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19 Download: 0

「강태홍류 산조춤」의 전승과정 및 작품 연구

Title
「강태홍류 산조춤」의 전승과정 및 작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Transmission Process of ⌜Kang, Tae Hong Style Gayaguem Sanjo Dance⌟ and Its Characteristics
Authors
김율희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조기숙
Abstract
본 논문은「강태홍류 산조춤」의 전승과정과 작품의 특징을 분석한 연구이다. 연구의 목적은 「강태홍류 산조춤」의 전승과정과 작품의 특징을 밝혀, 이 춤에 내재된 역사적 가치와 예술성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국가 및 시도 무형문화재 지정에서 제외된 비지정 무형문화재 전통춤들의 학문적 연구에 일조하리라 기대한다. 연구의 방법은 심층면담 및 과거 구술음원 분석을 통한 구술사연구방법과 문헌연구방법이 사용되었다. 「강태홍류 산조춤」은 강태홍류 가야금산조에 맞춰 추는 춤으로, 1949년 강태홍에 의해 안무되어 1950년 김온경이 초연한 실내홀춤 양식의 전통춤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 춤의 전승과정을 다섯 시기로 구분하여 그 변화양상을 살펴보았다. 이유는 약 75년간 지속된 이 산조춤이 강태홍, 김동민, 김온경의 역사적 관계에 의해 형성‧성장하고, 유실되어 다시 복원이 이르는 다양한 변화를 거쳤기 때문이다. 「강태홍류 산조춤」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강태홍류 산조춤」은 작곡자와 안무자가 일치하는 유일한 전통춤이기 때문에‘음악의 시각화’가 강하게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 둘째, 이 춤은 여타 권번 전통춤과는 달리 작품의 의뢰자와 안무자, 전승자가 김동민, 강태홍, 김온경이라는 명확한 안무배경을 지닌‘발생의 명확성’이 있다. 셋째,「강태홍류 산조춤」은 여성들의 일상생활 묘사와 자연물의 행위모방 묘사가 표현되는‘동작의 묘사성’이 뛰어나다. 대표적으로 소매걷움사위, 실패감는사위, 나비사위, 학사위 등이 있다. 넷째, 강태홍의 음악세계와 일맥상통하는 담백한‘표현의 절제미’가 있다. 다섯째, 무용수와 가야금, 장구 연주자와의 교감과 감응이 매우 중시되는‘연희의 감응성’이 있다. 「강태홍류 산조춤」의 전승과정과 작품의 특징을 고찰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강태홍류 산조춤」은 강태홍이 작곡하고 안무한, 전통춤 계열의 산조춤으로 최초의 작품이다. 이 춤은 1949년 김동민의 의뢰로, 강태홍이 본인의 산조를 짧게 다듬어 김온경에게 유일하게 전수한 춤이다. 지금까지 학계에 알려진 이 춤의 초연은 1951년 부산극장이었으나, 이번 연구에서 1950년 봄 토성초등학교 학예회로 밝혀졌다. 둘째, 이 춤의 작곡자 겸 안무자인 강태홍은 가야금산조와 병창, 창극에 천재적인 재능을 가진 국악인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강태홍은 부산지역 일반인에게 최초로 춤을 가르친 무용교육자이자 안무자이다. 국악활동에 비해 잘 알려지지 않은 강태홍의 무용활동은 후원자 김동민과의 인연으로 인한 것이며, 예술적 후원 관계를 넘어 강태홍의 예술세계의 총체인 산조춤을 남기게 된다. 셋째,「강태홍류 산조춤」의 전승과정은 시대상황과 강태홍, 김동민, 김온경의 관계에 의해 굴곡의 역사를 지닌다. 이 작품은 1949년 안무되어 1950년 초연되는 형성과정을 거치며 발전하다, 1957년 강태홍 사망과 함께 춤의 유실기를 겪고, 1989년 신명숙과 함께 산조춤 음악의 복원 및 산조춤 복원이 이루어져, 현재까지 전승되어 오고 있다. 넷째,「강태홍류 산조춤」의 특징은 음악의 시각화, 발생의 명확성, 동작의 묘사성, 표현의 절제미, 연희의 감응성이 있다. 본 연구는「강태홍류 산조춤」의 전승과정과 특징을 구술사연구방법으로 고찰한 최초의 연구이다. 과거 구술자료를 토대로 추가적인 심층면담을 실시한 본 연구는 전통춤 연구의 방법을 확장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강태홍류 산조춤」의 실제적 이해를 돕고, 전통춤의 다양성 확보와 발전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나아가 국가 및 시도 무형문화재 지정에서 제외된 수많은 전통춤 종목 중, 예술성과 무용사적 의미가 큰 춤들을 발굴하고, 연구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This thesis is about a study analyzing the unique transmission process of ⌜Kang, Tae Hong style Gayaguem Sanjo Dance⌟ and its characteristics. Sanjo dance is a kind of Korean traditional solo dance and it goes along with the Sanjo music played by Gayaguem. ⌜Kang, Tae Hong style Gayaguem Sanjo Dance⌟ was choreographed by Kang, Tae Hong himself in 1949 and the first official stage was performed by Kim, On Kyung, in 1950.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historic and artistic value in ⌜Kang, Tae Hong Style Gayaguem Sanjo Dance⌟ by examining its unique birth and transmission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it. Also this research is for the need of restoring the diversity of Korean traditional dance by examining undesignate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is thesis is based on the analysis of oral history and literature review as research methodology. The transmission process of ⌜Kang, Tae Hong style Gayaguem Sanjo Dance⌟ that has been lasting for about 75 years can be divided into five phases - a period of formation, development, loss, restoration, and settlement - according to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the relationship of Kang, Tae Hong, Kim, Dong Min and Kim, On Kyung.