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03 Download: 0

기호에서 파생된 동물 표상의 의미작용에 관한 조형 연구

Title
기호에서 파생된 동물 표상의 의미작용에 관한 조형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ignification of Animal Representation Derived from Symbols in Fiber Art
Authors
강나원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윤순란
Abstract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fiber artworks that express animal representations derived from symbols along with the signification of animals that can only be understood distorted by a limited perspective. By exploring the starting point of the meaning projected by individuals on animal images and examining the types of processes that give meaning, it is intended to explore the representation of animals that are commonly used as symbols rather than living thing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trace the aspects of individual signification led by the researcher's gaze at animals and to express them as a work of plastic art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Through th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animal representation derived from the actual animal and the symbol and the artistic meaning of the animal symbol were explored. Focusing on the signification of animal representations derived from sociocultural categories or personal experiences, the entire research process is developed as follows to explore animals that have become symbolic images. In Chapter Ⅰ, the background of the study was described,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established, and the scope and method were briefly described. In Chapter Ⅱ, first, the philosophical discourse on animal representation was explored by dividing it into two parts. Gilles Deleuze's (1985) 『Cinema Ⅱ』 and secondary literature related to it were used to explore and organize the process of forming animal images or symbols from the human point of view. Eco's code theory became the basis for exploring the process in which signs are created by codes combined from personal experiences and cultural examples, and through Deleuze, we can see signs being formed as animals, which are life forms. Next, by utilizing Jean Baudrillard's (1981) main work 『Simulacres et Simulation』 and secondary literature, I explored animal images formed by ‘simulacre'. Through this, I tried to define and explain the animal image that exists in human conception. Baudrillard becomes a path to understand the process in which a symbol detaches from the original and becomes a simulacre, an abstract virtual image. can be seen as Second, the analysis of previous cases examined in the history of formative arts was analyzed by classifying them into two types: ‘animals in symbols' and ‘animals in simulacre'. First, ‘animals in symbols’ is a type in which animal representations are used as symbols for distinguishing between animal species, and works by Claire Morgan, Kohei Nawa, Sangsoo Lee, and Debbie Lawson were selected. Next, ‘simulacre animals’ were divided into three major categories. The works of Paulo Puck, Julien Salaud, and Petah Coyne were selected as examples of representation of abstract meaning, and the works of Beth Cavener, Cai Guo-Qiang, and Paola Pivi were selected as examples of allegorical representations of animals. Marguerite Humeau's work was selected as an example of expressing animals, which are simulations that do not exist in reality. The second type, or simulacre, is derived from the first type, animal symbols, and has turned into a symbol indicating meaning in human ideas or an allegorical existence that represents human emotions. In other words, even if these two classes have the same animal representation,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original they refer to. In Chapter Ⅲ, while revealing the background of the production of research works, 7 research works will be produced and analyzed by dividing the process of accepting animals as symbolic images according to the signification of each type of animal representation into two categories. The first is ‘animals in symbols’. This is a type of work that expresses the process of signification in which signs that specify animal species are formed and affect the point of view of animals. Work 1, Work 2, and Work 3 centered on technique experiments are included as a study to visually express animal signs. The symbol code, which is an indicator for distinguishing animals, allows multiple animals to be defined under one rule. The fact that animals cannot subjectively intervene in this rule and that it is created only from the human point of view is