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30 Download: 0

활동적 노화(Active aging) 정도와 우울 수준의 관계

Title
활동적 노화(Active aging) 정도와 우울 수준의 관계
Other Titles
Relationship between degree of Active aging and Depression : Moderating effect of Digital Literacy
Authors
이미지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순둘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활동적 노화(Active aging) 정도가 우울 수준에 미치는 영향과 디지털 리터러시가 이 둘의 관계를 조절하는 효과를 가지는지 검증하여 노인의 전체적인 삶의 질을 제고시킬 수 있는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는 것이다. 급격한 고령층 인구 증가 추세 및 생산연령인구 감소는 사회복지 비용 지출 증가를 초래하고 있으며, 가까운 미래부터 경제성장률이 하락하기 시작할 것이라는 부정적인 전망 또한 제기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한국은 지난 10년간 한 해도 거르지 않고 줄곧 OECD 국가 중 노인 자살률 1위를 차지하고 있는데, 이는 노년기 자살에 대한 국가 차원의 사회 구조적 문제로 파악하여 정책적 지원 및 사회적 차원에서 해결할 필요성이 있음을 함의한다. 자살은 우울 증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우울 수준이 높은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자살할 확률이 높으며, 특히 노년층은 타연령층에 비해 우울증을 겪는 비율이 높다. 이와 더불어 COVID-19로 인하여 비대면 일상이 뉴노멀화 됨에 따라 사회적으로 고립되고, 우울감을 호소하는 노인들이 증가하고 있기에 이에 대한 대안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사회적 배경 속에서 ‘활동적 노화(Active aging)’의 결정 요인(determinant)들 및 ‘디지털 리터러시(Digital Literacy)’가 노인의 우울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가정하여, 해당 변수들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또한, 활동적 노화(Active aging) 정도와 우울 수준의 관계에서 디지털 리터러시(ICT Usability, ICT Capability)가 조절 효과를 가지는지에 대해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독립변수인 ‘활동적 노화(Active aging)’는 WHO(2002)를 비롯한 주요 국제기구들의 정의 및 기준을 반영하여 ‘건강(Health)’, ‘참여(Participation)’, ‘보장(Security)’의 세 가지 요인으로 구분하였고, 각 요인이 종속변수인 노인의 우울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와 더불어‘ICT 활용 수준’과 ‘ICT 역량 수준’으로 구성된 디지털 리터러시가 활동적 노화(Active aging)와 우울 수준을 조절하는 효과를 보이는지 검증함으로써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분석을 위해서 한국보건사회연구원과 보건복지부가 조사한 「2020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조사 당해연도 기준 만연령이 65세 이상인 노인 본인 응답자 총 9,555명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절차로써, 우선 Pearson 상관 분석을 통해 변수들간의 관계성을 살펴보았고, 이후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활동적 노화(Active aging) 및 디지털 리터러시가 우울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활동적 노화(Active aging)와 우울 수준 간의 관계를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이 조절하는 효과가 있는지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Pearson 상관 분석 결과 활동적 노화(Active aging)의 세 요인(Health, Participation, Security) 및 디지털 리터러시(ICT Usability, ICT Capability)가 모두 우울 수준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해 활동적 노화(Active aging)의 세 요인(Health, Participation, Security)과 디지털 리터러시(ICT Usability, ICT Capability)가 우울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이들이 우울 수준에 대해 17.7%의 설명력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활동적 노화(Active aging)와 우울 수준의 관계에서 개인의 디지털 리터러시의 조절 효과를 검증한 결과, 참여(Participation) 요인을 제외한 모든 활동적 노화(Active aging) 요인에서 우울 수준에 유의미한 상호조절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즉, 건강(Health)과 보장(Security)이 우울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디지털 리터러시가 완화하는 조절 효과를 지닌 것을 확인하였으며, 디지털 리터러시가 높을수록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부적 관계를 약화시켜 우울 수준이 낮아지는 것을 검증했다. 그러나 활동적 노화의 참여(Participation) 요인에서는 이러한 조절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종합하면, 활동적 노화(Active aging) 정도와 디지털 리터러시가 노인의 우울 수준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일부 요인에서 이 둘의 상호작용이 부분적으로 우울 수준에 유의미한 상호작용 효과를 보이는 것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활동적 노화(Active aging)의 건강(Health), 참여(Participation), 보장(Security)을 비롯한 다차원적인 측면이 노인의 우울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밝혔으며, 디지털 리터러시가 이를 조절하는 효과를 지니는지 함께 검증하였다. 둘째, 노인의 디지털 리터러시(Digital Literacy) 수준 파악을 위해 ‘ICT 활용(ICT Usability)’과 ‘ICT 역량(ICT Capability)’ 모두를 고려하여 분석하였고, 그 중요성을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활동적 노화(Active aging) 및 노인에게 친숙한 ICT 환경을 마련하기 위한 정책적인 제언을 위한 근거를 마련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활동적 노화(Active aging) 및 디지털 리터러시 증진 관련 정책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였다. 첫째, ICT 기술을 접목하여 노인들이 건강 증진을 위한 자원까지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도록 mHealth(Mobile health, 스마트 헬스)를 활성화 해야한다. 