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84 Download: 0

한·중 문장 구성의 생략 현상에 관한 대조 연구

Title
한·중 문장 구성의 생략 현상에 관한 대조 연구
Other Titles
Comparative Study of Elliptical in Korean and Chinese Sentence : Focusing on Minor Sentences
Authors
XU, LEI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임동훈
Abstract
소형문은 일상 생활 속에 중요한 위치에 차지하고 있으며 언어 환경에서 앞뒤 문장 사이의 연결이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새로운 정보를 강조하는 데 도움이 된다. 특히나 구어에서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한국어와 중국어의 소형문은 문법, 의미, 사용 방법 등 여러 복잡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한국어와 중국어의 소형문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어법, 문법, 문장 등 측면에서 한국어와 중국어를 비교하고 그 사용 빈도에 대해 정량적 통계를 하여 한국어와 중국어의 소형문의 공통성과 차이를 밝히는 것은 본 연구의 목적이다. 제1 장에서는 연구 목적과 선행 연구에 대해 검토하며, 한·중 연극에 나타난 소형문에 대한 연구와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을 제시한다. 제2장에서는 소형문에 관련된 생략 현상의 이론적 검토, 소형문의 개념, 범위, 분류 및 특정 측면에 정리하였다. 확인한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본고에서 정의하는 소형문의 개념을 제시한다. 본고는 비주어서술어 소형문과 생략 소형문으로 구분하여 소형문의 특성을 제시하였다. 제3장에서는 한중 비주어서술어 소형문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명사, 동사, 형용사, 감탄사 비주어서술어 소형문 측면에 한중 연극에 나타난 예시를 통해 분석하였다. 한국 연극 <삼각파도>과 중국 연극 <찻집>의 구어 측면에 한중 비주어서술어 소형문의 유형, 사용 상황, 두 언어 중에 나타난 비주어서술어 소형문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제시하였다. 제4장에서는 한중 주술어 소형문에 대해 대조하여 담화 자료인 한국 연극 <삼각파도>, 중국 연극 <찻집>에 나타난 대상으로 선정하여 구어 체계 측면에 한국어와 중국어의 생략형 소형문의 유형, 구어 체계 중에 사용 상황, 두 언어의 생략형 소형문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제시하였다. 제5장은 결론으로 논의를 정리하고 마무리하였다. 따라서, 한국어와 중국어 구어체 중 소형문이 존재하며, 소형문은 한국어와 중국어에서 보편적인 언어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한국과 중국은 언어 유형, 문화, 사고방식 등에서 차이가 있기 때문에 소형문 현상도 다르다. 오랫동안 한국어와 중국어의 언어학 분야에서 소형문은 불완전한 문장으로 여겨져 그에 대한 연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으나,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소형문이 완전한 문장에 비해 더 자연적이고 자주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그러므로 소형문은 완전한 문장과 마찬가지로 중요하며 이론적 지지에 대해 더 중시해야 된다. 이는 한국어와 중국어의 언어 대조 연구, 한국어와 중국어의 언어 교육, 한국어와 중국어의 인공지능 통역 등에 밝히는데 중요한 의의가 있다.;Minor sentences play a critical role in daily life, and the connection between front and rear sentences in a language environment not only facilitates communication, but also helps to emphasize new information. It is particularly important in spoken language. Minor sentences in Korean and Chinese have a number of intricate relationships involving their grammar, meaning, and us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Korean and Chinese grammar, grammar, and sentences, as well as to reveal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languages through quantitative statistics on frequency of use. Chapter 1 discusses the study's purpose and preceding research, as well as the research subjects and methods for small texts appearing in Korean-Chinese plays. Chapter 2 summarizes the theoretical Geomton, concept, scope, classification, and specific aspects of the small door omission phenomenon. The concept of minor sentences is defined in this paper based on the findings of previous studies. This article discusses the characteristics of minor sentences, dividing them into those with non-subjective words and those with omissions. In Chapter 3, we examined non-Korean idioms' short sentences and analyzed them in terms of nouns, verbs, adjectives, and exclamations using examples from Korean-Chinese plays. The colloquial aspects of the Korean theater "Triangle Wave" and the Chinese theater "Tea House" were discussed, as well as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etween the two languages, such as the type and usage situation of Korean and Chinese non-subjects. Chapter 4 contrasted minor sentences in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and used them as objects in the spoken materials Triangle Wave and Chinese theater Tea House, highlighting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languages. As a conclusion, Chapter 5 summarizes and concludes the discussion. Therefore, both Korean and Chinese spoken languages have minor sentences, and minor sentences can be considered a common language phenomenon in both Korean and Chinese. However, because Korea and China have distinct languages, cultures, and ways of thinking, the phenomenon of short sentences varies as well. Minor sentences have long been regarded as incomplete sentences in the fields of Korean and Chinese linguistics, and as a result, research on them has been inadequate. However, for a variety of reasons, minor sentences appear more naturally and frequently than complete sentences. As a result, minor sentence are just as important as complete sentences, if not more so, for theoretical support. This is critical for elucid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and Chinese in language control research, language education, and artificial intelligence interpret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