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57 Download: 0

발달장애인의 특수교육 궁극적 성과 지수 개발 및 통합교육 여부와 장애정도에 따른 성과 지수 비교

Title
발달장애인의 특수교육 궁극적 성과 지수 개발 및 통합교육 여부와 장애정도에 따른 성과 지수 비교
Other Titles
Development of the Ultimate Outcome of Special Education Index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Comparing the Outcome Index in Inclusive and Separate Schools
Authors
김유진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박승희
Abstract
발달장애인의 특수교육의 궁극적 성과는 학령기 동안 특수교육을 받은 발달장애성인이 통합된 지역사회 환경의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고 독립적이고 상호의존적으로 생산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최근 특수교육의 질 향상을 위한 성과 중심의 특수교육이 지속적으로 강조되고 있는데, 특수교육의 궁극적 목표는 학령기 때 제공받은 특수교육이 고등학교 졸업 후의 가치 있는 성과로 연결되는 것이다. 장애학생의 고등학교 졸업 후 삶을 통한 특수교육의 궁극적 성과 점검은 특수교육의 책무성과 관련된 문제인데, 특수교육의 책무성은 학령기 학교교육이 성인기 삶의 가치 있는 성과로 연결될 때 성취된다고 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 특수교육대상자의 72.8%가 일반학교에, 27.0%가 특수학교에 재학 중이다(교육부, 2022). 우리나라 특수교육은 법적으로 장애학생의 교육배치 시 일반학교를 우선시하는 통합교육으로 그 방향성을 표명하고 있지만 여전히 특수학교 신·증설이 논의되며 특수학교 배치가 여전히 힘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제한적인 교육환경 배치 즉, 분리교육으로는 특수교육대상 학생이 통합된 지역사회에서 독립적이면서 상호의존적으로 의미 있는 역할을 수행하게 하는 교육성과를 달성하는 데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에 학령기 동안 특수교육을 받은 발달장애인의 고등학교 졸업 후 성인기 삶의 양상을 통해 특수교육의 궁극적 성과를 점검하고, 특히 이를 학령기 학교교육의 통합 여부(특수학교 혹은 특수학급 배치)에 따른 차이가 어떠한지 종단적으로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2021년 발달장애인 일과 삶 실태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발달장애인의 특수교육의 궁극적 성과 지수 모형을 개발하여 지수를 산출하고, 학령기 12년의 전 기간을 특수학교 혹은 일반학교 특수학급에서 교육받은 초기 성인기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학교교육의 통합 여부에 따른 특수교육의 궁극적 성과를 비교하고, 통합 여부가 특수교육의 궁극적 성과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며, 그 영향에서 장애정도의 조절효과를 밝히는 것이다. 발달장애인의 특수교육의 궁극적 성과 지수를 산출하기 위해 문헌분석에 기초하여 ‘2021년 발달장애인 일과 삶 실태조사’에서 특수교육의 궁극적 성과 하위영역과 지표를 선택하여 구성하였다. 성과 하위영역 및 지표의 내용타당도 검증을 위해 특수교육 전문가 20인을 대상으로 적합도 평정을 실시하였다. 적합도 평정 결과 및 전문가의 의견을 바탕으로 성과 하위영역 및 지표를 수정하고 보완하여 8가지 하위영역 및 22개 지표를 확정하였다. 확정된 특수교육의 궁극적 성과의 하위영역 간, 지표 간 상대적 중요도를 판별하기 위하여 특수교육 전문가 20인을 대상으로 계층화분석법의 쌍대비교를 활용한 상대적 중요도 평정을 실시하였다. 상대적 중요도 평정 결과를 바탕으로 성과 하위영역별, 지표별 가중치를 산출하였고, 가중치를 반영하여 ‘특수교육의 궁극적 성과 지수’를 산출하였다. 그리고 특수교육의 궁극적 성과 모형의 구성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고 모형적합도를 검증하였다. 가중치가 반영된 지표 지수들 간의 크론바흐 알파(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고, 성과 종합지수와 하위영역별 지수 간 피어슨(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도 산출하였다. 특수교육의 궁극적 성과 지수 구성의 전반적인 모형적합도를 확인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으로 χ2, RMSEA, CFI, TLI를 산출하였다. 산출된 성과 지수를 바탕으로 학령기 12년 학교교육을 모두 특수학교에서만 받은 발달장애인 231명과 일반학교 특수학급에서만 받은 발달장애인 318명 간 특수교육의 궁극적 성과 지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시행하였다. 그리고 장애정도 및 문제행동의 빈도를 통제하고도 학령기 12년 학교교육의 통합 여부가 발달장애인의 특수교육의 궁극적 성과 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더 나아가 학령기 학교교육의 통합 여부가 특수교육의 궁극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발달장애인의 장애정도가 가지는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조절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인의 특수교육의 궁극적 성과는 다음 8가지 하위영역으로 구성되었다: (1)고용, (2)중등이후교육, (3)자기관리 및 가정생활 역량, (4)일상생활 공통 역량, (5)지역사회생활 참여, (6)자기결정 역량, (7)건강 유지, (8)삶의 만족도. 하위영역 간 상대적 중요도는 자기관리 및 가정생활 역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삶의 만족도, 건강 유지, 자기결정 역량, 지역사회생활 참여, 일상생활 공통 역량, 고용, 중등이후교육 순으로 그 뒤를 이었다. 