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94 Download: 0

외부적 인센티브와 사회적 선호가 친환경 행동에 미치는 영향

Title
외부적 인센티브와 사회적 선호가 친환경 행동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External Incentives and Social Preferences on Pro-environmental Behavior: Focusing on the Crowding Out Effect
Authors
현지은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행동사회경제학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민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 행동 실천에 외부적 인센티브와 사회적 선호가 미치는 영향을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또한 외부적 인센티브와 사회적 선호의 교호작용이 친환경 행동 실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제도의 구축효과를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외부적 인센티브와 사회적 선호는 친환경 행동에 대해 서로 다른 설명력을 제공하였다. 외부적 인센티브의 경우, 인센티브의 종류와 친환경 행동의 종류에 따라 친환경 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졌다. 사회적 선호도 종류에 따라 친환경 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다름을 확인하였다. 이타심과 환경손실감수의사가 높을수록 분리배출과 환경집단행동의 실천 가능성이 증가했다. 반면 부정적 상호성은 분리배출 실천과 음의 관계를 보였다. 이는 사회적 선호가 합리적 이기심과 같이 인간의 근본적인 행동 유인으로 친환경 행동에 대한 유의한 설명력을 제공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외부적 인센티브와 사회적 선호의 교호작용을 통해 구축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부(-)적 인센티브와 환경손실감수의사는 독립적으로 분리배출 실천에 양의 영향을 주었지만 두 요인의 교호작용에서는 음의 회귀계수를 도출하였다. 이는 부(-)적 인센티브로 인해 내적인 동기인 환경손실감수의사가 구축된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구축 효과는 시민의 자발적인 문제해결 가능성을 낮춰 환경 제도 시행의 비효율성을 증가시킨다. 구축 효과는 한 번 나타나면 이전으로 되돌리기 어렵다는 점에서 사회적 선호를 고려한 행동의 정확한 추정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사회적 선호를 고려하면 합리적 이기심만으로는 포착할 수 없는 행동을 파악하여 제도의 거래 비용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정(+)적 인센티브도 이타심과 환경손실감수의사와의 유의한 교호작용 결과를 도출하였다. 분리배출 행위와 음의 관계를 갖는 정(+)적 인센티브가 사회적 선호와의 교호작용에서는 양의 관계를 보였다. 정(+)적 인센티브만 고려했을 때는 친환경 행동 실천이 줄어들 것이라고 추정되지만, 사회적 선호를 함께 고려하면 친환경 행동 실천 가능성이 도리어 증가한다. 이는 사회적 선호를 고려하였을 때 행위자의 행동을 더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정책적 함의를 도출할 수 있다. 첫째, 환경 문제 해결에 정부와 시장적 접근 이외에 사회적 선호를 바탕으로 한 시민 주도적인 방안을 고안해낼 수 있다. 둘째, 사회적 선호를 고려하면 환경 정책 수립 과정에서 정책의 결과로 도출될 기대 행동을 보다 정확히 예측함으로서 정책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다. 셋째, 시민들의 친환경 행동을 도출하기 위해서 적절한 환경 교육이 필요하다. 친환경 행동과 유의미한 양의 관계를 도출하는 변수들 중에는 환경 교육으로 인해 내재화할 수 있는 것들이 있다. 적절한 환경 교육이 이루어진다면 사회적 선호를 증진하여 환경 보호 행위를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친환경 행동을 일상생활의 실천뿐만 아니라 사회·정치적 참여까지 다루었으며, 사회적 선호와 외부적 요인의 구축효과를 한국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의 한계를 보완한다. 반면 본 연구에서 가지고 있는 한계점도 있다. 데이터의 문제로 인해 다양한 친환경 행동에 대한 변수를 확보하지 못했다는 아쉬움이 있다. 분리배출 이외에 일상생활에서의 친환경 행동을 보완하고, 사회·정치적 차원의 친환경 행동도 표본의 수를 늘려 차후 분석을 진행해야 할 것이다. 또한 제도의 역학에는 구축 효과뿐만 아니라 강화 효과도 존재한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외부적 요인이 내적 동기를 강화하는 효과는 찾기 어려웠다. 이후의 연구에서는 제도의 강화 효과를 발견할 수 있는 친환경 행동 및 제도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external incentives and social preferences on pro-environmental behavior through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n addition, the crowd out effect was identified by examining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external incentives and social preferences on pro-environmental behavior. As a result of the analysis, external incentives and social preferences provided significant explanation for pro-environmental behavior. In the case of external incentives, the effect on pro-environmental behavior changed depending on the type of incentives and pro-environmental behaviors. The social preferences also had different effects on pro-environmental behavior depending on their types. The higher the altruism and willingness to take losses to protect environment, the higher the possibility of recycling and environmental movement. On the other hand, negative reciprocity ha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recycling. This means that social preferences are main factors to give significant explanations for pro-environmental behavior as fundamental human behavior drivers like rationality in Neoclassical Economics. The crowd out effect could be confirmed through the interaction effect of external incentives and social preferences. Negative incentives and willingness to take losses to protect environment independently had a positive effect on recycling, but negative regression coefficients were derived from the interaction between two factors. This can be explained that the willingness to take losses to protect environment, which is an internal motivation, was crowed out by negative incentives. The crowd out effect  increases the inefficiency of implementing environmental institutions by decreasing the possibility for citizens to engage environmental problem solving process voluntarily. Given that it is difficult to return to the past once the crowd out effect happens, accurate estimation of behaviors needs to be done by considering social preferences, which rationality can’t make alone. Then the estimation can lead to reducing the transaction cost of implementing institutions effectively. Positive incentives also had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with altruism and the willingness to take losses for environment. The positive incentive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recycling in the interaction with the social preferences, which ha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recycling independently. Considering only positive incentives, it is estimated that the probability of practice of pro-environmental behavior will decrease, but after considering social preferences together, the possibility increases. This results show that the behavior can be predicted more accurately when considering social preferences.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the following policy implications can be derived. First, based on social preferences, it is possible to devise civic-led measures as well as the government and market approaches to solving environmental problems. Second, the effectiveness of the policy could be improved by more accurately predicting the expected behavior in considering social preferences. Third, appropriate environmental education is needed to derive citizens' pro-environmental behavior. Among the variables that derive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pro-environmental behavior  are some that can be internalized by environmental education. This study complements the limitations of existing studies by dealing with pro-environmental behavior both in private and public sectors and empirically analysing the crowd out effect between external incentives and social preferences with Korean data. But there are limitations that this study still has. Due to the problem of the data, there were not enough variables for various pro-environmental behaviors. In addition to recycling, pro-environmental behaviors in daily lives and which related to social movement should be supplemented. And there is not only a crowd out effect but also a reinforcement effect in the dynamics of the institutions. However, in this study, it was difficult to find the effect of external factors strengthening internal motivation.  In future studies, analysis to find institutional reinforcement effect needs to be don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행동사회경제학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