둘째, 노인의 인지적, 신체적, 사회적 특성을 고려한 ICT 기반 비대면 참여 공간이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노년기 참여(Participation)를 비롯한 교육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법적 근거를 마련해야 한다. 넷째, 노인의 인지적, 신체적, 사회적 특성을 고려한 ICT 기술이 사용되고 있는지에 대한 종합적인 디지털 평가 방식이 도입되어야 한다. 이로써 본 연구는 활동적 노화(Active aging) 정도와 ICT 활용 및 역량의 중요성을 강조하였고 이를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우울 수준을 감소시키기 위해 의제에 기점을 둔 여러 정책 시사점들을 도출하였으며, 활동적 노화(Active aging)를 위한 노인 복지 정책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데에 정책적 함의를 지닌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degree of Active aging on the level of depression and to verify whether digital literacy has a moderating effect. This is meaningful in providing policy implications that can improve the overall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The rapid increase in the elderly population and the decrease in the working-age population are causing an increase in social welfare expenditures, and negative prospects are raised that the economic growth rate will begin to decline in the near future. In addition, Korea has ranked first in the elderly suicide rate among OECD countries every year for the past 10 years. This implies that there is a need to identify suicide in the elderly as a social structural problem at the national level and to solve it at the social level and with policy support. Suicide is closely related to depressive symptoms. People with high levels of depression are more likely to commit suicide than those without, and the elderly are more likely to suffer from depression than other age groups. In addition, as non-face-to-face has recently become a new normal due to COVID-19, the number of elderly people who are socially isolated and complaining of depression is increasing, so it is time to deal with this issue. In this social background, this study hypothesized that the determinants of 'active aging' and 'digital literacy' could act as factors influencing the reduction of depression in the elderly. Significant effects of the variables on depression were confirmed. In addition, it was verified whether digital literacy has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active aging and the level of depression. 'Active aging', the independent variable in this study, is divided into three factors: 'Health, Participation, and Security' based on the definitions of major international organizations including WHO (2002) did. The effects of these three factors on the dependent variable, the level of depression in the elderly, were analyzed. In addition, the importance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was confirmed by verifying whether digital literacy, which consists of ‘ICT Usability level’ and ‘ICT Capability level’, has a moderating effect on active aging and depression. For the analysis, data survey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of Korea were used. The study was conducted by analyzing the data corresponding to a total of 9,555 elderly respondents whose age was 65 years or older as of the survey year.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ll three factors of active aging(Health, Participation, Security) and digital literacy(ICT Usability, ICT Capability)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level of depression. Second,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the effects of the three factors of active aging(Health, Participation, Security) and digital literacy(ICT Usability, ICT Capability) on the level of depression, the variables had 17% explanatory power for the level of depression. Thir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oderating effect of digital literacy through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appeared on the level of depression in all active aging factors except for the participation factor.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s of multidimensional aspects of active aging, including health, participation, and security, on the level of depression in the elderly were clarified, and whether digital literacy has a moderating effect verified. Second, in order to understand the level of digital literacy of the elderly, 'ICT Usability' and 'ICT Capability' were both considered and analyzed, and their importance was verifi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