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63 Download: 0

틀에 박힌 이미지를 쪼개고, 흩뿌리고, 확장하고, 여러 가지 자세로 보기

Title
틀에 박힌 이미지를 쪼개고, 흩뿌리고, 확장하고, 여러 가지 자세로 보기
Other Titles
Split, Scatter, Expand, and View Stereotypical Image in Various Ways : Visual Communication Book “The World Alive”
Authors
김수하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시각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유윤석
Abstract
이미지는 세계의 단순한 모방이 아니다. 이미지는 그것이 표현한다고 주장하는 대상일 뿐 아니라 우리가 인식하는 현실의 일부가 된다. 이미지에 대한 우리의 인식은 분리되지만, 동시에 이미지는 체화된 인식 지평의 일부가 된다. 본 연구는 모리스 메를로퐁티(Maurice Merleau-Ponty)의 ‘몸의 현상학’에 기초한 이미지 정의, 엘리엇 아이즈너(Eliot Eisner)의 ‘표상형식’, 넬슨 굿맨(Nelson Goodman)의 ‘세계 만들기’에 근거하여 이미지에 대한 관점을 정립한다. 이를 통해 그래픽 디자이너가 만들어내는 이미지는 세계를 제작하는 하나의 방식으로 작용하며, 사람들의 인식 형성에 어떠한 힘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그래픽 디자이너는 자신의 활동에 대해 비판적 태도와 인식을 갖춰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한다. 이처럼 이데올로기적 힘을 지닌 이미지는 현시대에 어떤 양상을 띠고 있는가? 이미지의 과잉생산으로 특징 지어지는 현시대에 이미지는 스테레오타입의 그늘 아래 놓여있다. 스테레오타입이란 “먼저 보고 나서 정의를 내리는 것이 아니라 먼저 정의를 내리고 나서 본다.”고 정의할 수 있다(Lippmann, 1922). 스테레오타입은 복잡성을 다루는 실용적 방안으로써 채택되지만, 스테레오타입 이미지를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은 세상을 보고, 경험하고, 이해하고, 그리고 가장 중요하게는 생각하는 방식에 미치는 이미지의 영향력을 과소평가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영아가 처음 마주하는 시각매체인 ‘초점책’의 스테레오타입 성격을 비판하고 새로운 제안을 모색한다. 즉, 스테레오타입과 이미지, 보는 이로서의 영아에 대한 다양한 층위의 이론적 분석을 다루고 그 특성을 고찰함으로써, 새로운 ‘시각교감책’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영아와 이미지의 관계를 탐구한다. 우선, 영아기와 이미지의 관계를 인지발달적 측면과 정서적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본다. 장 피아제(Jean Piaget)에 따르면 인지발달적 측면에서 영아가 감각기관을 통해 받아들이는 정보는 감각운동기 영아의 인지발달에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된다. 세르주 티서롱(Serge Tisseron)에 따르면 영아는 이미지에 대해 다양한 욕망을 가지며 이미지와 정서적인 관계를 맺는다. 이 욕망은 이미지에 대한 향수로 남기에 이미지는 영아가 성인이 되어서도 그의 흥미와 취향 등에 깊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영아와 이미지의 관계는 암묵기억을 통해 영아에 장기간 영향을 미치게 된다. 한편, 본 연구는 영아가 어른의 ‘단순한 수준’이나 ‘하위 수준’이 아니라 독립적 시각 선호를 갖는다는 증거를 살펴본다. 다양한 층위의 논의를 종합한 결과, 영아에 대한 스테레오타입 이미지의 영향력이 과소평가되고 있으며 이제껏 비평적으로 접근하지 않았던 영아기 시각매체의 조형에 대해 새로이 접근해야 한다는 결론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영아를 대상으로 하는 새로운 그래픽 개발 방안을 모색한다. 그래픽 디자인에 있어서 조건은 수행의 출발점을 마련하므로, ‘변화와 다양성’을 담을 수 있는 이미지를 제작하는 것으로 방향을 잡고 작업을 위한 몇가지 조건을 도출한다. (1) 자연의 요소에서 그래픽 모티프를 채택하고, (2) 땅 위 아래, 안과 밖을 넘나드는 비주얼 내러티브, (3) 구상과 추상의 방식을 혼합하여 느슨한 비주얼 내러티브를 갖추며, (4) 흑백 그래픽 모티프는 무늬 및 질감을 강조하고 (5) 기존 초점책에서 다뤄지지 않은 색과 그라데이션을 활용한다는 5가지 조건을 설정한다. 이 조건은 스테레오타입 이미지의 특징, 영아의 시각 및 운동기능 특성과 그 발달과정, 양육자와 영아 간 교감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한다. 특히, 기존의 초점책에는 내러티브가 결여되어 있어 양육자가 단지 책을 펼쳐 보이거나 앞에 놓아둘 뿐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여러 방향으로 펼침면의 확장이 가능한 입체제본 구조를 구상해 비주얼 내러티브를 갖추도록 한다. 다양한 질감과 이미지 표현 개발을 위해 디지털 드로잉 매체인 프로크리에이트(Procreate)와 기계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인쇄 실험과 이미지 표현을 가능하게 하는 인쇄 방식인 리소그라피(Risograph)을 채택한다. 끝으로, 본 연구는 작업 결과물이자 새로운 대안으로서 ‘시각교감책’《살아있는 세계》를 제안한다.《살아있는 세계》의 전체 내러티브는 생성과 소멸을 통한 자연의 ‘순환과 다양성’이다. 흑백 돌멩이로 시작하는 이 책은 바위가 깨지고, 흙이 되고, 비가 내리고, 물이 아래로 고이는 형상과 그라데이션, 구상과 추상으로 이어진다. 이어서 책은 ‘같지만 다른’ 여러 색과 모양의 콩, 나무의 밑동, 열매, 새를 여러 펼침면을 통해 드러낸다. 시각교감책《살아있는 세계》는 처음의 돌멩이와 유사한 구도의 알이 둥지에 담겨있는 순환적인 모습으로 끝맺는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영아를 대상으로 스테레오타입 이미지에 대한 보다 성찰적인 이해의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Image is not just an imitation of the world. An image is not only an object that it claims to express, but also becomes part of the reality we perceive. Our perceptions on images are separated, but at the same time, images become parts of an embodied cognition. This study establishes a perspective on images based on discussions such as Maurice Merleau-Ponty’s “Phenomenology” Elliott Eisner’s “Forms of representation,” and Nelson Goodman’s “Worldmaking”. This concludes that graphic designers should be critical of their activities because the images they create act as a way of worldmaking and as a force in shaping people's perceptions. What is the aspect of the image with ideological power in modern times? In modern times, characterized by overproduction of images, images lie under the