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19 Download: 0

김말봉의 대중소설에 나타난 아나키즘 연구

Title
김말봉의 대중소설에 나타난 아나키즘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Anarchism reflected on Kim Malbong's popular novels
Authors
조민형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연남경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re-examine the meaning of Kim Mal-bong’s popular novels based on her political standpoint and attitude as an anarchist. As the "first popular novelist", Kim Mal-bong was underrated as the author of popular novels in the pure/popular dichotomy of literature, and her political intentions were not sufficiently read. In addition, the identity of the "first Christian female elder" made Kim Mal-bong read as an anti-communist and conservative based on Americanism. The keyword as the chairman of the women's association of the ‘Dongnimnonongdang(Independent Labors and Farmers Party)’ was mainly referenced to explain the world of Kim Mal-bong's literary work. Therefore, this research aims to read some keywords that seem conflicting, such as popular novelist, the first Christian female elder of Korea, and an anarchist can co-exist around Kim Mal-bong based on theories of Anarchism. According to Pierre-Joseph Proudhon, the ownership system is suppression of the weak by the strong, but the shared system is suppression of the strong by the weak. In brief, anarchism has a critical attitude toward both capitalism and communism. Peter Kropotkin also discussed the spirit of mutual aid as the nature of nature, including humans, and scientifically found that both nature and humans have evolved according to the nature of wanting to help each other. Therefore, anarchists emphasize the possibility of expansion and communities voluntarily created by humans, not by systems. At the same time, anarchists dreamed of the liberation of human desires that were not governed by any power. Therefore, anarchism has often been translated and introduced as ’no-governmentism’ in Korean, but it should be translated rather as 'no-leaderism' or 'no-authoritarianism'. This means that what anarchists rejected is not the state itself, but the elitist state that is dominated by power. In other words, anarchists can be said to be beings who desire freedom from everything. Therefore, the anarchists discussed the liberation of the ’state’ against the oppression of the empire and also hoped the establishment of the state would evolve through mutual aid. Chapter Ⅱ examines the direction of the ’popular’ that Kim Mal-bong tried to reconstruct from 1930s to 1950s, when it was politically and economically chaotic based on "the public." In the history of colonization, liberation, and postwar society following the Korean War, Kim Mal-bong showed different ways of responding to society under the large framework of anarchism. For example, Kim Mal-bong shares a sense of problem with communism in class awareness, but at the same time showed a critical point of view on communism, She emphasized agriculture and dreaming of a new ’kyundeung’(equal) society, but experienced further setbacks under the continuation of the colonial habitus. This change in Kim Malbong's social attitude was reflected in Kim Malbong's novel, indicating that it had an effect on forming the public.  Chapter Ⅲ reviewed the specific shape of the world in which Kim Mal-bong pursued the novel, focusing on "Moral." Anarchism theory, represented by the spirit of mutual assistance, is a theory that emphasizes individuals’ Moral. Christianity was not only her personal belief, she discovered christianity as a liberation and equality from the perspective of individual morality in her novels. The way of Kim Malbong’s interpretation of christianity is distinguished from the conservative trend of the era, also called Americanism. Furthermore, alternative communes are represented in Kim Mal-bong's novel continually, which means her desire to the commune is not limited to the "Huimangwon(The institution of the abolition of licensed prostitution)", but continued from the colonial period to the post-war period. Chapter Ⅳ reviewed Kim Mal-bong's romance novels, focusing on "Love." Anarchists are not the only ones paying attention to love, but anarchists