상대적 중요도 평정 결과를 바탕으로 각 성과 지표의 가중치를 산출하여 가중치를 반영한 ‘특수교육의 궁극적 성과 지수’를 산출하였다. 그 성과 지수에 대한 구성타당도 검증 결과, 각 하위영역 및 지표들이 상관관계를 가지면서 상호상관성을 가지는 동시에 독립성이 확보되어 모든 영역 간의 타당성이 확보된 것으로 나타났고, 모형적합도도 양호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발달장애인의 학령기 학교교육의 통합 여부에 따른 특수교육의 궁극적 성과 차이를 분석한 결과, 중등이후교육과 삶의 만족도를 제외한 나머지 6가지 하위영역에서는, 일반학교 특수학급에서만 12년을 보낸 발달장애인 집단이 특수학교에서만 학교교육을 받은 집단보다 더 높은 지수를 보였다. 지표별 지수를 살펴보면, 대부분 특수학급 집단이 유의미하게 더 높은 지수를 보였으나, 전공과 진학 및 지역사회기관 이용 지표의 경우, 특수학교 집단이 더 높은 지수를 보였다.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평소 운동, 일상생활만족도 지표의 경우,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발달장애인의 장애정도와 문제행동의 빈도를 통제한 조건에서 학령기 학교교육의 통합 여부가 특수교육의 궁극적 성과 지수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결과, 학령기 12년 통합 여부는 성과 종합 지수, 고용 지수, 자기관리 및 가정생활 역량 지수, 일상생활 공통 역량 지수, 지역사회생활 참여 역량 지수에 영향을 미쳤다. 중등이후교육 지수, 건강 유지 지수, 자기결정 역량 지수, 삶의 만족도 지수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발달장애인의 장애정도는 학령기 학교교육의 통합 여부가 특수교육의 궁극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달장애인의 장애정도가 중도일수록 통합 여부가 특수교육의 궁극적 성과에 미치는 효과가 더 컸다. 단, 조절효과는 장애정도가 1급과 2급의 경우에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본 연구는 특수교육의 질 향상을 위한 특수교육의 성과에 대한 논의가 증대하고 있는 시점에 특수교육의 궁극적 성과를 개념화하고 이를 적용하여 학령기 학교교육의 통합 여부의 종단적 성과를 검증한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발달장애인 개인의 장애 특성(장애정도 및 문제행동의 빈도)의 영향력을 통제하고도 학령기 12년을 일반학교 특수학급에서 교육받은 발달장애인이 특수학교에서 12년 교육받은 발달장애인보다 특수교육의 궁극적 성과 지수가 높았다는 연구 결과는 교육과정적 통합, 사회적 통합이 더 강조되는 현 시점에 통합된 교육환경이 가지는 교육력을 다시 한번 상기시키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통합교육이 법적 권리나 당위성 차원의 문제를 넘어 궁극적으로는 성인기에 더 높은 성과로 이어진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통합교육의 효과성까지 통계적으로 증명하였다고 볼 수 있다. 특히 발달장애인의 장애정도가 중도일수록 학령기 학교교육의 통합 여부가 특수교육의 궁극적 성과에 미치는 효과가 더 컸다. 이는 발달장애인의 장애정도가 중도일수록 분리된 교육환경인 특수학교에 더 많이 배치되는 현 교육 실제 즉, 학생의 장애정도가 교육배치의 주요 기준으로 적용하는 실제에 변화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2021년 발달장애인 일과 삶 실태조사’ 데이터 안에서 성과 지표를 구성하였다는 한계가 있는데, 특수교육의 성과에 대한 더 면밀한 분석을 위해서는 특수교육대상자를 대상으로 한 고등학교 졸업 후 성인기 삶에 대한 추적조사가 필요하다. 발달장애인의 학령기 학교교육의 통합 여부 외에도 발달장애인의 특수교육의 궁극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에 대해 분석하는 후속연구를 제안한다. ;72.8%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re placed in mainstream schools, but 27.0% are still placed in separate special schools in Korea. Although the Act on Special Education in Korea mandates access to general education settings,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 still placed in separate schools. Separate schooling, however, is reported to limit the achievement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ince the outcome-based special education has been emphasized,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ultimate outcome of special education. The ultimate goal of special education would be to make students with special needs play valued social roles in the integrated adult community independently or interdepedently after high school gradu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clusion on the postschool outcomes for youth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y comparing the two groups: one group of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at spent their whole 12-year school life in mainstream schools, and one group that spent theirs in separate special