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0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지연-
dc.contributor.author김지영-
dc.creator김지영-
dc.date.accessioned2023-02-24T16:31:13Z-
dc.date.available2023-02-24T16:31:13Z-
dc.date.issued2023-
dc.identifier.otherOAK-000000202010-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202010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64436-
dc.description.abstract최근 일반학교에서는 학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을 포함해, 다수의 긍정적 행동지원 연구들이 실행되기 시작하여 그 효과를 입증해 오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일반학교에서의 긍정적 행동지원 연구는 전체 학생 대상의 보편적 지원을 포함한 경우가 적고, 다층적 예방모형을 적용한 경우와 긍정적 종속변인을 측정한 경우는 상대적으로 더 적으며, 대상 학생의 연령도 다양하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일반학교에서 긍정적 행동지원의 다층적 모형을 학년차원에 적용하고 그 성과를 검증하여 추후 국내 일반학교에서 긍정적 행동지원이 더욱 효과적으로 확대 실행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서울시 Y초등학교 5학년 전체 학생들을 대상으로 긍정적 행동지원의 다층적 예방모형에 따른 보편적 지원, 표적집단 지원을 실행하였다. 보편적 지원을 받은 학생들은 5학년 4개 학급 총 111명으로, 한 학급은 29~31명이며 2개 학급에는 특수교육대상학생이 1명씩 포함되어 있었다. 표적집단 지원에는 보편적 지원 이후에도 학업과 사회성에 어려움을 보이는 5명의 학생이 참여하였으며 이 중 1명은 특수교육대상학생이었다. 보편적 지원에는 학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을 위한 실행팀 구성과 교사연수 등의 시스템 구축과 학년차원의 기대행동 선정 및 교수, 강화체계 운영, 사회정서학습이 포함되었다. 표적집단 지원에는 방과후 지원 프로그램과 담임교사 지원이 포함되었다. 본 연구의 학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전체 학생들의 학업참여 행동의 사전-사후 변화 정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대응표본 t 검정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표적집단 지원 대상학생들의 학업참여 행동 사전-사후 변화 정도는 Wilcoxson 부호순위 검정으로 분석하였으며 특수교육대상학생들의 사전-사후 변화 정도는 기술통계로 알아보았다. 또한 표적집단 지원 대상학생들과 특수교육대상학생의 개별 학업참여 행동 목표성취 정도를 학기 말 목표성취척도(Goal Attainment Scale, 이하 GAS) 점수 평정을 통해 살펴보았다. 더불어 학업참여 행동의 월별 추이를 기술통계로 살펴보고, 시간에 따른 중재 효과를 반복측정 분산분석(이하 RM ANOVA)을 통해 알아보았다. 전체 학생들의 사회정서역량 사전-사후 변화 정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대응표본 t 검정으로, 표적집단 지원 대상학생들의 사회정서역량 사전-사후 변화 정도는 Wilcoxson 부호순위 검정으로 분석하였고 특수교육대상학생들의 사회정서역량 사전-사후 변화 정도는 기술통계로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전체 학생들의 학교 분위기에 대한 인식의 사전-사후 변화 정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대응표본 t 검정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의 보편적 지원과 표적집단 지원을 받은 통합학급 전체 초등학생들의 학업참여 행동의 사전-사후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월별 추이도 전반적으로 학업참여 행동이 향상되었음을 나타내었다. 또한 전체 학생들의 학업참여 행동은 긍정적 행동지원이 실행된 시간에 따라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더불어 표적집단 지원 대상학생들과 특수교육대상학생의 개별 학업참여 행동 GAS 점수의 평균은 기대치를 초과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실행한 학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은 통합학급 초등학생의 학업참여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학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의 보편적 지원과 표적집단 지원을 받은 통합학급 전체 초등학생들과 표적집단 지원 대상학생들의 사회정서역량 사전-사후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또한 특수교육대상학생들의 사회정서역량 점수가 향상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실행한 학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은 통합학급 초등학생의 사회정서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학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의 보편적 지원과 표적집단 지원을 받은 통합학급 전체 초등학생들이 인식한 학교 분위는 사전에 비해 사후검사의 총점 평균이 향상되었으나, 이러한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학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의 보편적 지원과 표적집단 지원의 여러 구성요소를 갖추어 실행한 연구로서, 국내 일반학교에서의 긍정적 행동지원 실행을 확대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통합학급 학생들을 위한 예방적인 생활지도 모델을 확립한 점, 학업과 사회성에 어려움이 있는 표적집단 지원 대상학생들을 위한 다요소의 중재를 고안하여 성과를 나타낸 점, 학생들의 학업참여 행동을 향상시킨 점, 실행팀의 협력과 교육청, 관리자의 지원을 바탕으로 일반교사 주도로 학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을 실행한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Recently, in general schools, many positive behavioral support studies, including grade-wide positive behavioral support have begun to be implemented and proved their effectiveness. However, studies on positive behavioral support in general schools still rarely include universal support for all students. In addition, relatively fewer studies have applied the multi-tiered prevention model and measured positive dependent variables. Also, the age of the participants in previous studies was not divers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lement grade-wide positive behavioral support in a general school applying intervention factors according to the multi-tiered prevention model to verify its outcomes so that positive behavioral support can be expanded and implemented more effectively in general schools in Korea. This study implemented universal support and targeted group support according to the multi-tiered prevention model of positive behavioral support for all fifth graders of Y Elementary School in Seoul. A total of 111 students from four classes received universal support. There were 29 to 31 students in each class and 2 of them were inclusive classes with one student with special needs. Five students who showed difficulty in academic and social skills even after universal support participated in the targeted group support, and one of them was a student with special needs. Universal support included the establishment of the system such as the formation and training of an action team, selection and teaching of expected behavior, operation of a reinforcement system, and social-emotional learning. Targeted group support included an after-school support program and homeroom teacher’s support. To examine the effect of this study, a paired t-test was conducted to analyze wheth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pre-post changes in the academic engagement behavior of all students. Wilcoxon signed-rank test was conducted to analyze changes in the academic engagement behavior of targeted-group students and the data of students with special needs was examined by descriptive statistics. In addition, the degree of achievement of individualized academic engagement goals of