also emphasize the value of free love, the desire that is not suppressed by the government system. Kim Mal-bong established that marriage is a representative system that destroys love. Not only reveals the reality of marriage, Kim Malbong also pursues a plot of “Bihon(denying marriage)“ narratives, representing the true love that can exist beyond the marriage system. In addition, she revealed the reality that collapses love by expanding and transforming the typical form of popular literature, commonly called "Janghanmong," and never stopped pursuing the possibility of love. Ultimately, she expanded the private and non-political areas of love to the public area and showed an anarchist-style 'politics of love'.  In the male-nationalist-elite-centered literary field, Kim Mal-bong, a female-anarchism-popular-friendly writer, has been located at the periphery of the history of literature. However, by reading popular novels of Kim Mal-bong with the theory of anarchism, her literary significance could be explored. Also, conversely, Kim Mal-bong's popular novel indicates anarchism as a political possibility here and now. Accordingly, this study tried the rediscovery of Kim Mal-bong's popular novel as an anarchist literature, which could be cracks to the existing literary field as a ’system’. Furthermore, this study attempted to classify Kim Mal-bong as a “literary historical event“ in that she is a writer who is penetrating various discourses from the era of her activities to the current literary field.;본 연구의 목적은 김말봉의 아나키스트로서 정치성을 토대로 그의 대중소설들의 의의들을 재규명하는 데에 있다. ‘한국 최초의 대중소설가’로서 김말봉은 문단의 순수/통속의 이분법적 구도 속에서 통속소설의 저자로 호명되며 그 문학적 가치가 폄하되었고, 그 정치성 또한 충분히 독해되지 못했다. 뿐만 아니라 ‘한국 최초의 기독교 여성 장로’라는 정체성은 김말봉을 아메리카니즘에 입각한 반공주의자·보수주의자로 읽히게 만들었다. 이에 따라 독립노농당의 부녀회장으로서 아나키스트 김말봉이라는 키워드는 김말봉의 작품 세계를 설명하는 데 주로 참고되지 못했던 정체성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고는 대중소설가·한국 최초의 기독교 여성 장로·아나키스트라는 대립되는 것처럼 보이는 키워드가 김말봉을 중심으로 교차될 수 있음을 아나키즘 이론들을 토대로 독해해보고자 한다. 피에르 조제프 프루동에 따르면 소유제는 강자에 의한 약자에 대한 억압이지만, 공유제는 약자에 의한 강자에 대한 억압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아나키즘은 자본주의와 공산주의 두 가지 정치·경제 체제 모두에 비판적인 태도를 지닌다. 또한 표트르 크로포트킨은 인간을 포함한 자연의 본성으로서 상호부조 정신을 논하며, 여태까지 자연과 인간 모두 서로 돕고자 하는 본성에 따라 진화되었음을 과학적으로 규명했다. 따라서 아나키스트들은 제도에 의해서가 아닌 인간들 스스로 자발적으로 꾸려낸 공동체와 그들의 가능성을 강조한다. 동시에 아나키스트들은 제도권에 지배되지 않는 인간 욕망의 자유로운 발현을 꿈꾸기도 했다. 따라서 아나키즘은 흔히 한국에서 무정부주의로 번역되어 소개됐지만, 그 의미는 사실상 ‘무-지도자주의’, ‘무-권위주의’에 가깝다 할 수 있다. 아나키스트들은 무작정 국가를 거부하기보다, 지배와 권력으로 운영되고 엘리트주의적인 성격을 지니는 국가에 거부한다. 즉, 아나키스트들은 모든 이들의 모든 것으로부터의 해방을 논하는 존재라고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아나키스트들은 제국의 억압에 맞서 국가의 해방을 논하기도 하고, 더 나아가 진화된 국가의 설립을 바라기도 하는 입체성을 지니기도 했다. Ⅱ장에서는 ‘대중’을 중심으로 바탕으로 정치·경제적으로 혼란했던 1930년대부터 1950년대를 관통하며 김말봉이 재구성하고자 했던 대중들의 방향성을 살펴본다. 식민지와 해방기, 한국전쟁에 이어 전후 사회에 이르는 역사에서 김말봉은 아나키즘이라는 큰 틀 하에 시대에 따라 다른 대응 방식을 보여주었다. 예컨대, 김말봉은 계급의식에 있어서 공산주의와 문제의식을 공유하다가 공산주의에 비판적인 태도를 보이는가 하면, 농업을 강조하며 새로운 균등 사회를 꿈꾸지만 식민 체제의 지속 하에 그 이상의 좌절을 경험하기도 한다. 이러한 김말봉의 사회적 태도의 변화는 곧 김말봉의 소설로 반영되어, 대중들을 구축하는 데에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할 수 있다. Ⅲ장에서는 ‘모랄’을 중심으로 김말봉이 소설을 추구했던 세계의 구체적인 형상을 검토해보았다. 상호부조 정신으로 대변되는 아나키즘 이론이란 곧 개인의 모랄을 강조하는 이론이다. 김말봉은 개개인의 도덕이라는 관점에서 해방과 평등으로서 기독교를 발견했고, 이를 자신의 개인적 신앙에 국한시키지 않고 자신의 소설 속에 반영했다. 이는 당대의 보수적 흐름으로서 아메리카니즘과 구분되는 것이었다. 나아가 김말봉의 소설에서는 대안적인 공동체들이 대두되는데, 이는 식민지기를 이어 해방기의 공창 폐지 운동에서의 ‘희망원’에 국한되지 않는 연속성을 지녔다는 의의를 확인할 수 있다. Ⅳ장에서는 ‘사랑’을 중심으로 김말봉의 연애소설들 전반을 재검토했다. 아나키스트만이 사랑을 주목하는 것은 아니지만 아나키스트들 또한 자유로운 사랑을 중시하는데, 이는 유정부 상태의 질서가 사랑으로 대표되는 개인의 욕망을 억압하기 때문이다. 김말봉은 제도로서 결혼이 대표적으로 사랑을 말살한다고 규명하며, 결혼의 실상을 폭로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비혼 서사의 플롯을 추구하며 결혼 너머에 존재하는 진정한 사랑을 형상화했다. 또한 흔히 ‘장한몽’이라 불리는 대중문학의 전형을 확장하고 변형하며 사랑이 방해 받을 수밖에 없는 현실을 폭로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랑을 추구하는 면모를 보였다. 이는 궁극적으로 사랑이라는 사적이고 비정치적인 영역을 공적 영역으로 확장하며 아나키스트식 ‘사랑의 정치’를 보여준 것이라 논할 수 있다. 남성-민족주의-엘리트 중심의 문학장에서 여성-아나키즘-대중 친화적 작가 김말봉은 문학사의 주변부에 위치해왔다. 그러나 이러한 김말봉 대중소설들로서 작품세계는 아나키즘 이론으로 읽어냈을 때 그 의미가 구체적으로 탐색될 수 있다. 또한 역으로 김말봉의 대중소설은 지금 여기에 새로운 정치적 가능성으로서 아나키즘을 제시한다는 데에서 그 의의를 가진다. 이에 따라 본고는 아나키즘 문학으로서 김말봉의 대중소설이 복원됨에 따라 제도로서 기존의 문학장에 균열이 가해질 수 있음을 발견한다. 나아가 본고는 작가로서 김말봉을 그가 활동한 시대에 이어 현재의 문학장까지의 다양한 담론들을 관통한다는 점에서 하나의 문학사적 사건으로 분류하고자 시도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