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23 Download: 0

포스트휴머니즘 관점으로 본 버추얼 인플루언서의 유형과 패션

Title
포스트휴머니즘 관점으로 본 버추얼 인플루언서의 유형과 패션
Other Titles
Types and Fashion of Virtual Influencers from Posthumanism Perspective
Authors
신연교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패션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세리
Abstract
With the adv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pursuing innovative change, posthumanism is reviving as an ideological theory that the current generation should pay attention to. Posthumanism, which means a new future subject whose body is combined with science and technology, transformed reality and virtual human body definition. This concept of proposing a body image conjunct with an organism as well as a combination of humans and machines is closely related to the existence of a virtual influencer with a body implemented through digital technology. Starting in 2016, virtual influencers have been exerting a great influence on the overall industry and economy, including socio-cultural aspects. In particular, they are deeply involved in the fashion industry by naming them as positions such as a brand's model, ambassador, and muse. They communicate with the world through social media in digital space in line with the posthumanist era, including the aforementioned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dditionally, the spread of non-face-to-face lifestyles caused by the pandemic disaster situation further strengthened the power of social media including Instagram. Thus, the importance of the existence of virtual influencers that exert influence in social media is becoming more prominent. The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entire cultural industry, inclusive of fashion, just like human influencers. Originally, it was common for them to show very similar body reproduction to humans, but virtual influencers with posthuman characteristics are gradually emerging outside of a human form. Posthuman virtual influencers also had a close connection with the fashion industry, so they are quite related to the fashion industry based on this socio-cultural and economic backgroun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ir fashion by looking at the existence of virtual influencers from the perspective of posthumanism and categorizing them based on posthuman elements, and ultimately explore the types of virtual influencers and the meaning of fashion. So that, First, the foundation for posthumanism theory was arranged through relevant books of researchers centered around Europe and precedent research materials. In addition, various digital media, containing social media and new media, were used to identify the flow of the human-type virtual influencer industry, and closely investigated their activities in the fashion industry. In this process, VirtualHumans, an information website that provides and archives information on virtual influencers, was actively used as the basis to collect data. As the study subjects, 34 virtual influencers with posthuman bodies were selected to analyze the types and fashion that appeared in social media images, focusing on Instagram. At this time, The only figures planned by including other things in their body without reproducing the human appearance as it is were selected as the subject of the study. Moreover, although the human body was reproduced, planned figures in which parts of the animal body were expressed were included in the category, but figures in the form of complete animals were excluded.