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Kang, Tae Hong style Gayaguem Sanjo Dance⌟ are as follows. First, ‘Visualization of Music’; his Sanjo music shows the perfect match with the dance. It’s because the composer of the Sanjo music is the same person as a choreographer of the dance, which means Kang, Tae Hong himself created the dance. Second, ‘Uniqueness of Origin’; compared to the other traditional folk dances, his Sanjo dance has a clear background of birth, which means there were a client, a choreographer and a transmitter of the dance - Kim, Dong Min, Kang, Tae Hong and Kim, On Kyung respectively. Third, ‘Portrayal of Movement’: its movements, steps and styles portray everyday routines of women as well as describe nature and objects. For example, there are movements related with women’s rolling up sleeves, spinning thread and imitating the motion of butterfly or crane. Fourth, ‘Concise but Elegant Beauty’: not only his world of music but his Sanjo dance itself represent the very refined beauty of moderation. Fifth, ‘Harmony of Live Show’; All performers - a dancer, a Gayageum player and a Janggu drummer – interact each other to create harmony from live accompaniment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Kang, Tae Hong style Gayaguem Sanjo Dance⌟ is the first Sanjo work as traditional dance style. It was choreographed in 1949 at request of Kim, Dong Min. Kang, Tae Hong made his Gayaguem Sanjo music shorter to make the dance and taught it Kim, On Kyung who was his only and direct successor to his Sanjo dance. The first performance was staged in the spring festival in Toseong Elementary School in 1950. Secondly, Kang, Tae Hong was an versatile artistic genius not only as a Korean traditional musician creating Gayageum Sanjo, Byeongchang and Changgeuk but also as a choreographer and a dance educator who taught dance to the public for the first time. That was thanks to the meeting with Kim, Dong Min. The relationship of Kim, Dong Min and Kang, Tae Hong was more than just a patron and an artist, which resulted in the creation of Sanjo dance, the essence of his art. Thirdly, the transmission of ⌜Kang, Tae Hong style Gayaguem Sanjo Dance⌟ has gone through till today from a period of formation, development, lost, restoration, and settlement and those were driven by the historical relationship of Kang, Tae Hong, Kim, Dong Min and Kim, On Kyung. What is more, it was very critical to restore his Sanjo dance work with Shin, Myeong Sook, the artistic practitioner of Kang, Tae Hong style Gayaguem Sanjo music. Fourth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nce are the visualization of music, the uniqueness of its origin, the portrayal of movements, concise but elegant and refined beauty and the harmony of a live show. This thesis is the first study on the transmission and characteristics of ⌜Kang, Tae Hong style Gayaguem Sanjo Dance⌟ utilizing additional in-depth interviewing method in addition to analyzing oral archives and oral historical records. This is significant to improve the way of research into traditional dance field. Aso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in the hope of the real and further understanding of ⌜Kang, Tae Hong style Gayaguem Sanjo Dance⌟. Furthermore, it would be rewarding that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diversity of traditional dance discovering countless precious traditional dances that hold huge artistic value but are hidden or excluded from national or loc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registe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