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67 Download: 0

패션을 그린 그림

Title
패션을 그린 그림
Other Titles
Paintings that Drew Fashion : Representation of Bourgeois Fashion and Consumption Culture in the Second Empire of France
Authors
윤혜준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전동호
Abstract
본 논문은 프랑스 제2제정기(1852-1870)에 활동한 작가들의 패션을 그린 그림에 관한 연구이다. 제2제정기에 활동했던 많은 작가들의 작품에서 패션이 중요한 주제 및 소재로 그려졌음에 주목하여, 당시 패션의 미학적 가치와 사회적 함의를 살펴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패션은 제2제정기 화가들에게 미학적으로 중요한 소재로서 대두되었다. 이는 실제로 패션이 제2제정기의 국가적, 계급적 차원에서 중요한 소비재로 기능하였으며, 동시에 모더니즘 회화를 현시하는 주제였기 때문이다. 당대 새롭게 출현한 근대적 소비문화 안에서 부르주아 계급은 왕과 귀족을 대신하여 경제적 지배계층이자 소비주체가 되었으며 패션에 계급적 담론을 반영하여 이를 소비하였다. 이렇듯 당대 사회·경제적 지배계층인 부르주아의 계급적 상징성을 지니며 중요하게 인식되었던 패션은 화가들에게도 중요한 미학적 소재로 인식되며 작품에 재현된다. 즉 패션은 기존의 아카데미 규범을 따르는 신화적, 역사적 주제의 고전적 회화에서 현대적 삶을 재현하는 모더니즘 회화로의 이행을 대표하며 작품에 재현되었다. 또한 패션은 화려한 물질문화와 자본주의적 소비문화로 대변되는 제2제정기를 기록하는 상징적 어휘로서 작품에 재현되며 중요한 미학적 소재로 기능하였다. 한편 패션을 그린 그림에서 복식의 착용자 대부분이 여성으로 나타나면서 젠더 역학 역시 명백하게 드러난다. 즉 당대 남성과는 다른 여성의 사회적 지위로 인해 여성의 육체는 패션과 밀접하게 결부되어 부르주아의 계급적 의미와 근대적 소비문화의 속성 및 상품 담론, 성별 관계와 성적 은유로 구축된 제국주의적 담론을 몸소 시각화하였다. 이는 당대 여성이 주체였던 남성과는 달리, 한 시대가 추구하는 미학과 이념을 시각화하는 객체였음을 암시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배경을 토대로 패션을 그린 그림에 함축된 의미를 세 가지 주제로 분류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패션은 부르주아 계급의 기호로서 작품에 나타난다. 당대 경제적 지배계층으로서 소비주체였던 부르주아는 패션의 형태와 색에 계급적 이념을 반영하여 계급 구별짓기를 실행하였다. 또한 패션은 당대 새롭게 출현한 근대적 소비문화와 상품 담론을 시각화하였다. 특히 화가들은 여성을 상품 전시물로서 드러내는 패션 플레이트의 독특한 조형적 특징들을 차용하여 작품화함으로써 이와 동일하게 여성을 패션 상품의 표상으로 드러냈다. 마지막으로 당대 파리의 현대적 패션만큼이나 빈번하게 묘사되었던 이국적 패션은 프랑스의 제국주의 행보와 세계박람회를 토대로 유행하였기 때문에 이국에 대한 정복과 힘이 곧 남성적 권력을 상징하고, 동양은 여성을 상징하였던 제국주의적 담론이 반영되어있으며, 이에 따라 이국적 패션의 여성은 작품에서 관능적인 모습으로 재현된다. 패션은 제2제정기를 대변하는 화려한 물질문화의 상징으로서 화가들에게 미학적 영감으로 작용했다. 하지만 패션은 본질적으로 상품 소비재로서 소비주체의 욕망과 소비동기가 투사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패션을 그린 그림은 당대 근대적 소비문화 안에서 패션의 주요한 소비주체였던 부르주아 계급의 욕망과 이념적 논리를 토대로 그려진 시각물이라 할 수 있다. 이처럼 본고는 패션의 수요자 관점을 비롯해 미학적 담론, 상품 담론 등 다양한 관점을 통해 패션을 그린 그림을 살펴본다. 더 나아가 본 논문은 당대 성별 위계에 의해 패션이 지닌 사회문화적 함의가 주로 여성을 통해 시각화되었음을 주장하고자 한다.;This thesis is a study on paintings of fashion drawn by the artists during the Second Empire(1852-1870) of Fr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esthetic value and social implication of fashion of those days, by paying attention to that fashion was drawn as an important theme and material in the works by many artists during the Second Empire. Fashion was rising as an aesthetically-important material in painters of the Second Empire because fashion functioned as an important consumer goods in the national and hierarchical level, and also worked as a theme that could reveal modernist paintings during the Second Empire. Within the modern consumption culture that newly appeared at that time, the bourgeoisie became an economic ruling class and the subject of consumption on behalf of the king and aristocrats, and consumed fashion by reflecting the hierarchical discourse into it. Like this, fashion that was importantly perceived based on its hierarchical symbolism of the bourgeoisie as the social/economic ruling class of the time, was represented in works by the painters who perceived it as an important aesthetic material. In other words, fashion was represented in works by representing the transition from classical paintings with mythical and historical themes following the existing norms of academy, to modernist paintings representing the modern life. Also, fashion was represented in works as a symbolic word recording the Second Empire indicating the fancy material culture and capitalist consumption culture by functioning as an important aesthetic material. Meanwhile, most of the costume wearers in paintings of fashion were women, which clearly reveals gender dynamics. In other words, due to the social status of women different from men of the time, women’s bodies visualized the imperialistic discourse that was constructed with the hierarchical meaning of the bourgeoisie, attributes & commodity discourse of modern consumption culture, gender relation, and sexual metaphor in close relation with fashion. This implies that women of the time were the object that visualized the aesthetics and ideology pursued by the time, contrary to men who were the subject. Based on this background, this thesis aims to examine the meanings implied in the paintings of fashion by classifying them into three themes. First, Fashion was shown as a sign of the Bourgeoisie in works. The bourgeoisie who was the economic ruling class and subject of consumption of the time carried out the distinction of class by reflecting the hierarchical ideology into shape and color of fashion. Also, fashion visualized the modern consumption culture and commodity discourse that newly appeared at that time. Especially, the painters revealed women as fashion goods by borrowing the uniqu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fashion plate showing women as product exhibits for their works. Lastly, the exotic fashion frequently described as much as modern fashion in Paris of the time was popular based on the imperialistic performance and world fair of France, which reflected the imperialistic discourse in which the conquest and power over foreign countries symbolized masculine power and the East symbolized women. Thus, the women in exotic fashion were represented as sexual looks in works. As a symbol of fancy material culture representing the Second Empire, fashion worked as an aesthetic inspiration in painters. Essentially, however, fashion that is consumer goods, projects the desire and consumption motivation of the subject of consumption. Thus, the paintings that drew fashion might be visual objects drawn based on the ideological logic and desires of the bourgeoisie who was the major subject of consumption of fashion within the modern consumption culture of the time. Like this, this thesis examines the paintings of fashion through various perspectives including the perspective of fashion consumer, aesthetic discourse, and commodity discourse. Furthermore, this paper intends to argue that the social and cultural implications of fashion were visualized mainly through women by the gender hierarchy of the tim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