expressed through the goldfish in Work 1 and the crows in Works 2 and 3. The second is ‘simulacre animals’. It is a type of work that expresses the fact that animal images derived from reality through tales, myths, and plastic arts are ideologically reconstructed to become new symbols. The created animal representation started as an example of an animal sign, but it is changed to a sign that refers to a meaning or idea created by humans, rather than an animal anymore. Works 4, 5, and 6, that is, rabbits, tigers, and snakes, are simulacre animals, and are representations of human ideas and emotions projected onto animals in a cultural context. Work 7 is an animal created by combining the representations of several animals. It is an animal created to express human ideas by combining the parts of signs contained in animal representation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by linking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research on seven works. Through this study, the meaning of animals contained in symbols was examined while deeply exploring the perspective of humans viewing other living things. Through the process of looking at and classifying others, I realized that I was not fully aware of animals. I would like to acknowledge that it is impossible not only for animals but also for humans who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o completely understand each other, and to think that even within the same symbol, different meanings are contained depending on individual experiences. Rather than rejecting what cannot be defined from a human point of view, we hope to recognize and respect it as it is.;본 논문은 제한된 관점에 의해 왜곡되어 파악될 수밖에 없는 동물의 의미작용과 더불어서 기호에서 파생된 동물 표상을 표현한 조형 예술 작품에 관한 연구이다. 동물 이미지에 개인이 투사한 의미의 시작점을 탐색하고 의미를 부여하는 과정의 종류를 고찰함으로써 생명체가 아닌 기호로서 통용되는 동물의 표상을 탐색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은 동물을 바라보는 본 연구자의 시선이 이끄는 개별적인 의미작용의 양상을 추적하는 일과 이론적 고찰을 통해 조형 예술 작품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실제 동물과 기호에서 파생된 동물 표상 간의 차이와 동물 기호가 가지는 예술적 의미를 탐구하였다. 사회문화적 범주나 개인적 경험에서 비롯된 동물 표상의 의미작용을 중심으로, 기호 이미지가 된 동물에 관해 탐구하기 위하여 전체 연구 과정을 다음과 같이 전개한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배경을 서술한 후 연구의 목적을 세우고 그 범위 및 방법을 소략하여 기술하였다. Ⅱ장에서는 첫째, 동물 표상에 대한 철학적 담론을 2가지로 나누어 탐구하였는데, 우선 기호학을 배경으로 움베르토 에코(Umberto Eco, 1976)의 주요 저작인 『일반 기호학 이론』과 질 들뢰즈(Gilles Deleuze, 1985)의 『시네마 Ⅱ』, 이와 관련된 2차 문헌을 활용하여 인간의 관점 안에서 동물 이미지 또는 기호가 형성되는 과정을 탐구하고 정리하였다. 에코의 코드 이론은 기호가 개인적 경험과 문화적 사례에서 조합된 코드에 의해 생성되는 과정을 탐구하기 위한 기반이 되었고, 들뢰즈를 통해 생명체인 동물로 기호가 형성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다음으로 장 보드리야르(Jean Baudrillard, 1981)의 주요 저작인 『시뮬라시옹』과 2차 문헌을 활용하여 ‘시뮬라크르’로 형성된 동물 이미지를 탐구하였는데, 보드리야르와 들뢰즈의 담론을 중심으로 실제로부터 독립되어 가공된 이미지를 통해 인간의 관념 안에 존재하는 동물 이미지를 정의하고 설명하고자 하였다. 보드리야르는 상징이 원본으로부터 떨어져 나와 관념적 허상인 시뮬라크르가 되는 과정을 이해하기 위한 경로가 되고, 들뢰즈는 시뮬라크르가 된 동물이 원본과 탈유사성을 가지면서 또 다른 해석의 가능성이 될 수 있음을 증명하는 이론으로 볼 수 있다. 두 번째, 조형 예술사에서 살펴본 선행 사례 분석은 ‘기호 안의 동물’과 ‘시뮬라크르인 동물’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기호 안의 동물’은 동물 종 간의 구별을 위한 기호로서의 동물 표상이 사용된 유형으로 클레이 모건, 코헤이 나와, 이상수, 데비 로슨의 작품을 선별했다. 다음으로 ‘시뮬라크르인 동물’은 크게 세 부류로 나눴다. 관념적인 의미를 표상하는 사례로 파울로 퍽과 줄리앙 살라우드, 페타 코인의 작품을 선별했고, 우화적 동물 표상의 사례로 베스 카베너와 차이 구어 치앙, 파올라 피비의 작품을 선별했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시뮬라시옹인 동물을 표현한 사례로 마르게리트 위모의 작품을 선별했다. 두 번째 유형, 즉 시뮬라크르인 동물은 첫째 유형인 동물 기호에서 파생되어, 인간의 관념 속 의미를 지칭하는 기호이거나 인간의 감정을 대변하는 우화적 존재로 변한 것이다. 즉, 이 두 부류가 같은 동물의 표상을 가지더라도 그것이 지칭하는 원본에 차이가 있다는 뜻이다. Ⅲ장에서는 연구작품의 제작 배경을 밝히면서 동물 표상의 유형별 의미작용에 따라 동물을 상징 이미지로 받아들이게 된 경위를 2가지로 나누어 7점의 연구작품을 제작하고 분석할 것이다. 첫 번째는 ‘기호 안의 동물’이다. 이는 동물의 종을 특정하는 기호가 형성되어 동물을 바라보는 관점에 영향을 주게 되는 의미작용의 과정을 작품에서 표현한 유형이다. 동물 기호를 시각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연구로서 기법실험을 중심으로 한 작품 1과 작품 2, 3이 포함된다. 동물을 구분하게 하는 지표인 기호 코드는 다수의 동물을 하나의 규칙 아래에 정의할 수 있게 한다. 이 규칙에 동물이 주체적으로 개입할 수 없으며 인간의 관점에 의해서만 만 들어지는 것을 작품 1의 금붕어와 작품 2, 작품 3의 까마귀를 통해 표현했다. 두 번째는 ‘시뮬라크르인 동물’이다. 설화와 신화, 조형 예술 등을 통해 실재에서 파생된 동물 이미지가 관념적으로 재구성되어 새로운 상징이 되는 것을 작품에 표현한 유형이다. 만들어진 동물 표상은 동물 기호의 사례에서 시작되었지만 더 이상 동물을 지칭하는 것이 아닌 인간이 만든 의미나 관념을 지칭하는 기호로 변경된다. 작품 4, 5, 6, 즉 토끼, 호랑이, 뱀은 시뮬라크르인 동물로, 문화적 맥락에서 인간의 관념과 감정을 동물에 투사한 표상들이다. 작품 7은 여러 동물의 표상을 조합해 만든 동물이다. 동물 표상 속에 담긴 기호의 부분을 조합하여 인간의 관념을 나타내기 위해 만들어진 동물이다. 이론적 고찰과 7점의 작품 연구를 연동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본 연구를 통해 인간이 다른 생명체를 보는 관점을 심도 있게 탐구하면서, 기호에 담겨 있는 동물의 의미를 고찰했다. 타자를 바라보고 분류하는 과정을 통해 동물을 온전히 인지하지 못하고 있음을 알았다. 동물뿐만 아니라 서로 소통할 수 있는 인간도 상대를 전적으로 이해하는 것은 불가능함을 인정하고, 같은 기호 안에도 개인의 경험에 따라 서로 다른 의미가 담겨 있음을 생각해 보았으면 한다. 인간의 관점으로 정의할 수 없는 것을 배척하는 것이 아닌, 그것을 그 자체로서 인정하고 존중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