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11 Download: 0

밀레니얼 여성근로자의 일-여가 균형이 주관적 경력 성공에 미치는 영향

Title
밀레니얼 여성근로자의 일-여가 균형이 주관적 경력 성공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influence of female millennial employees’ work-leisure balance on subjective career success
Authors
이예지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체육과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원형중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 및 경기도 거주 밀레니얼 여성근로자의 일-여가의 균형과 주관적 경력 성공 간의 관계성을 살피는 것이다. 밀레니얼 여성들은 스스로 자신의 삶의 주체가 되어 노동에 참여함으로써 사회 발전의 주역으로 나서고 있다. 이에 일과 여가의 균형 잡힌 삶이 여성이 경력 성공을 이루는 데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정에서 이 연구는 시작됐다. 연구 자료의 수집을 위해 22년 7월 1일부터 18일까지 밀레니얼 세대 여성근로자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했고, 수거된 294부의 설문지를 분석에 사용했다. 분석을 위해 Python의 pandas 및 statsmodel, sklearn등의 패키지를 활용했으며 상관관계분석, 독립표본 T검정 및 일원배치 분산분석,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초창기 일과 여가의 균형에 관한 연구는 일-여가의 균형을 일-삶의 균형의 하위 요소 중 하나로 바라보는 시각이 주를 이루었다. 그러나 일-여가의 균형은 개인과 사회의 발전을 위해 필수적이며 하위 요소로만 연구하기에는 그 자체의 학문적 가치가 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신규리 외(2016)가 개발한 일-여가 갈등 및 일-여가 촉진 척도를 사용해 일-여가의 균형을 갈등과 촉진의 두가지 차원을 양방향으로 바라보는 통합적 이해로 접근하였다. 이를 통해 일-여가의 갈등 요소뿐만 아니라 촉진 요소 즉 일과 여가 영역 간에 발생할 수 있는 선순환과 상호작용을 알아보고자 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여가의 촉진(WL_긍정정서, LW_긍정정서, LW_자원획득, WL_자원획득)은 여성 근로자의 경력 만족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일-여가의 갈등 요소 중 조절력 부재는 여성근로자의 경력 만족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결과는 일과 여가의 균형에서 발생하는 다중적 역할 수행이 갈등만을 일으키는 것이 아니라 상호 긍정적인 효과를 줄 수 있다는 의견에 힘을 실어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일-여가 촉진의 영향력이 일-여가 갈등의 영향력보다 더욱 큰 것으로 관측되었다. 이는 여성이 일과 여가의 균형 잡힌 삶을 향유하고 보다 성공적으로 경력을 쌓아 나가기 위해서는 기존의 연구결과에 따라 일-여가 갈등을 줄이는 것도 중요하지만 일-여가 촉진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고 이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심어주려는 노력 또한 필요하다는 것을 설명한다. 특히 이러한 사실은 여가학이 개인 차원의 경력 관리와 조직 차원의 인적자원관리에도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추후 일-여가 균형과 경력의 관계를 더욱 면밀히 살피는 데에 초석이 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leisure balance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of female millennial employees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Female millennial employees are playing a leading role in social development by pursuing own career and participating in labor. Accordingly, this study began on the assumption that a balanced life between work and leisure will affect women's career success. For the collection of research data,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female workers of millennials from July 1 to 18, 2022. A total of 294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Python packages such as pandas, stats model, and sklearn were used, and correlation analysis,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Many of the existing studies have been conducted from the view of work-leisure balance as a single structure of work-leisure conflict, and research examining work-leisure balance independently is still insufficient. In this study, assuming work-leisure conflict and work-leisure promotion as independent concepts, we aimed to identify the virtuous cycle and interactions that may occur not only between work-leisure conflicts but also between work-leisure promo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romotion of work-leisure of female employees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satisfaction. Second, lack of control is a conflict indicator of work-leisure that had a negative effect on career satisfaction. In this study, it was observed that the impact of work-leisure promotion was greater than that of work-leisure conflict. This explains that in order for women to enjoy a balanced life between work and leisure and build a more successful career, it is important to reduce work-leisure conflic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isting studies, but efforts to research ways to accelerate work-leisure promotion are also requir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