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36 Download: 0

부모의 학대 및 방임이 우울을 통해 학업중단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Title
부모의 학대 및 방임이 우울을 통해 학업중단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Parental Abuse and Neglect on School Dropout Youth Smartphone Addiction : Mediation Effect of Depression and The Comparison between Studying and Non-studying Groups
Authors
조혜민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전종설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학대 및 방임이 학업중단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경로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밝히고, 학업중단 청소년의 생활 경로에 따라 학업형 집단과 비학업형 집단비교를 통해 그 차이를 확인함으로써 학업중단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을 다각적으로 이해하는 것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구체적인 개입 방안을 모색하는 것에 있다. 학업중단 이후 생활 경로에 따라 집단을 구분하여 비교하였다는 점은 기존 연구들과 가장 큰 차이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학업중단 패널조사의 2차년도 패널자료로 총 59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집단 유형별로 살펴보면 학업형 학업중단 청소년 362명, 비학업형 학업중단 청소년 233명이다. 부모의 학대와 방임이 우울을 매개하여 학업중단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검증하였으며 분석을 위해 SPSS 22.0 프로그램과 AMOS 22.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학대는 학업중단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방임은 우울을 통해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우울은 부모의 방임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경로에서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방임 수준이 높아질수록 우울의 수준이 높아지며, 우울의 수준이 높아질수록 스마트폰 중독의 수준도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부모의 방임이 우울을 통해 스마트폰 중독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반면 부모의 학대가 우울에 미치는 경로와 부모의 학대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경로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부모의 학대 및 방임, 우울, 스마트폰 중독의 경로에서 학업형 학업중단 청소년과 비학업형 학업중단 청소년 간 차이를 보였다. 학업형 여부에 따라 학대 → 스마트폰 중독, 방임 → 스마트폰 중독 경로에서 집단 간의 차이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비학업형 집단만 부모의 학대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이 정적으로 유의하였으며 학업형 집단만 부모의 방임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이 정적으로 유의하였다. 나아가 집단별 경로계수를 살펴본 결과, 두 집단 모두 부모의 방임이 우울에 미치는 경로와 우울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이 정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학대와 방임의 모형 경로가 서로 다르다는 것을 증명함으로써 그 영향력에 차이가 있음을 밝혔다. 이에 현재 학대의 광의적 개념에 포함되는 방임을 학대와 구분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또한, 학대에 비하여 특성이 덜 드러나는 방임이 학업중단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문제를 더 잘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나, 방임에 초점을 둔 개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더하여 학업중단 청소년과 부모를 대상으로 둔 프로그램과 전문적인 서비스를 마련해 참여율을 높일 수 있도록 다양한 방안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둘째, 학업중단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개입을 위하여 우울의 예방을 위한 내용과 부정적 정서에 따른 대처방안의 마련에 대한 접근이 고려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현재 시행되고 있는 학업중단 청소년들 대상의 정신건강 검진의 접근성을 강화하고 우울과 스마트폰 과의존 청소년을 조기 발견하여 적절한 개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셋째, 학업중단 청소년의 중단 이후 생활 형태와 경로에 따른 차별적인 접근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기존의 연구는 성별과 빈곤에 따른 집단의 비교 등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스마트폰 중독문제에 대해 학업중단 이후 생활행태에 따른 접근은 미비하였다. 그러나 연구결과 학업중단 이후 생활 경로에 따라 부모와의 관계 인식,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학대 및 방임에 대한 영향력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이에 따른 프로그램을 구성한다면 더욱 효과적이고 차별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후속연구에서는 학업중단 청소년의 생활행태에 대한 접근으로 비행형, 직업형 등 다양한 집단을 비교·분석하여 살펴본다면 더욱 다양한 연구결과를 끌어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우울 외 분노, 불안, 외로움 등 학업중단 청소년들이 겪는 다양한 부정적 정서를 매개변수로 부모와의 관계, 또래와의 관계 등으로부터 발생하는 경로 등을 살펴보는 것으로 범위를 넓혀 확인한다면 학업중단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중독과 관련하여 개인적 요소, 환경적 요소, 관계적 요소와의 관계에 대해 폭넓은 이해를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mediation effect of depression in the effect of parental abuse and neglect on school dropouts' smartphone addiction, and then check the difference between studying and non-studying groups according to school dropouts' pathway to provide basic data and seek specific intervention plan in understanding school dropouts' smartphone addiction in various ways. The biggest feature differentiated from existing studies is that groups were divided and compared according to their pathway after dropping out. In this study, a total of 595 people were surveyed as panel data for the second year of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s panel survey. By group type, studying-type school dropouts are 362 and non-studying school dropouts are 233. In order to confirm the impact of parental abuse and neglect on school dropouts' smartphone addiction through depression, structure equation model was verified and SPSS 22.0 and AMOS 22.0 programs were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arental abuse was found not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smartphone addiction of school dropouts, but neglect affects smartphone addiction through depression. Second, depression was found to be completely mediated in the pathway of parental neglect to smartphone addiction.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neglect of parents, the higher the depression, and the higher the depression, the higher the smartphone addiction. In other words, parents' neglect can indirectly affect smartphone addiction through depression. On the other hand, the mediation effect of depression was not significant in the pathway of parental abuse to depression and the pathway of parental abuse to smartphone addiction. Third,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studying-type school dropouts and non-studying-type school dropouts in the path of parental abuse and neglect, depression, and smartphone addiction. Depending on the studying type,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the path of abuse → smartphone addiction, neglect → smartphone addiction. Specifically, only non-studying groups ha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f parents' abuse on smartphone addiction, while only studying groups had a positive impact of parents' neglect on smartphone addiction. A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path coefficient by group, it was found that both groups were positively significant in the path of parents' neglect on depression and the impact of depression on smartphone addic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y proving that the model channels of parental abuse and neglect are different, it was reveal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ir influence. Therefore, it would be appropriate to distinguish the neglect currently included in the broad concept of abuse from abuse. In addition, neglect that is less characteristics than abuse better predicts the smartphone addiction problems of school dropouts, so intervention focusing on neglect is expected to be needed in the futur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various measures to increase the participation rate by providing programs and professional services for school dropouts and their parents. Second, in order to intervene in school dropouts' addiction to smartphones, an approach to preventing depression and preparing countermeasures based on negative emotions should be considered.. To this end, the government should strengthen access to current mental health checkups for school dropouts and detect teenagers who are depressed and rely excessively on smartphones early, and seek ways to achieve appropriate intervention. Third, there is a need to approach i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ype and pathway after dropping out. Prev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by comparing groups based on gender and poverty, and In terms of smartphone addiction, access to lifestyle after dropping out has been insufficient. However, the study found that according to pathway after dropping ou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the relationship with parents and the influence of abuse and neglect on smartphone addiction.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if the program is organized accordingly, it will provide more effective and differentiated services. If future studies compare, analyze and examine various groups such as delinquent and occupational types as an approach to school dropouts's lifestyle, it is expected to lead to more diverse research results. In addition, if future studies are expanded to look at the pathways arising from relationships between parents and peers based on the parameters of various negative emotions experienced by school dropouts other than depression, such as anger, anxiety, and loneliness, they will promote a broad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environmental, and relational factors related to smartphone addiction of school dropou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