shadow of stereotypes. ‘Stereotype’ can be defined as “For the most part we do not first see, and then define, we define first and then see.” (Lippmann, 1922). A Stereotype is adopted as a practical way to deal with complexity, but indiscriminate acceptance of stereotypical images underestimates the image’s influence on the way it sees, experiences, understands, and thinks about the world. This study criticizes the ‘stereotypical’ aspect of “focal book(초점책)”, the visual medium that infants encounter for the first time, and seeks new suggestions. In other wor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new ‘visual communication book’ by examining the theoretical analysis of various layers of stereotypes, images, and infants as viewers.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fants and images. First of all, the relationship between infants and images can be divided into cognitive and emotional aspects. According to Jean Piaget, in terms of cognitive development, information received by infants through sensory organs, including visual system, become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cognitive development of infants. According to Serge Tisserson, infants have various desires for images and have an emotional relationship with them. This desire on the images remains as ‘La Nostalgie de l'halucination(The Nostalgia of Hallucination)’, so the image deeply affects infants’ interest and taste even when infants grow up as adults. In fact, The relationship between infants and images has a long-term effect on the infant through implicit memory.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s evidence that infants have independent visual preferences, not “simple levels” or “sub-levels” of adults. Taken together,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influence of stereotypical images on infants is undervalued and that new approach should be made to the form of infant visual medium, which hasn’t been critically approached. This study seeks to develop a new graphic medium targeting infants. In this process, this study decided to produce an image that can contain ‘change and diversity’. Five conditions have been set: (1) Graphic motifs are adopted in the elements of nature, (2) It has visual narratives that cross the top and bottom, inside and outside of the ground, (3) It has a loose visual narrative by mixing figures and abstractions, (4) Black and white graphic motifs emphasize patterns and textures, (5) Colors and gradations not covered in existing focus books are utilized. These conditions consider various factors such as the characteristics of stereotype images, the visual and motor function characteristics of infants and their developmental processes, and the communication between caregivers and infants.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s on the fact that the existing 'focal books' lack narratives, so caregivers only unfold them or put them in front of infants. Therefore, this study designed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where the pages can be expanded in various directions to have visual narratives. In addition, A drawing medium (Procreate) and a printing method (Risograph) were adopted for the development of various texture and image representations. Finally, this study proposes the results of the work, ‘Visual Communication Book: The World Alive’. The entire narrative of “The World Alive” is nature’s ‘circulation and diversity’ through creation and extinction. The book, which begins with black and white stones, leads to shapes and gradations, figures and abstractions in which rocks break and become soil, rain fall, and water gathers downward. Subsequently, the book reveals “same but different”beans in various colors and shapes, the base of the tree, fruits, and birds through several expanded pages. “Visual Communication Book: The World Alive” ends with a circular composition, with eggs in a nest similar to the initial stone. Through this work, this study seeks a more reflective understanding of stereotypical images for infa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