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posthumanism discourse provides important reasons for the fashion industry and the virtual influencer industry that are changing due to digital innovation. Posthumanism can prepare for the possible absence of morality and ethics in the virtual world, which can serve as a basis for understanding virtual influencers today. Second, the types and fashion of virtual influencers that exist in various types in the fashion industry can be discussed in the posthumanism discourse of human-centered posthumanism and posthumanism as a whole after analyzing various posthumanism theories and representatives in the 20th century. Third, the general concept of virtual influencers, which is currently in use, began with a virtual existence in e-commerce in the 2000s, and the development of social media, including Instagram, influenced the activities of virtual influencers. Fourth, virtual influencers appeared in earnest as of 2016, and it can be seen that after 2018, a person type that combines humans and non-humans appeared. Non-human posthuman virtual influencers were especially active in the fashion industry. Fifth, the types of posthuman virtual influencers and fashion in the fashion industry can be derived as representative types such as animal and human bonding, machine and human bonding, and de-earthy organism, and human bonding based on posthumanism discourse. Sixth, we closely examine the types and fashion of posthuman virtual influencers of animal and human bonding, machine and human bonding, de-earthy organisms and human bonding, investigated their fashion-related activities, and confirmed various styles of fashion brand-related activities. Seventh, as the type of virtual influencer that exerts influence in the fashion industry and the meaning of fashion, the type of posthuman virtual influencer and fashion act as a tool of human-centered expression, and the expression of human improvement and gender enhancement through technology and race appeared. Next, it was confirmed that their types and fashion can act as a tool for strengthening consumption value, and strengthen product value and influencer value. Finally, as a tool for utopian expansion, it was found that their types and fashion transformed the worldview of fashion brands into a virtual world and expanded the fashion industry by proposing new fashion items. The trend of the fashion industry, which explores and pursues innovative visuals, will actively embrace new body types and presence that show fashion, such as posthuman virtual influencers. In addition, the field of virtual fashion and 3D fashion, which incorporates rapidly developing digital technology, is paying attention to virtual influencers beyond human influencer. The flow of the modern fashion industry enjoys virtual fashion, including metaverse and NFT, and the existence of posthuman virtual influencers is becoming more important in this process. As a follow-up study of this study, it seems possible to focus on virtual influencers belonging to Superplastic and individual figures such as Ruby Gloom, Apoki, IV, and The Curse, who showed remarkable performance in the fashion industry. In addition, follow-up studies are expected to look at various fashion activities centered on the virtual world, which includes the types of posthuman virtual influencers and fashion.;혁신적 변화를 추구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와 함께 포스트휴머니즘은 현 세대가 주목해야할 사상적 이론으로 부흥하고 있다. 과학기술이 결합된 신체의 새로운 미래 주체를 뜻하는 포스트휴머니즘은 현실과 가상의 인간 정의를 변화시켰다. 인간과 기계의 결합뿐만 아니라 여러 형태의 유기체와 결합된 주체를 제안하는 이 개념은 디지털 기술을 통해 구현된 버추얼 인플루언서 존재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버추얼 인플루언서는 2016년을 기점으로 사회문화적 측면을 비롯한 산업 경제 전반에 있어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중이다. 