schools. The "2021 Work and Life Survey for the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ata from the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was used. The data of 549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as analyzed; 231 were those spent their whole school life in separate special schools, and 318 were those spent theirs in mainstream schools. Firstly, the 8 sub-areas and 22 indicators of "the ultimate outcome of special education" were confirmed using suitability assessment from a panel of special education experts: 6 university professors of Special Education and 14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he ultimate outcome of special education index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as developed and validated using the Cronbach's α coefficient and Pearson's correlation index. In order to confirm the overall model fit of the index, χ2, RMSEA, CFI, and TLI were analyzed. Secondly, using the the ultimate outcome of special education index, independent t-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difference in the ultimate outcome of special education between one group that received all 12-year school education only at special schools and one group that received theirs only in mainstream schools. Thirdly,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 of the inclusion on the ultimate outcome of special education index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fter controlling the effect of their severity of disability and their challenging behaviors. Lastly, the analysis on the moderating effect was conducted using PROCESS Macro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severity of disability of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 effect of the inclusion on the ultimate outcome of special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ultimate outcome of special education consisted of the 8 sub-areas: employment, postsecondary-education, self-care living skills, daily living competence, community participation, self-determination, health maintenance, and life satisfaction. Secondly, all but postsecondary-education and life satisfaction showed higher ultimate outcome of special education index when one received education in an inclusive setting. Thirdly, even after controlling the effect of the severity of disability of the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clusion still had effects on the ultimate outcome of special education. Lastly, the severity of disability had a moderating effect on inclusion and the ultimate outcome of special education. As one had more severe disability, the effect of inclusion on the ultimate outcome of special education was greater. Individuals with more severe disabilities are more likely to be placed in a separate education setting than those with less severe disabilities. The results that the ultimate outcome of special education index was greater in an inclusive education setting and that those with more severe developmental disabilities benefited more from inclusion put the brakes on the tendency to place students with more severe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a more restrictive education environment, usually in separate special schools in Korea.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