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93 Download: 0

원초적 놀이성향에 기초한 조형 연구

Title
원초적 놀이성향에 기초한 조형 연구
Authors
김기아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윤순란
Abstract
본 논문은 놀이라는 행위에 중점을 두어 그 특성인 행위의 무목적성과 자발성을 토대로 작품을 제작하고 그 결과로서 작품에 드러난 시각적 유머뿐 아니라 사물의 우발적인 조우를 빚어낸 즉흥성의 양태를 분석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 놀이는 사회문화적 행태로서의 어떤 구체적인 놀이를 지칭하는 게 아니라 본능적차원에서 즐겁게 놀기 그 차체 로서의 행위, 즉 순수한 놀이 정신1)의 발현을 의미한다 조형 연구의 핵심은 즉흥적으로 놀이하는 자세를 취하여 즐겁게 손끝에서 행해지는 창조성을 지향2)하는 것이다 요컨대 놀이를 특별한 활동 형식이자 문화의 기능으로 인식하는 요한 하위징아(Johan Huizinga)의 관점보다는 놀이의 본질인 재미 (fun)를 추구하는 행위 그 자체로서의 조형 연구에 더 근접하다는 뜻이다. 놀이의 주된 특성은 놀이하는 행위 자체가 목적이 된다는 점과 그 행위를 하고자 하는 동기가 자발적이고 자유로운 의지에서 발현된다는 것이다.3) 인간에게는 저마다의 삶을 살아가게 하는 원동력이 존재하고 그 힘을 바탕으로 삶을 살아간다. 그 원동력으로 우리는 생명력을 느낄 수 있는 활동을 하며 살아간다 이를 바탕으로한 생각 말 행동은 우리의 삶 물리적으로 지탱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이해와 인지의 경험이 쌓이면서 나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 파악하게 된다. 본 연구의 목적으로는 첫 번째, 원초적 놀이성향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놀이와 조형예술이 어떤 관련성을 맺을 수 있는지를 심리학적 측면에서 살펴봄으로써 놀이를 통한 내적 성장의 가능성과 잠재력이 연구작품에서 전개될 수 있는 토대를 구축하는 것이다. 두 번째, 놀이 성향이 두드러진 조형예술의 선행 연구 업적을 살펴보고 표본을 수집하여 유형 별로 사례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작가 개인의 작품 제작 과정이나 작품 자체가 놀이의 장(field)이 되는 방식과 더 나아가 관람객이 직접 참여하는 놀이로 확장되는 방식이 무엇인지 이해하는 것이다. 세 번째, 놀이성향의 내면을 탐구한 결과물인 7점의 연구 작품을 제작하고 분석하여 향후의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의 내용은 크게 이론적 탐구와 작품의 제작 및 분석으로 나뉜다. 전반부인 이론적 탐구는 다시 표현 내용과 관련된 이론적 고찰과 조형 예술 선행 사례로 이분된다. 표현내용과 관련하여 유희와 치유로서의 놀이를 심리학적 측면에서 탐구하고 놀이가 어떻게 내적 성장으로 이어질 수 있는지를 문헌조사에서 확인할 것이다. 스튜어트 브라운 (Stuart Brown, 2021)의 주요 저서인 『놀이, 즐거움의 발견 』, 루트 암만(Ruth Ammann, 2009)의 단행본 『융 심리학적 모래놀이치료: 인격 발달의 창조적 방법』, 칙센트미하이(Mihaly Csikszentmihalyi, 2004)의 『몰입의 재발견 』 및 2차 문헌을 참조할 것이다 또한 표현 형식과 관련하여 조형 예술 선행 사례에서 확인할 수 있는 놀이의 성격과 역할이 무엇인지 살펴볼 것이다. 알렉산더 칼더(AlexanderCalder), 톰 프리드먼 (Tom Friedman), 헬가 스텐첼(Helga Stentzel),장 미셸 바스키아(Jean Michel Basquiat), 장해림, 토시코 호리우치 맥아담(Toshiko Horiuchi Macadam),닉 케이브(Nick Cave), 앤 해밀턴(Ann Hamilton)이 분석 대상이다. 이어지는 후반부에서는 연구작품의 제작 및 분석에 대해 서술한다. 놀이의 태도가 비롯된 경위에 대해 살펴보며, 유희적인 태도로임한 작품 제작 과정을 통해 체화된 경험과 그것이 드러난 양상을 분석한다. 또한, 놀이 방식의 작업을 통해 경험한 치유와 회복에 대해 서술하고, 몰입을 통한 의식의 확장과 수행 경험으로 이어진 작업 과정을 기록하고 그 양태를 분석한다 이는 놀이의 태도를 통한 내적 성장이 어떻게 작품에 드러나는지 살펴 그 과정과 양태를 기록함으로써 놀이 성향의 의의를 고찰하려는 것이다. 이론적 고찰과 조형 예술 선행 사례 연구를 토대로 총 7점의 연구작품을 제작 하고 분석하여 아래와 같은 세 가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놀이를 통해 본인이 체화한 내용들은 누구나 경험할 수 있는 것이다. 그것을 각자의 삶에 적용하고 놀이의 장점을 가미한 일상을 영위함으로써 내적으로 성장할 수 있음을 깨닫게 되었다. 둘째, 조형 표현의 선행 사례 연구를 통해 각 작품에 반영된 놀이의 성격과 역할을 분석하면서 유희적인 태도로 작품을 제작하고 바라보는 선행 연구자들의 다양한 태도에서 공감이 가는 시사점들을 발견하였다. 이는 작품 제작 과정을 진전시키기 위한 충분한 모티브가 되었다. 셋째, 순수한 놀이정신의 발현을 통해 반복적으로 경험한 즐거움과 유희는 치유와 명상 수행이라는 내적 성장으로 연구자를 이끌었고 그 과정에서 놀이성향의 유용성과 잠재력을 확인하였다. 이는 이어지는 후속 연구의 방향을 잡는 데 중요한 기점이 되었다. 인간은 누구나 놀이를 일상에 다양하게 적용함으로써 내적 성장을 도모할 수 있다. 자신만의 체험을 작품으로 가시화하는 작업으로 내면 탐구의 여정을 기록하고 체계화함으로써 놀이가 지니는 가치를 믿게 되었고 그 중요성을 되새기게 되었다. 이번 연구가 자신감을 가지고 놀이하는 태도에 관한 후속 연구를 진행해 나갈 수 있는 토대가 될 것이라고 믿는다. 그러기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놀이에 관한 심리학적 근거를 폭넓게 연구하고, 그것을 쉽게 풀어서 전달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울 필요성이 있음을 인지하였다. 이를 통해 놀이를 통한 내적 탐구와 자기 실현의 과정을 타인들에게 소개하여 삶이란 게 무거운 것이 아니라 즐거움과 기쁨을 누릴 수 있는 여정이라고 인식하게 하는 데 이바지하고자 한다. 일과 일상에서의 즐거움 그 자체와 유용성을 지닌 놀이하는 태도에 대한 가치를 다시 한번 인식하고, 내적 성장을 지향하는 삶에 보탬이 되길 기대한다.;This paper focuses on the act of play and produces a work based on the purposelessness and spontaneity of the act, and as a result, it analyzes the aspects of improvisation that caused accidental encounters of objects as well as visual humor revealed in the work. In this study, play does not refer to any specific play as a socio-cultural behavior, but to act as a "body of having fun" on an instinctive level, that is, pure play-spirit historian Johan Huzinger explains the scope of play throughout human history, from primitive and infant play to play as a cultural function. He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he latter as a higher concept, but this paper reveals that the former, that is, the pure play spirit, has been taken as a key motivation for formative research. It aims for creativity that is joyfully performed at the fingertips by taking an impromptu attitude of playing. In short, it means that it is closer to the formative study as the act of pursuing fun, the essence of play, rather than the perspective of Johan Huizinga, who perceives play as a special form of activity and a function of culture. The main characteristics of play are that the act of play itself is the purpose and the motivation to do it is expressed in a voluntary and free will. In humans, there is a driving force that allows them to live their lives, and they live their lives based on that power. With that driving force, we live by doing activities