이들은 특히 패션산업 내에서 브랜드의 모델, 앰버서더, 뮤즈 등의 포지션으로 명명되며 패션계에 깊이 관여하고 있다. 이들은 앞서 언급한 4차 산업혁명을 포함한 포스트휴머니즘 시대의 핵심 인물답게 디지털 공간에서 소셜미디어를 통해 세상과 소통한다. 또한 인스타그램을 비롯한 소셜미디어의 힘은 팬데믹 재난 상황이 야기한 비대면 생활 방식의 확산과 함께 강화되었다. 이에 따라 소셜미디어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버추얼 인플루언서의 존재적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이들은 인간 인플루언서와 다를 바 없이 패션을 포함한 문화산업 전반에서 주요한 역할에 위치한다. 버추얼 인플루언서는 본래 인간는 아주 유사한 신체 재현을 보이는 것이 일반이었으나 점차 인간 형태를 벗어나 포스트휴먼 특성을 띠는 유형의 인물이 등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포스트휴먼 버추얼 인플루언서 또한 패션산업 내 다양한 활동을 통한 긴밀한 연결고리를 갖고 있어 이들의 역할과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그러나 이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으로 비인간형 버추얼 인플루언서 존재에 관한 패션 분야의 연구가 요구되는 바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비인간 버추얼 인플루언서에 주목하여 이들의 유형과 패션을 포스트휴머니즘 시각에서 논의하는 시도를 함으로써 새로운 패션 주체의 가능성을 모색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포스트휴머니즘 관점에서 바라본 버추얼 인플루언서를 포스트휴먼 유형으로 도출하고 이들의 패션을 분석하여 해당 관점에서 고찰하는 것이다. 이들의 유형과 패션을 고찰하는 과정을 통해 의미를 도출하고 현대 패션산업의 새로운 주체로서의 포스트휴먼 버추얼 인플루언서에 관한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우선적으로 유럽을 중심으로 한 포스트휴머니즘 학자들의 관련 서적 및 선행연구 자료를 통해 포스트휴머니즘 이론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또한 연구의 특성상, 소셜미디어 및 뉴미디어를 포함한 다양한 디지털 매체를 이용하여 인간형 버추얼 인플루언서 산업의 흐름을 파악하고, 이들의 패션산업 내 활약 사례들을 면밀히 조사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버추얼 인플루언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아카이빙하는 정보사이트 버추얼휴먼스를 자료 수집의 토대로서 적극 활용하였다. 연구 대상으로서 포스트휴먼 특징이 나타나는 버추얼 인플루언서 34인을 선정하여 인스타그램을 중심으로 소셜미디어에 나타나는 신체 유형과 패션 이미지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인간의 외형을 그대로 재현하지 않고 인간 신체와 그 외의 것이 결합되어 기획된 인물만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 때, 완전한 동물 형태의 인물은 제외하고 인간의 신체를 재현하였으나 동물 신체 일부가 표현되어 기획된 인물은 범주에 포함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포스트휴머니즘 담론은 디지털 혁신으로 변화하는 패션산업 및 버추얼 인플루언서 산업에 있어 중요한 사유의 토대를 마련함을 확인하였다. 포스트휴머니즘은 가상 세계 내 발생 가능한 도덕성 및 윤리성 부재 문제를 대비하고 오늘날 버추얼 인플루언서를 이해하는 근거가 될 수 있다. 둘째, 20세기 다양한 포스트휴머니즘 이론과 대표인물을 분석한 결과 패션산업 내 여러 유형으로 존재하는 버추얼 인플루언서의 유형과 패션은 인간중심적 포스트휴머니즘과 탈인간중심적 포스트휴머니즘이라는 포스트휴머니즘 담론 전체에서 논의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현재 통용되는 버추얼 인플루언서의 일반적인 개념은 2000년대 이커머스 내 가상 존재로부터 시작되었으며 인스타그램을 비롯한 소셜미디어의 발달은 버추얼 인플루언서의 활약에 영향을 행사하였다. 넷째, 버추얼 인플루언서는 2016년을 기준으로 본격적으로 등장하였으며 2018년 이후 인간과 비인간이 결합된 인물 유형이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비인간형 포스트휴먼 버추얼 인플루언서는 특히 패션산업에서 보다 가시적이 활약상을 보이고 있었다. 다섯째, 패션산업 내 포스트휴먼 버추얼 인플루언서의 유형과 패션은 포스트휴머니즘 담론을 근거로 동물과 인간 결합, 기계와 인간 결합, 탈지구적 유기체와 인간 결합이라는 대표 유형들로 도출될 수 있다. 여섯째, 포스트휴먼 버추얼 인플루언서의 유형과 패션을 면밀히 살펴보고 패션 관련 활동에 대해 조사한 결과 이들은 스트리트 브랜드부터 럭셔리 브랜드까지 다양한 컨셉의 브랜드와 협업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일곱째, 포스트휴먼 버추얼 인플루언서의 유형과 패션의 의미는 세 가지로 표현되었고 우선적으로 인간 중심화 표현의 도구로서 작동하며 기술과 인종을 통한 인간 향상 및 젠더 강화의 표현이 나타났다. 다음으로, 이들의 유형과 패션이 소비 가치 강화의 도구로 작동하여 제품 가치와 인플루언서 가치를 강화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는 유토피아적 확장의 도구로, 이들의 유형과 패션이 패션 브랜드의 세계관을 가상 세계로 변환하고 새로운 패션 아이템을 제안하여 패션산업을 확장함을 알 수 있었다. 혁신적인 비주얼 탐구를 추구하는 패션산업의 흐름은 포스트휴먼 버추얼 인플루언서와 같은 새로운 신체 유형과 패션을 보여주는 존재들을 적극적으로 수용할 것이다. 또한 급속히 발전하는 디지털 기술이 접목된 버추얼 패션 및 3D 패션 분야는 인간 인플루언서를 넘어 버추얼 인플루언서를 주목한다. 현대 패션산업은 메타버스와 NFT를 포함한 버추얼 패션 영역을 개척하고 관련 시장을 확대하고 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포스트휴먼 버추얼 인플루언서의 존재의 영입은 더욱 중요시되고 있다. 본 연구의 후속 연구로서 패션산업에서 눈에 띠는 활약을 보여줬던 슈퍼플라스틱 소속의 버추얼 인플루언서들과 루비 그룸, 아뽀키, 아이비, 더 컬스 등의 개별 인물들에게 집중한 연구가 가능해 보인다. 덧붙여 포스트휴먼 버추얼 인플루언서의 유형과 패션이 포함된 가상 세계를 중심으로 한 다채로운 패션 활동을 다각도에서 바라본 후속 연구들이 기대되는 바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