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42 Download: 0

아동기 부정적 경험이 대학생의 비만, 흡연, 우울 및 불안에 미치는 영향

Title
아동기 부정적 경험이 대학생의 비만, 흡연, 우울 및 불안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on Physical Health, Health Behaviors and Mental Health of College Students : The Moderating Effect of Resilience
Authors
이상은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아동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나나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기 부정적 경험과 대학생의 비만, 흡연, 우울 및 불안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아동기 부정적 경험이 비만, 흡연, 우울 및 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회복탄력성이 중재하는지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422명의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아동기 부정적 경험을 측정하기 위하여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enters for Disease Control [CDC], 2022)에서 제작한 아동기 부정적 경험 질문지(Behavioral Risk Factor Surveillance System [BRFSS] ACE Module 2021)를 본 연구자가 직접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CDC(2022)에서 제시한 아동기 부정적 경험은 학대, 방임, 가족 역기능의 세 유형으로 구성되며, 각 유형은 다음과 같은 하위 범주들로 구성된다. 학대는 신체적, 정서적, 성적 학대의 세 범주, 방임은 정서적 방임과 신체적 방임의 두 범주, 그리고 가족 역기능은 가족 구성원의 정신 문제, 가족 구성원의 약물 문제, 가족 구성원의 수감, 부모의 이혼 및 별거, 보호자 간 폭력의 다섯 범주로 구성되어 총 10 범주가 포함된다. 회복탄력성은 신우열 등(2009)이 개발한 회복탄력성 검사도구(Youth Korea Resilience Quotient-27 [YKRQ-27])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비만의 지표로는 키와 몸무게를 바탕으로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BMI])(체중(kg)/신장(m)2)를 산출하여 사용하였다. 흡연은 지난 한 달 간의 흡연량을 통해 측정하였다. 우울은 Radloff(1977)가 제작한 역학연구센터 우울 척도(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Depression scale [CES-D])를 전겸구 등(2001)이 번안 및 타당화한 한국판 척도를 사용하였다. 불안은 Beck 등(1988)이 개발(Beck Anxiety Inventory [BAI])하고 육성필과 김중술(1996)이 한국어로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독립표본 t-test, 상관관계 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각 연구문제에 대한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기 부정적 경험은 비만 및 흡연과는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반면 아동기 부정적 경험은 우울 및 불안과는 유의한 상관을 보여, 아동기 부정적 경험이 많을수록 우울의 하위요인들의 점수가 높았다. 또한 아동기에 더 많은 부정적 경험에 노출되었을수록 불안을 더 경험하였다. 회복탄력성도 우울 및 불안과 유의한 상관을 보여, 회복탄력성이 높을수록 우울과 불안을 덜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회복탄력성의 중재효과를 살펴본 결과, 회복탄력성은 아동기 부정적 경험이 우울의 하위요인 중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중재하였다. 회복탄력성이 높은 경우에는 아동기 부정적 경험에 노출된 정도가 우울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회복탄력성이 낮은 경우에는 아동기 부정적 경험에 더 많이 노출될수록 타인이 자신을 부정적으로 생각하면서 우울을 느끼는 경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회복탄력성은 아동기 부정적 경험이 불안에 미치는 영향도 중재하였는데, 회복탄력성이 높은 경우와 낮은 경우 모두 아동기 부정적 경험에 더 노출되었을수록 불안 수준이 높았으나, 회복탄력성이 낮을 때 아동기 부정적 경험과 불안 간 관련성이 더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아동기 부정적 경험과 우울의 일부 하위 요인과 불안 등 정신 건강 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중재적 역할을 밝혔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아동기 부정적 경험에 노출되었던 대학생들이 겪는 우울과 불안을 완화하기 위한 중재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s among university student’s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resilience,obesity, smoking, depression and anxiety.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resilience between university student’s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and ,obesity, smoking, depression and anxiety. A total of 422 university students (212 males, 210 femal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completed the self-reported questionnaires that included measures of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resilience, height and weight for BMI, the number of cigarettes smoked in the past month, depression and anxiet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correlation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ith SPSS 27.0.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did not have significant relations to BMI and the number of cigarettes smoked in the past month. However,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were negatively related to resilience and positively related to the four factors of depression(i.e., depressed affect, positive affect, somatic and retarded activity, and interpersonal) and anxiety. Resilience did not have significant relation to BMI and the number of cigarettes smoked in the past month. However, resilience were negatively related to the four factors of depression(i.e., depressed affect, positive affect, somatic and retarded activity, and interpersonal) and anxiety. Second, interactions of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and resilience were significant in predicting depression related to interpersonal. Specifically, for university students having lower levels of resilience, who were exposed to more categories of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experienced more depression related to interpersonal. However, for university students with higher levels of resilience,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and depression related to interpersonal. Lastly, interactions of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and resilience were significant in predicting anxiety. Specifically, in both cases of higher and lower levels of resilience, university students, who were exposed to more categories of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experienced more anxiety. However, university students with lower level of resilience showed the greater effect of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In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resilience as a moderator between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and inter personal of depression and anxiety. This result suggested that improving the level of resilience would be effective in reducing depression related to interpersonal and anxiety to university students who were exposed to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It also contributes to a foundation for therapeutic interventions and programs for university stud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