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73 Download: 0

종합병원 간호사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과 임종기 의료결정 지식이 임종간호태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종합병원 간호사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과 임종기 의료결정 지식이 임종간호태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 of Perception of a Good Death, Knowledge for End 0f Life Care Decision On Attitudes Toward Nursing Care of the Dying of Nurses in General Hospital
Authors
고옥란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배성희
Abstract
본 연구는 서울에 위치한 일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임종기 의료결정 지식, 임종간호태도를 파악하고, 임종간호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서울시 일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151명을 대상으로, 2022년 8월 25일부터 2022년 9월 7일까지 이루어졌다. 연구의 변수로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은 정유진(2022)이 개발한 ‘Well-dying Awareness Scale’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임종기 의료결정 지식은 김신미 등(2021)이 개발한 임종기 의료결정 지식 측정도구(End-of-Life Care Decision Inventory, EOL-CDI)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임종간호태도는 Frommelt(1991)가 개발한 Frommelt Attitudes toward Nursing Care of the Dying Scale(FATCOD)을 조혜진, 김은심(2005)이 번역,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6.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tset, ANOVA, Scheffe′post hoc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linear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여성이 140명(92.7%)으로 대부분이었고, 평균 연령은 27.97±4.12세였다. 종교는 무교 92명(60.9%), 결혼상태는 미혼이 133명(88.7%), 최종학력은 학사가 123명(81.5%)으로 대다수였다. 평균 근무경력은 56.16±50.49개월이었으며, 근무부서는 내과병동 61명(40.4%), 외과병동 18명(11.9%), 중환자실 60명(39.7%), 응급실 12명(7.9%)이었다. 직위는 일반간호사가 137명(90.7%)으로 가장 많았으며, 임종관련 간호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사람은 88명(58.3%)이었다. 지난 일년 동안 담당 환자에게 임종간호를 제공한 경험은 1-5회인 경우가 87명(57.6%)이었다. 2. 대상자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은 5점 만점에 3.96±0.52점이었고 대상자의 임종기 의료결정 지식의 평균은 21점 만점에 15.68±2.14점이었다. 대상자의 임종간호태도의 평균은 4점 만점에 3.05±0.23점이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종기 의료결정 지식은 총 근무경력(t=-3.71, p <.001), 임종관련 간호교육 이수경험(t=2.51, p<.05), 지난 일년 동안의 임종간호 제공 경험(F=2.66, p=.050)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종간호태도는 연령(F=5.08, p=.007), 최종학력(F=3.13, p=.046)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임종간호태도는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r=.19, p=.017), 임종기 의료결정 지식(r=.31.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4. 대상자의 임종간호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최종학력 대학원 이상(β=.27, p=.029),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β=.21, p=.006), 임종기 의료결정 지식이었다(β=.28, p<.001).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최종학력,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임종기 의료결정 지식 수준이 증가할수록 임종간호태도가 긍정적임을 알 수 있다. 임종간호태도에 대한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14.9%였다(F=5.36, p<.001, Adj R²=.149). 본 연구를 종합해볼 때, 종합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태도는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임종기 의료결정 지식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임종기 의료결정 지식이 임종간호태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임종간호태도의 영향요인인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임종기 의료결정 지식을 향상시키기 위한 임종간호 중재 개발 및 지침 개발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이는 간호사가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을 가지고 환자의 임종기 의료결정 과정에서 최선의 결정을 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할 수 있고 나아가 임종기 환자가 편안하고 존엄한 죽음을 맞도록 도울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good death perception, knowledge of end of life care decision on attitude toward nursing care of the dying. This is a study to provide primary source o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and intervention program which affecting attitude toward nursing care of the dying. Data has been collected until September 7, 2022 after the approval of IRB. 151 nurses were recruited from a general hospital in Korea. To measure the Perception for the concept a good death, the Well-dying Awareness Scale by Jung (2022) was used, and the Knowledge of end of life care decision creaated by Kim and Lee, Hong (2021) was used. And attitude toward nursing care of the dying created by Frommelt(1991) was used. The data were analyzes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e′post hoc,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SPSS/Win 22.0 program.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ere 140 (92.7%) women, and the average age was 27.97±4.12 years. As for religion, 92 people (60.9%) were unmarried, 133 people (88.7%) were married, and 123 people (81.5%) had a bachelor's degree. The average working experience was 56.16±50.49 months, and the departments were 61 people in the internal medicine ward (40.4%), 18 people in the surgical ward (11.9%), 60 patients in the intensive care unit (39.7%), and 12 people in the emergency room (7.9%). As for the position, 137 (90.7%) were general nurses, and 88 (58.3%) had experience of end-of-life nursing education. In the past year, 87 (57.6%) of 1-5 patients had experience providing end-of-life care. 2. The good death perception was 3.96±0.52(Range 1-5), Knowledge for End 0f Life Care Decision was 15.68±2.14(Range 0-21), and attitude toward nursing care of the dying was 3.05±0.23(Range 1-4).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a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Knowledge for End of life Care Decision were total work career (t=-3.71, p<.001), nursing education completion experience related to end-of-life care(t=2.51, p<.05), and the past year of end-of-life care experience(F=2.66, p=.050).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a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ttitude toward nursing care of the dying of the subjects were age(F=5.08, p=.007) and the final level of education (F=3.13, p=.046). 3, Attitude toward nursing care of the dying bas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 was shown to be relative to age (F=5.08, p=.007), the final level of the education(F=3.13, p=.046) 4. The good death perception(r=.19, p=.017), Knowledge for End 0f Life Care Decision(r=.31. p=<.001)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ttitude toward nursing care of the dying. 5. To confirm factors determining attitude toward nursing care of the dying in nurses,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he education level(β=.27, p=.029), and the good death perception(β=.21, p=006), and Knowledge for End 0f Life Care Decision(β=.28, p=<.001) was variable to have the most influence in attitude toward nursing care of the dying. This regression was explained by 14.9% of variances(F=5.36, p<.001, R²=.149). In conclusion, this study identified that the good death perception, Knowledge for End 0f Life Care Decision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ttitude toward nursing care of the dying of nurses in general hospital in Korea. Also, the good death perception, Knowledge for End 0f Life Care Decision affected attitude toward nursing care of the dying. Based on findings, it is needs to development education and intervention programs for the good death perception, Knowledge for End 0f Life Care Decis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