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30 Download: 0

전후여성장편소설의 상호성 양상 연구

Title
전후여성장편소설의 상호성 양상 연구
Other Titles
Study of the Aspects of Mutuality in Post-War Full-Length Novels : Focused on the Novels of Choi Jeong-Hee, Im Ok-In, and Jeong Yeon-Hee
Authors
권혜린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미현
Abstract
본 연구는 최정희, 임옥인, 정연희의 전후여성장편소설을 대상으로 개인과 사회의 관계 속에서 나타나는 상호성을 연애, 노동, 돌봄을 통해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상호성의 양상에 따라 ‘자아 박탈의 상호성(최정희)’, ‘비폭력적 모방의 상호성(임옥인)’, ‘역동적 감응의 상호성(정연희)’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전쟁이 파괴한 개인적‧사회적 관계는 단기간에 복구되는 것이 불가능하기에 가족과 가정, 국가 중심으로 이상적인 자아상을 제시하면서 규범화되었다. 이때 남성과 여성은 동등한 주체가 아니라 위계 속에서 배분된 역할을 실행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최정희, 임옥인, 정연희의 전후여성장편소설에서는 순응/저항의 이분법에서 벗어나서 개인과 개인, 개인과 사회가 상호 영향을 주고받으며 나타나는 변화를 통해 전후의 삶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다. 이에 따라 상호성으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사적 영역에서는 연애의 자기 존중, 노동의 자기 실현, 돌봄의 자기 돌봄이 나타난다. 또한 공적 영역에서는 비연속적인 연애와 결혼 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정, 대중과의 관계를 바탕으로 한 노동, 가족 외부의 돌봄이 나타난다. Ⅱ장에서는 최정희의 작품을 통해 ‘자아 박탈의 상호성’을 살펴보았다. 전후의 사회에서 국민 되기는 남성이 무기력과 불안을 극복하고 모범적 가장으로 거듭나는 초월적 자아와 연결된다. 여성은 이러한 가장에게 종속되는 질서 속에서 국민으로 위치 지어진다. 이와 같은 비상호성이 최정희의 소설에서는 국민 되기가 무화되는 과정으로서 상호성으로 전환된다. 불안을 공유하는 과정을 통해 취약성에 기반한 상호 의존적인 존재라는 것을 인정하고, 자아 박탈을 경험하는 것이다. 이에 따른 관계적 자아는 타자에게 응할 수 있는 연대로 나아갈 가능성을 준다. Ⅲ장에서는 임옥인의 작품을 통해 ‘비폭력적 모방의 상호성’을 살펴보았다. 사회를 재건하는 과정에서 해체된 가족을 재건하기 위해 ‘스위트홈’을 이상화하면서 가부장적인 남성과 현모양처에 해당하는 여성으로, 생계 부양자인 남성과 가정주부인 여성으로 분화되었다. 이와 같은 비상호성이 임옥인의 소설에서는 사회 재건을 전유하는 과정에서 상호성으로 전환된다. 이중 모방은 상호 모방을 한다는 점에서 평등성을 지니며, 비폭력적인 상호 인정으로 나아간다. Ⅳ장에서는 정연희의 작품을 통해 ‘역동적 감응의 상호성’을 살펴보았다. 전후의 사회에서 일상을 복구하고자 하는 사회적인 시도는 무질서를 질서로 환원하는 것으로서 가정 내외부의 역할을 고정하고, 여성에게는 가정 내부의 역할에 순응하는 것을 억압적으로 강제하였다. 이와 같은 비상호성이 정연희의 소설에서는 질서를 해체하는 자유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상호성으로 전환된다. 돌발적인 마주침에서 발생하는 역동적인 감응을 따라가며 무질서를 적극적으로 사는 것이다. 연애의 상호성은 결혼을 전제로 하지 않는 연애와 다양한 가정의 형성으로 나타난다. 최정희의 소설에서는 다발적인 연애 관계가 발생하며 완전성의 가정이 아닌 가변적인 가정이 등장한다. 임옥인의 소설에서는 모험을 통해 낭만적 사랑을 재구축하며 ‘협동가족’이나 개인적인 설계도를 구상하면서 가정의 실험으로 나아간다. 정연희의 소설에서는 계약적인 연애 관계에 저항하는 해방적 연애가 나타나며 새로운 생존 방식으로서 불완전한 가정을 선택하는 것으로 귀결된다. 노동의 상호성은 대중과 연결되는 노동으로 나타난다. 최정희의 소설에서는 대중 친화적인 직업들을 선택하면서 여성을 배제했던 기술 이데올로기에서 벗어나 기술을 긍정하고 노동을 재미와 연결한다. 임옥인의 소설에서는 대중의 삶과 소통하면서 자부심을 충족하고, ‘생활’을 강조하면서도 창조적인 면을 놓치지 않으며 사회적인 변화를 이끌어 낸다. 정연희의 소설에서는 현실에 참여하면서 지식을 자유롭게 개방하고, 대중들의 고통에 공감하며 활력과 결부된 노동을 수행한다. 돌봄의 상호성은 가족 관계 외부의 돌봄으로 나타난다. 최정희의 소설에서는 자발적인 돌봄을 통해 명랑성을 유지하면서 타자의 ‘목소리’에 반응하며, 상호 돌봄 속에서 친밀성을 교환한다. 임옥인의 소설에서는 ‘센치’를 자성적으로 수행하면서 배려하는 지식인이 되기를 선택하며, 집단적인 친애를 실천하면서 유동적 연결을 구성하며 국제적인 관계를 모색하는 데까지 나아간다. 정연희의 소설에서는 불화의 주부가 등장하여 ‘생명’의 역량을 수행하며, 혈연의 허구성을 폭로하면서 확대된 친족들과 함께 감응에 기반한 돌봄 공동체를 형성한다. 이는 기존의 시각에서 부정적으로 보았던 여성의 연애, 노동, 돌봄에서의 의존성과 취약성을 긍정적으로 전환하는 계기가 된다. 결핍이나 미달, 불안정성으로서 발전되거나 극복해야 할 대상이 아니라 자기와 타자, 세계를 적극적으로 고려하는 태도를 보여 주는 것이다. 또한 사적인 영역의 범위를 넘어선 공적인 영역에 접점을 둘 때, ‘일상의 혁명’으로서 삶의 변화를 모색할 가능성과도 맞닿으며 특정 주체를 차별하지 않는 공공성과 연결된다. 본 연구에서는 전후여성소설을 상호성으로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전후문학에서의 주체가 시대의 효과이자 결과 또는 구성물이라는 단일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개인이 사회와 영향을 주고받는 과정에서 주체뿐만 아니라 관계 자체도 구성되고 있음을 밝혔다. 1950~1960년대 전후의 시기를 폐허의 시기인 동시에 복구의 시기로 볼 때, 일상화된 전쟁 속에서 여성의 전쟁을 재의미화할 필요가 있다. 이는 한국전쟁을 전후의 시기를 살아냈던 인물들과의 상호 작용이 형성되었던 구체적이고도 특수한 전쟁으로 다시 보게 한다. 나아가 대표작과 개별론 중심으로 이루어진 연구의 결과 전후여성소설 연구에서 충분히 논의되지 않았던 최정희, 임옥인, 정연희의 장편 소설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 대상의 폭을 넓혔다. 