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8 Download: 0

노인 낙인과 우울의 관계에서 사회적 고립의 매개효과

Title
노인 낙인과 우울의 관계에서 사회적 고립의 매개효과
Other Titles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iso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igmatization of older adults and depression :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s
Authors
이수지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순둘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 낙인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사회적 고립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성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노인 우울을 다각적으로 이해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18년에 시행된 「연령통합 및 세대통합 조사」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전국에 거주하는 만 65세 이상 노인 600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성별에 따라 살펴보면, 남성 집단은 253명, 여성 집단은 347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노인 낙인이 사회적 고립을 매개로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SPSS 23.0과 AMO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검증하고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 낙인은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노인 낙인이 높을수록 노인의 우울이 증가하였다. 둘째, 사회적 고립은 노인 낙인과 우울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 낙인이 사회적 고립을 거쳐 우울에 이르는 경로를 살펴보면, 총효과와 간접효과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노인 낙인이 우울에 직접적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사회적 고립을 통해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셋째, 노인 낙인이 사회적 고립을 매개하여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남녀집단 모두 사회적 고립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으며 성별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 낙인은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자기낙인을 완화하기 위한 상담 및 심리치료와 같은 전문적 개입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미디어 상에서 보여주는 노인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는 노인의 자기낙인에 영향을 주므로 이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자기낙인은 결국 사회적 낙인을 내면화하는 것으로, 타 세대가 노인을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사회적 분위기 역시 개선되어야 한다. 둘째, 노인 낙인과 우울의 관계에 있어 사회적 고립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의 사회적 고립을 예방하기 위해 노인의 사회적 관계망을 넓히고, 사회참여를 장려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사회적 고립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요인과 지역사회요인을 분석하여 각 요인에 따른 다각적 개입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노인 낙인이 사회적 고립을 매개로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성별 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매개모형은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 해당하는 것으로 노인집단 전체에 적용할 수 있는 개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후속연구에서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종단연구와 코로나 19 발생 전후의 차이를 파악하는 비교연구를 제안한다. 또한 성별 외에 노인집단 내 이질성을 유발하는 다양한 요인들을 비교 분석하여 살펴본다면 보다 흥미로운 연구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더욱 다양한 데이터를 통해 지속적으로 노인 낙인과 우울, 사회적 고립 간의 관계를 연구한다면 노인 우울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e study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isolation within the process of stigmatization of older adults affecting depression and to examine differences based on gender.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aimed to contribute to understanding elderly depression in diverse perspectives. This study drew upon the data from the "Age Integration and Generation Integration Survey" conducted in 2018, analyzing 600 elderly people above the age of 65 in South Korea, which consists of 253 male respondents and 347 female respondent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multi-group analysis were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the research model using SPSS 23.0 and AMOS 23.0 program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igmatization of older adults had a direct effect on depression. In other words, depression was proportional to stigmatization of older adults. Second, social isolation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association between stigmatization of older adults and depression. Both the total effect and indirect effec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in this research model. This implies that the stigmatization of older adults not only directly impacts depression but also indirectly impacts depression through social isolation.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isolation was verified for both male and female groups,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e implication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ince stigmatization of older adults is a factor that directly affects depression, professional interventions are required to prevent the elderly from internalizing social stigma. It is also necessary to address the problem of negative images of the elderly portrayed in the media that causes self-stigma. Given that self-stigma is an internalization of the social stigma, other generations’ negative perceptions towards the elderly should also be improved. Second, social isol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association between stigmatization of older adults and depression. Thus it is important to expand the social network of the elderly and encourage social participation. However, multifaceted interventions, which considers both individual- and community-level factors that affect social isolation, is also necessary. Finally,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groups regarding the effect of stigmatization of older adults on depression through social isolation. Since the research model was applicable to both groups, the interventions can be generalized to the larger population of elderly groups. In future research, a longitudinal study (i.e., tracking the changes over time) and the comparative study (i.e., the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should be conducted. Future research may further investigate the factors causing heterogeneity within the elderly group that go beyond gender. Most importantly, a wide range of data can contribute to exploring the association among stigmatization of older adults, depression, and social isol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