의 콘셉트는 사용자들이 NFT를 마음대로 꾸미거나, 일상생활 속에서 인증샷을 찍고, 팬 경험의 수집을 원하는 니즈와 NFT를 보관하는 지갑 서비스를 감성적인 디자인과 편리하게 사용하고자 하는 니즈를 반영하여 ‘소유하고 수집하는 NFT 지갑’으로 어플리케이션의 콘셉트를 도출하였다. 이후 소유, 활용, 수집 3가지 키워드를 바탕으로 구성된 주요 기능에 맞춰 정보 구조를 설계하고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였다. 그다음 사용성 평가를 통해 앞서 제안한 어플리케이션의 개선사항 및 만족도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제안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기존 NFT 굿즈의 지갑, 플랫폼에 비해 NFT를 꾸미고, 인증샷을 찍고, 감상하는 등 NFT를 활발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여러 가지 지갑이나 플랫폼을 사용하지 않고 하나의 플랫폼에서 다수의 NFT를 감상할 수 있어 편리하고, SBT를 통한 팬 경험의 기록과 수집이 가능하다는 긍정적인 결과를 도출하였다. 또한 수정 및 개선사항으로는 SNS 공유 기능의 추가와 NFT 용어 자체에 대한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도록 어플리케이션 내 관련 안내가 필요하며, 연계된 실물 굿즈가 더 다양화가 필요하다는 점이 있었다. 본 연구는 시장에서 활발하게 발행되고 있으나 학문적인 연구가 미비하였던 NFT 굿즈와 디지털 지갑, K-POP NFT의 사용자 경험에 대해 연구하고, 현재 K-POP NFT 굿즈에 부재한 활용방안을 제시하여 K-POP NFT 굿즈 활성화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 투기, 투자 용도로 활용되던 NFT 대신, SBT를 통한 팬 경험의 기록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하여, 새로운 팬 문화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In 2021 March, as an American digital artist Beeple's NFT(Non fungible token) artwork "Everydays - The First 5000 Days" sold at Christie's in high price, NFT rapidly emerged as a hottest keyword in the world. NFTs have been expanded into various fields including finance, art, collectibles, music and identification. Plus, as a method to present one's preference on the digital, NFT is highly expected in integration with entertainment field and K-POP Goods. However, there is still no research on K-POP NFT Goods and mobile applications to utilize them. Hence, this research intends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to be utilized as a new form of Goods and issuance status of K-POP NFTs and to present a mobile wallet application to store and use K-POP NFTs. Based on previous studies on Goods, collection culture, fandom Goods, and NFTs, it is clear that Goods have been expanded into diverse fields based on kidult and fan culture, and that NFT Goods also have been activated. Via analyzing four digital wallets mainly used in Korea(Metamask, Kaikas, Klip, and Favorlet), it is explicit that most of them were designed to manage virtual assets and were unsuitable for NFT appreciation and management. Examining the development and each case of K-POP Goods, they inclined to convert to digital Goods from real goods, and digital Goods had a drawback that users could not appreciate them depending on the operation of the service. Recently emerging NFT Goods had lack of utility compared to that of real Goods, and it was impossible to appreciate NFT Goods minted in various platforms at once. Therefore, the necessity of a mobile wallet application that can manage and transfer K-POP NFT Goods on a single platform was recognized. Prior to the conception of the mobile wallet applica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needs of user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20 men and women in 20s and 30s who have experience in purchasing K-POP Goods. Main functions and concepts of the application were acquired by constructing an affinity diagram and setting a persona based on the data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e concept of the application as "a wallet for owning and collecting NFT" reflects the demands of users to utilize NFTs by decorating at will, taking proof shots in daily life and collecting fan experiences, and those of users to use a convenient wallet service with emotional design to store NFTs. Thenceforth, an information structure was designed and a prototype was produced according to the main functions composed of three keywords: ownership, utilization, and collection. Next, improvements and satisfaction of the proposed application were collected through a usability evaluation. The research attained positive result that it is possible to utilize NFT Goods more actively with the suggested application compared to the original NFT Goods and related platforms by decorating, taking proof shots, and appreciating them. Besides, it is evaluated that the demonstrated application is more convenient compared to original wallets as users can access to multiple NFTs at once instead of using several wallets and platforms, and it is plausible to record and collect fan experience through SBT. For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it is required to add SNS sharing function, provide guidance to relieve the difficulties regarding NFT related terms, and diversify linked real Goods. This research would lead to the activation of K-POP NFT Goods by studying digital wallets, experience of K-POP NFT users and NFT Goods which have been actively published in the market but have had insufficient academic research, and presenting the utility of K-POP NFT Goods that currently hasn't existed. Finally, this research looks forwards to utilize SBT as new fan culture by implying the possibility of recording fan experience via SBTs instead of NFTs used for speculation and investment purpos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