또한 윤리성과 정치성, 수행성과는 다른 결로 진행되는 상호성의 방법론을 새롭게 수립하면서 전후여성소설 연구의 다양성을 확보한다는 점에서 유의미하다.;This study would investigate the mutuality appearing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individuals and society through love, labor, and care with the post-war full-length novels written by women, including Choi Jeong-Hee, Im Ok-In, and Jeong Yeon-Hee. This study examined the mutuality, dividing it into the ‘mutuality of self-dispossession (Choi Jeong-Hee)’, ‘that of non-violent imitation (Im Ok-In)’, and ‘that of dynamic affect (Jeong Yeon-Hee)’ according to the aspects of the mutuality. Since it is impossible to recover the personal and societal relationships destroyed by the war in the short term, ideal self-images were proposed and standardized, centering around families, homes, and countries. At this time, men and women are not equal subjects but they are expected to execute the roles distributed in the hierarchy. However, the post-war full-length novels written by women, including Choi Jeong-Hee, Im Ok-In, and Jeong Yeon-Hee propose new possibilities in post-war life through changes made by affecting and being affected by individuals or an individual and society, breaking from the dichotomy of adaptation/resistance. Thus, in the process of conversion to mutuality, self-respect in love, self-realization through labor, and self-care in care appears in the private area. In addition, the family that appears in the process of non-continuous love and marriage, labor based on the relationships with the general public, and care outside the family appear in the public area. Chapter Ⅱ investigated the ‘mutuality of dispossession of the self’ through Choi Jeong-Hee’s works. In the post-war society, becoming the people connected to the transcendental self of men that overcome anxiety and are born again as model breadwinners. Women are positioned as the people in the order in which they are subordinate to these breadwinners. Such non-mutuality is converted to mutuality through the process in which becoming the people becomes nullified in Choi Jeong-Hee’s novels. Through the process of sharing anxiety, people recognize that they are interdependent beings based on vulnerability and experience the dispossession of the self. Accordingly, the relational self gives us the possibility of proceeding to solidarity by which we can respond to others. Chapter Ⅲ investigated the ‘mutuality of non-violent imitation’ through Im Ok-In’s works. As ‘sweet home’ was idealized to reconstruct family deconstructed in the process of reconstructing society, people were divided into patriarchal men and women who were good wives and wise mothers and men who were breadwinners and women who were housewives. Such non-mutuality is converted to mutuality in the process of appropriating social reconstruction in Im Ok-In’s novels. This double imitation has equality in that people mutually imitate each other, which proceeds to non-violent mutual recognition. Chapter Ⅳ investigated the ‘mutuality of dynamic affect’ through Jeong Yeon-Hee’s works. Social attempts to recover daily life in post-war society reduced disorder to order, fixed the roles inside and outside families and oppressively forced women to adapt themselves to the roles inside their families. Such non-mutuality is converted to mutuality in the process of seeking freedom to deconstruct order in Jeong Yeon-Hee’s novels. This is to live disorder actively, following the dynamic affect occurring in accidental encounters. The mutuality of love appears as the formation of love that does not presuppose marriage and various families. In Choi Jeong-Hee’s