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97 Download: 0

조직 내 성평등 요인이 관리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Title
조직 내 성평등 요인이 관리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 of Gender Equality Factors in Organization on the Organization Commitment of Managers : Focus on the gender of Managers
Authors
이지성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행정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원숙연
Abstract
현대사회가 급격하게 발전하면서 노동시장의 구조 또한 다양한 형태로 변화하였다. 기존의 노동시장은 남성 중심적 경향을 보였으나 여성, 장애인, 외국인 근로자 등을 포함한 소수집단의 사회 진출이 증가하면서 노동시장을 구성하는 인력의 다양성이 높아졌다. 이러한 노동시장 내 다양성의 증가로 인해 조직 내 새로운 인력 관리를 위한 제도를 확립하거나 정비해야 할 필요가 증가하였다. 그중에서도 여성 인력의 증가로 인해 노동시장 내 여성 인력 관리를 위한 제도가 증가하였고, 그 폭 또한 넓어졌다. 관련된 제도는 여성 인력의 노동시장 진출과 진출 이후의 지원을 비롯하여 노동시장 내에서 여성 인력이 남성 인력과 동등한 입지를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이와 같은 여성과 남성 인력 간의 평등을 위한 제도는 그 효과성에 있어서 많은 학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그러나, 성평등과 관련된 연구들은 아직까지 그 대상이 여성에 한정되어 있으며, 일반 조직구성원과 관리자급 이상이 혼재된 경우가 대다수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조직 내 성평등 요인이 관리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조직 내 성평등 제고를 위한 논의를 위하여 성평등 요인을 제도적 측면과 인식적 측면으로 구분하고, 연구대상에 남성 관리자를 포함하여 보다 통합적인 관점에서 조직 내 성평등 요인에 대해 논의한다. 또한, 관리자의 조직몰입을 종속변수로 하여 관리자의 행태 자체에 집중한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하면, 본 연구는 조직 내 성평등 요인이 관리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관리자의 성별에 따라 관리자의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성평등 요인 간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조직 내 성평등 요인에 대한 논의와 함께 조직몰입과 관련된 이론적, 실증적 논의를 종합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실증분석을 위해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실시한 여성관리자패널조사 2기 1차 (2020)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통계프로그램인 SPSS 26.0을 분석에 이용하였다. 자료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해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사용하였으며, 다중공선성 문제를 확인하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직 내 성평등 요인이 관리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성별을 기준으로 집단을 구분한 뒤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평등 제도는 제도의 도입 여부와 제도의 활용 용이성이 관리자의 조직몰입에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남성 관리자의 정서적 조직몰입에는 제도의 도입 여부와 제도의 활용 용이성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나, 지속적 조직몰입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여성 관리자의 경우에는 성평등 제도가 여성 관리자의 정서적, 지속적 조직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평등 인식은 남녀관리자 모두에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고 관리자의 성평등 의식, 직속 상사의 성평등 의식, 조직인식 변수 모두 남녀관리자의 정서적, 지속적 조직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결과는 조직 내 성평등 요인이 관리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과 동시에, 관련 선행연구에서는 주로 논의되지 않았던 성별 간 차이를 탐색적으로 확인함으로써 조직 내 성평등 제고와 관련된 논의의 폭을 확장시켰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본 연구의 정책적 함의와 관련하여서는, 남성 관리자의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성평등 요인을 확인하여 조직 내 성평등 정책 및 프로그램의 활용 등의 개선과 발전에 대해 논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관리자의 조직몰입 자체에 주목하여 관리자의 근로 의욕을 높이고 나아가 일반 조직구성원의 태도 및 행태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As modern society developed rapidly, the structure of the labor market also changed into various forms. The existing labor market showed a male-centered trend, but the diversity of manpower constituting the labor market increased as minority groups, including women, the disabled, and foreign workers, increased. Due to this increase in diversity in the labor market, the need to establish or reorganize a policy for new manpower management in the organization has increased. Among them, due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female workers, the policy for managing female workers in the labor market increased, and the width also widened. The related policies aim to support female workers to have an equal position with male workers in the labor market. Such a policy for equality between women and men is attracting attention from many scholars in its effectiveness. However, studies related to gender equality are still limited to women, and most of them are mixed with general organizational members and managers. In this context,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effect of gender equality factors within the organization on manag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s study divides gender equality factors into institutional and cognitive aspects to discuss gender equality within the organization, and discusses gender equality factors within the organization from a more integrated perspective, including male managers in the research subject. In addition, the manag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is used as a dependent variable to focus on the manager’s behavior itself.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sively analyze the effect of gender equality factors in the organization on the mang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wether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factors of gender equality that affect the manag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according to the manager’s gender. For this purpose, a research model was established by synthesizing theoretical and empirical discussions related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along with discussions on the factors of gender equality within the organization. For empirical analysis, this study utilized the data of Korea Women Manager Panel (KWMP) conducted by the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The statistics program SPSS 26.0 was used for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as performed in order to verify the credibility and validity of the data, and correlation analysis was tried to check the problem of multicollinearity. In order to confirm the effect of gender equality factors in the organization on the manag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a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after classifying groups based on gender. The empirical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ender equality polic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manag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part on whether introduction of a policy and the policy utility, but there was a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The introduction of policy and the policy utility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male managers, but it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continua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e case of female managers, it was found that the gender equality policy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affective and continua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female managers. Second, it was found that gender equality awarene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oth male and female managers. Th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of the top managers, th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of the immediate manager, and the organizational perception variables all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affective and continua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male and female managers. This study has the implications of expanding the scope of discussions related to enhancing gender equality in the organization by confirming the effect of gender equality factors on manag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It also has the implications of exploring gender differences that were not mainly discussed in related previous studies. Regarding the policy implications of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discuss the improvement and development of gender equality policies and programs within the organization by identifying the factors of gender equality that affect male manag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it will increase the manager’s willingness to work by focusing on the mang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itself, and further affect the attitudes and behaviors of general organizational memb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행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