targeted-group students and a student with special needs was examined through the goal achievement scale score at the end of the semester. Monthly trends in academic engagement behavior were examin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d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intervention over time, repeated measurement ANOVA was conducted. In addition, a paired t-test was conducted to analyze wheth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pre-post changes in the social-emotional competency of all students. Wilcoxon signed-rank test was conducted to analyze changes in the social-emotional competency of targeted-group students and the data of students with special needs was examined by descriptive statistics. Finally, a paired t-test was conducted to analyze wheth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pre-post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the school climate of all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re-post changes in academic engagement behavior of all studen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overall monthly trends showed an improvement in academic engagement behavior and this improvement over tim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well. Additionally, the average score of individualized academic engagement goals of the targeted-group students and the score of a student with special needs exceeded expectations. Therefore, the grade-wide positive behavioral support in this stud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academic engagement behavior of all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inclusive classes. Second, the pre-post changes in the social-emotional competency of all students and targeted-group studen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the total scores of students with special needs on social-emotional competency were improved. Therefore, the grade-wide positive behavioral support implemented in this stud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ocial-emotional competency of all students in inclusive classes. Third, the average of the total score on the school climate perceived by students was improved, but this chang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panded the implementation of positive behavioral support in general schools in Korea as it was implemented with various components of universal and targeted group support of SWPBS. This study is also significant in that it established a preventive guidance model for seni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demonstrated outcomes by devising multi-factor intervention for targeted-group students with academic and social difficulties, proved the effect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on achievements related to students' academic engagement, and conducted positive behavioral support led by the general teacher, with the cooperation of action team and support from the Office of Education and school administrator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7 C. 용어 정의 7 1. 학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7 2. 학업참여 행동 8 3. 사회정서역량 9 5. 학교 분위기에 대한 인식 9 Ⅱ. 이론적 배경 10 A. 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10 1. 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의 등장 배경 및 정의 10 2. 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의 구성요소 11 3. 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의 다층적 예방모형 13 4. 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실행 단계 16 B. 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의 실행 19 1. 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의 국내외 실행과 연구 동향 19 2. 국내 일반학교에서의 학교, 학년 및 학급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22 3. 국내 일반학교에서의 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의 가능성 31 Ⅲ. 연구방법 36 A. 연구 참여자 36 B. 실험 기간 및 장소 42 C. 학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실행 요소 개발 44 1. 시스템 구축 45 2. 보편적 지원 45 3. 표적집단 지원 45 4. 개별 지원 46 D. 학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실행 46 1. 시스템 구축 47 가. 실행팀 구성 및 교사연수 47 나. 전교사 홍보 및 행정 지원 51 다. 가정 연계 및 학부모 연수 52 2. 보편적 지원 53 가. 기대행동 선정 53 나. 강화체계 수립 54 다. 기대행동 교수 및 게시 56 라. 사회정서학습 60 3. 표적집단 지원 65 가. 방과후 지원 프로그램 65 나. 담임교사 지원 69 E. 종속변인 70 1. 학업참여 행동 70 2. 사회정서역량 72 3. 학교 분위기에 대한 인식 73 F. 실험 설계 및 절차 75 1. 실험 설계 75 2. 실험 절차 75 G. 자료 수집 및 처리 79 H. 실행충실도 80 I. 사회적 타당도 85 Ⅳ. 연구결과 97 A. 학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통합학급 초등학생의 학업참여 행동에 미치는 영향 97 1. 통합학급 초등학생의 학업참여 행동에 미치는 영향 97 2. 통합학급 초등학생의 학업참여 행동 변화 추이 101 B. 학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통합학급 초등학생의 사회정서역량에 미치는 영향 105 C. 학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통합학급 초등학생의 학교 분위기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110 Ⅴ. 논의 및 제언 111 A. 논의 111 1. 학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실행이 통합학급 초등학생의 학업참여 행동에 미친 영향에 대한 논의 112 2. 학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실행이 통합학급 초등학생의 사회정서역량에 미친 영향에 대한 논의 116 3. 학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실행이 통합학급 초등학생의 학교 분위기에 대한 인식에 미친 영향에 대한 논의 120 B. 연구의 제한점 123 C.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126 참고문헌 130 부록 145 ABSTRACT 20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38788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학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통합학급 초등학생의 학업참여 행동, 사회정서역량 및 학교 분위기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Effects of Grade-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 on Academic Engagement Behavior, Social-emotional Competency, and Perceptions of School Climat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Inclusive Classes-
dc.creator.othernameKim, Jiyoung-
dc.format.pageⅸ, 207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특수교육학과-
dc.date.awarded202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