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74 Download: 0

일제의 개신교 정책과 『성서조선』을 통한 김교신의 대응

Title
일제의 개신교 정책과 『성서조선』을 통한 김교신의 대응
Other Titles
The Protestant Policy of Japan ans the Response Kim Gyo Shin through Seongseochosun
Authors
김미정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기독교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양현혜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Japanese Protestant policy and Kim Gyo Shin's response through Seongseochosun. Until now, studies on his ideas revealed through Seongseochosun have been accumulated. However, Seongseochosun and Kim Gyo Shin's ideas are the products of the era he lived in, and Seongseochosun is the result of Kim Gyo Shin's intentional editing as the main writer. Later generations organize his writings by subject. Of course, his writings in Seongseochosun are meaningful because each of them has a completed content, but the writings of Seongseochosun have a background of the times and reflect changes in the times. So, it is important to track the changes in the topics covered in Seongseochosun and analyze how he responded to the themes of Japanese Protestant policy.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is paper examines the Japanese Protestant policies that directly or indirectly influenced Kim Gyo Shin. The Japanese religious policy and the publishing law, which is directly related to the publication of Seongseochosun, personally affected Kim Gyo Shin and Seongseochosun. However, the Japanese colonial policy was very wide because it was connected to each other like a tight net for efficient Chosun control. Accordingly, all laws and regulations implemented during the colonial period indirectly influenced Kim Gyo Shin and Seongseochosun. This study deals with the ‘The Regulations for Private Schools’ that were connected to the social background of Kim Gyo Shin. It also investigates ‘The National Mobilization Law’ and the ‘The Regulations for Shinto shrine’, which affected not only Kim Gyo Shin but also the entire Korean people. Out of the laws that served as hands and feet of the above laws, partiailar attention is paid to‘the Public Peace Maintenance Law.’ It also examines ‘the Publishing law’ and ‘the Press Law’ to control and seize the media. In addition, it tracked how these laws put pressure on his actions and how Seongseochosun responded to them, and it objectively quantified the changes in the theme of Seongseochosun. From 1927 to 1930, the main concern of Seongseochosun edited by Kim Gyo Shin was a General part of the Christian Faith. This is 17 articles, more than half of the total 29 contributions. From 1931 to 1937, the first characteristic of a numerically recognizable writing in Seongseochosun was initiation of social commentary activities. It is 24 out of 189 articles. The second is that the resurrection faith is revealed, and there are a total of 13 articles. In the period from 1938 to 1942, it can be seen that social criticism activities decreased significantly(7 articles), and the number of articles on the subject of Adventist faith increased significantly. In addition, many concerns about the publication or abolition of the Seongseochosun are revealed in Seongjotongshin. These figures illustrate the trend of response of the times through Kim Gyo Shin's Seongseochosun. In this way, the present study based on a historical analysis of Seongseochosun provides a broader understanding of Kim Gyo Shin's ideas and changes.;본 연구의 목적은 일제의 개신교 정책과『성서조선』을 통한 김교신의 대응을 살펴보는 것이다. 그동안 『성서조선』 통해 드러난 그의 사상에 대한 연구는 상당부분 축적되어 왔다. 그러나 아쉬운 점은 후대에서 만나는 김교신의 글들은 주제별로 정리되어 읽히고 있다는 점이다. 물론 그의 글들은 한 편 한 편이 완성된 내용을 갖고 있어 그 글 자체만으로도 의미가 있으나, 『성서조선』의 글들은 김교신이 시간의 흐름 속에서 작성한, ‘순서’가 있는 글이라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성서조선』과 김교신의 사상은 그가 살았던 시대의 산물(産物)이며, 『성서조선』은 김교신이 주필로서 의도를 갖고 편집한 결과물인 것이다. 이에,『성서조선』에서 다루어진 주제의 변화를 추적하며 그가 일제의 개신교 정책을 통해 볼 수 있는 그의 시대 상황 속에서 어떻게 대응하였는가를 분석하는 것도 중요할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김교신에게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던 일제의 개신교 정책들을 살펴본다. 김교신과 『성서조선』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것은 일제의 종교정책과 『성서조선』의 출판에 직결되는 ‘출판법’이다. 그러나 일제의 식민지 정책은 효율적인 조선 지배를 위해 촘촘한 그물망처럼 서로 연결되어 있어 그 범위가 매우 넓다. 이에 식민지 시대에 시행된 모든 법령들이 간접적으로 김교신과 『성서조선』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본 연구는 교사인 김교신의 사회적 배경과 연결되는 ‘사립학교규칙’과 김교신 뿐 아니라 조선인 전체에게 영향을 미쳤던‘국가총동원법’과 ‘신사규칙’을 다루며 위 법령들의 손과 발 역할을 했던 법령들 중 ‘치안유지법’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언론을 통제 ·장악하고자 한 ‘출판법’과‘신문지법’을 다룬다. 그리고 이러한 법들이 그의 행동에 어떠한 압력이 되었고 그의 『성서조선』은 이에 어떠한 대응을 했는지를 추적하여 『성서조선』의 주제의 변화를 객관적으로 수치화하였다. 1927년부터 1930년까지 『성서조선』에서 김교신이 다룬 주요 주제는 ‘기독교 신앙 일반’이었다. 이는 전제 29개의 기고 글 중 절반이 넘는 17개이다. 1931년부터 1937년까지 수치적으로 알 수 있는『성서조선』에 기고한 글의 특징은 첫 번째 사회평론 활동이 시작된 것이다. 총 189개 중 24개이며, 두 번째, 부활 신앙이 드러나는 것으로 13개이다. 1938년부터 1942년의 기간에는 사회 평론 활동이 눈에 띄게 감소한 것(7개)과 재림신앙을 주제로 다룬 글의 개수가 크게 증가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성서조선의 속·폐간에 대한 숙고가 “성조통신”에 다수 드러난다. 이와 같은 수치들은 김교신의 『성서조선』을 통한 시대적 대응의 흐름을 잘 보여준다. 본 연구를 통해 어떠한 시대적 정황과 배경 속에서 『성서조선』이 간행된 것인지를 확인하는 것은 김교신의 사상과 그 변화에 대한 보다 넓은 이해를 제공해 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기독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