novels, multiple love affairs happen, and variable families appear instead of those of completeness. Im Ok-In’s novels reconstruct Romantic love through adventures and proceed to experiments of families, coming up with ‘cooperative families’ or personal blueprints. Jeong Yeon-Hee’s novels show a love of liberation that resists contractual love affairs and result in choosing incomplete families as a new way of survival. The mutuality of labor appears as the labor connected to people. Choi Jeong-Hee’s novels choose general public-friendly jobs, affirm technology and connect labor to fun, breaking from the technology ideology that has excluded women. Im Ok-In’s novels satisfy pride, communicating with the life of people and bring about social changes, without missing creative aspects, emphasizing ‘living’. Jeong Yeon-Hee’s novels participate in reality and freely open knowledge, sympathize with the pains of people and perform labor connected to vitality. The mutuality of care appears as the care outside family relations. In Choi Jeong-Hee’s novels, the main characters respond to others’ ‘voices’, maintaining cheerfulness through voluntary care and exchange intimacy in mutual care. Im Ok-In’s novels, they choose to be intellectuals caring for others, performing ‘senti-(mentality)’ self-reflectively, form flexible connections, practicing collective affection and advance to seeking international relations. In Jeong Yeon-Hee’s novels, housewives with troubles appear, performing the competency of ‘life’, and they form a community of care based on affect with extended family members, exposing the fabrication of blood relations. This is the momentum of positively converting women’s dependence and vulnerability in love, labor, and care into positive concepts, which have been considered negatively from the existing perspective. Not as the objects as a lack, shortage, or instability to be developed or overcome, they show the attitude that actively considers the self, others, and the world. In addition, with a point of contact in a public area beyond the range of a private area, they meet the possibility of seeking changes in life as a ‘revolution in daily life’ and are connected to publicity that does not discriminate against certain subjects. This study raised a question on the unity in which the subject in post-war literature is the effect and result or construct of the times through the process of analyzing post-war women’s novels through mutuality and noted that the relationship itself as well as the subject is reconstructed in the process in which individuals affect and are affected by society. With the post-war period around the 1950s and 1960s as a period of ruins and restoration, it is necessary to resignify women’s war in the routinized war. This allows us to revisit the Korean War as a concrete and special one in which interactions were formed with characters who survived the post-war period. Moreover, as a result of a study conducted focusing on the representative works and individual discussions, this study expanded the scope of the research subjects by dealing with the full-length novels written by Choi Jeong-Hee, Im Ok-In, and Jeong Yeon-Hee, which have not been discussed sufficiently in the studies of post-war women’s novels. In addi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ecures the diversity of studies of post-war women’s novels, newly establishing the methodology of mutuality progressing in a grain different from ethicality, politicality, and performativ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