that can feel the vitality. Thoughts, words, and actions based on this support our lives physically. Through this process, as the experience of understanding and recognition builds up, I understand what kind of person I a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the potential and potential of internal growth through play by examining the psychological relationship between play and formative art through a theoretical review of the original play tendency. Second, it is to understand how the artist's individual work production process or work itself becomes a field of play and furthermore, how it expands to play directly participating by looking at the prior research achievements of formative art with a prominent play tendency and collecting samples. Third, seven research works, which are the results of exploring the inner side of play tendency, are produced and analyzed to find a future direction. The contents of the study are largely divided into theoretical inquiry and production and analysis of works. Theoretical exploration, which is the first half, is again divided into theoretical considerations related to the content of expression and precedents of formative art. Regarding the content of expression, play as play and healing will be explored in psychological terms, and how play can lead to internal growth will be confirmed in a literature survey. We will refer to Stuart Brown's main book, "Discovery of Play, Pleasure," a book by Ruth Ammann (2009), "Yung Psychological Sand Play Therapy: Creative Methods of Personality Development," and "Rediscovery of Immersion" by Michaly Csikszentmihaly (2004). In addition, we will examine the nature and role of play that can be confirmed in the preceding cases of formative art in relation to expression form. Alexander Calder, Tom Friedman, Helga Stentzel, Jean Michel Basquiat, Jang Hae-rim, Toshiko Horiuchi Macadam, Nick Cave, and Hamilton are the targets of analysis. The following second half describes the production and analysis of research works. It examines how the attitude of play originated, and analyzes the experiences embodied through the process of producing works with a playful attitude and the patterns revealed. In addition, it describes the healing and recovery experienced through the work of the play method, records the work process that led to the expansion of consciousness and performance experience through immersion, and analyzes the pattern. This is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play propensity by examining how internal growth through the attitude of play is revealed in the work and recording the process and pattern. Based on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previous case studies of formative arts, a total of 7 research works were produced and analyzed, and the following three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anyone can experience the contents they embodied through play. I realized that I could grow internally by applying it to each life and living a daily life that added the advantages of play. Second, through a previous case study of formative expression, while analyzing the nature and role of play reflected in each work, we found sympathetic implications in the various attitudes of previous researchers who produced and viewed the work in a playful manner. This became a sufficient motif to advance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work. Third, by producing sculptural art works in a play manner, he experienced the joy of play accompanied by the production of works, and gradually experienced healing, meditation, and performance as a sublimation process led by the joy, which was rewarded with internal growth. Through internal exploration through play, it was an opportunity to deeply understand what play means to researchers. Any human being can promote internal growth by applying play to daily life in various ways. Through the work of visualizing one's own experience into a work, the value of play was believed by recording and systemizing the journey of inner exploration, and the importance of it was reflected. I believe this study will serve as the basis for further research on the attitude of playing with confidence. To do so, it was recognized that there was a need to continuously study the psychological basis for play and develop the ability to easily solve and deliver it. Through this, I would like to contribute to introducing the process of inner exploration and self-realization through play to others so that life is not heavy, but a journey to enjoy joy and joy. It is hoped that it will once again recognize the value of the play attitude, which has joy itself and usefulness in work and daily life, and contribute to life aiming for internal growth.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