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95 Download: 0

Comparative study of skeletal III camouflage treatment

Title
Comparative study of skeletal III camouflage treatment
Other Titles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의 절충치료에서 발치와 비발치 치료의 비교
Authors
우성해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임상치의학대학원 임상치의학과임상교정치의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민지
Abstract
Aim: To evaluate the differences in pretreatment and post-treatment characteristics of Class III patients treated with camouflage treatment by extraction or non-extraction method, and to compare the range of skeletal, dental and soft tissue changes that are likely to occur with treatment. Extraction group was also divided into lower premolars only extraction and upper and lower premolars extraction subgroups for further comparison. Method: Pretreatment and post-treatment lateral cephalograms of 19 class III orthodontically-camouflaged patients treated by premolar extraction method and 22 Class III orthodontically-camouflaged patients treated by non-extraction method were obtained. The selection criteria included any three of the following: (1) an ANB angle of 0 degree or less, (2) a Wits appraisal less than -4mm, (3) an incisal overjet ≤ 0mm, (4) a Class III molar relationship. All lateral cephalograms were traced and digitized and a number of skeletal, dental and soft tissue variables were measured. Cephalometric radiographs and occlusal (study model) changes were assessed between beginning (T1) and the end (T2) of treatment. Kolmogorox-Smirnov tests were performed to check for normal distribution. Independent t-test and paired t-test were performed to evaluate significant treatment change between and within groups. (p<0.05). Variables without normal distribution were compared with Wilcoxon signed rank test and Mann-Whitney test. Results: Extraction group showed more protruded lips and lower incisor position before treatment. Patients who extracted lower premolars only demonstrated more protruded chin and concave profile compared to patients who extracted upper and premolars at pretreatment stage. Upper and lower premolars subgroup demonstrated smaller interincisal angle compared to lower premolars only subgroup at pretreatment state. Extraction group demonstrated retroclination of lower incisors while non-extraction group showed proclination of upper incisors regarding treatment change. Mandibular plane angle and occlusal plane angle decreased significantly in non-extraction group. Lower lips and incisors were significantly more retracted in extraction group compared to non-extraction group with more retruded lower lips compared to non-extraction group at the end of treatment. Treatment difference of overjet was greater in extraction group compared to non-extraction group and initial overjet of lower premolar only subgroup was significantly smaller compared to other groups. Differences of overbite and irregularity index were similar in main groups and subgroups. Conclusion: Extraction can be a feasible option for Class III patients with protruded lips and mandibular incisors that need to be retracted over 4mm. Extraction method is more effective in correcting overjet compared to non-extraction method and extracting lower premolars only can achieve largest overjet correction. Moderate to severe crowding can be corrected by active use of MARPE instead of extraction in order to avoid adverse effect on the esthetics of profile. Upper premolar extraction can be considered when antero-posterior skeletal discrepancy and lip retrusion are not severe and incisors are proclined in order to correct incisal inclination. Non-extraction treatment can be suitable when the planned mandibular incisal retraction is less than 4mm but it would be unfavorable for patients with severe proclination of maxillary anterior teeth since it can worsen the degree of proclination after treatment. The counterclockwise rotation of mandible and occlusal flattening treatment effect of non-extraction method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treatment planning of dolichofacial patients.;서론 : 본 연구의 목적은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의 절충 치료에서 발치군과 비발치군의 치료 양상과 하악 전치 이동양상을 측모두부방사선 계측치 및 모형 분석을 통해 비교하는 것이다. 또한 발치군은 하악 소구치 발치와 상하악 소구치 발치군으로 나누어 같은 방법으로 비교하였다. 재료 및 방법 :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절충치료 환자들 중 발치 치료를 한 19명의 환자와 비발치 치료를 한 2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 전 후 측모 두부 방사선 사진과 모형을 측정하여 치료 전, 후 및 치료로 인한 변화량을 비교하였다. 발치군과 비발치군의 치료 전, 후, 치료로 인한 변화량을 비교하기 위해 독립표본 T 검정분석을 하였고 각 군내에서의 치료 변화량을 비교하기 위해 대응표본 T 검정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 : 치료 전 발치군에서 구순 돌출감 및 하악 전치 돌출도가 비발치군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크게 나타났다. 하악 소구치 발치군에서 상하악 소구치 발치군에 비해 치료 전 돌출된 턱 끝, 하악 및 오목한 안모를 가지고 있었다. 치료 전 상하악 소구치 발치군에서 하악 소구치 발치군에 비해 interincisal angle이 유의하게 작게 나타났다. 발치군에서는 교정치료로 인해 하악 전치가 후방 경사되었고 비발치군에서는 상악 전치 전방경사 되는 변화를 나타냈다. 비발치군에서 교정 전 후로 하악평면각과 교합평면각의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하악 전치와 하순의 견인량은 발치군에서 비발치군에 비해 유의하게 크게 나타났으며 치료 종료 시 발치군에서 하순이 비발치군보다 유의하게 후퇴되었다. 수평피개 증가는 발치군에서 유의하게 크게 나타났으며 특히 치료 전 하악 소구치 발치군의 수평 피개가 유의하게 가장 작았다. 수직피개 및 irregularity index는 군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구순돌출이 있으며 4mm 이상의 하악 전치 후방 견인이 필요한 III급 부정교합 증례에서 발치 치료를 우선적으로 고려할 수 있다. 발치 치료는 부족한 수평피개를 개선하는 데에 비발치 치료보다 유의하게 큰 효과가 있으며 특히 하악 소구치 발치 군에서 가장 큰 수평피개 개선이 이루어졌다. 발치로 인한 안모의 악화를 피하기 위해 MARPE를 이용한 상악 확장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여 중등도 및 중증의 총생을 비발치로 개선할 수 있다. 상악 소구치 발치는 악골의 전후방적 부조화가 심하지 않으며 구순이 후퇴되지 않고 전치가 전방경사된 경우 전치 각도를 개선하기 위해 고려할 수 있다. 비발치 치료는 하악 전치의 후방 이동량이 4mm 이하로 필요할 때 계획할 수 있으나 상악 절치가 심하게 전방경사 된 환자에서는 상악 절치 전방경사를 심화할 수 있으므로 치료 선택에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retromolar miniscrew를 이용한 비발치 치료로 인한 하악골 전상방 회전 및 교합평면의 상방변화를 고려하여 치료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치의학대학원 > 임상교정치의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