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15 Download: 0

이해식의 작곡 기법 연구

Title
이해식의 작곡 기법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Lee Hae-sik's Composition Techniques: Focusing on orchestral music by the times
Authors
김혜란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안현정
Abstract
본 논문은 작곡가 이해식이 작곡한 관현악곡에 나타난 작곡 기법과 관련된 연구로 시대별 흐름에 따라 작곡 기법의 소재, 선율, 리듬의 변화가 음악 어법에 어떻게 적용되고 변화되었는지 분석하고 관현악 작곡 기법을 연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해식은 그의 생애 동안 각 시대별로 뚜렷한 소재 및 음악어법으로 표현하였다. 시대별로 전기, 중기, 후기로 구분하여 악곡 구성 및 관현악 작곡 기법을 분석하였다. 선정된 작품은 전기에 해당하는 󰡔해동신곡(海東新曲)󰡕(1979), 중기에 속하는 󰡔춤을 위한 협주 피리󰡕(1987), 󰡔젊은이를 爲한 춤(바람의 말)󰡕(1990), 후기는 󰡔플루트와 국악관현악을 위한 두레맞이󰡕(2001), 󰡔호적을 위한 트럼펫󰡕(2014)이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이해식의 작품 소재 및 음악적 사상에 따라 전기, 중기. 후기로 구분할 수 있는데, 첫 번째 시기는 1960년대부터 1979년이며 두 번째 시기는 1980년대부터 1999년, 세 번째 시기는 2000년대부터 2020년의 시기로 분류하였다. 이해식의 작품은 시기별로 뚜렷한 소재 및 어법을 표현하였으며 음악적 특징이 변화하고 발전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20세기 이후부터는 새로운 방향으로 재탄생 되어 발전되기 시작했다. 첫 번째 시기인 전기 작품의 작곡 기법의 소재는 토속음악을 바탕으로 구성되었으며, 두 번째 시기의 작곡 기법 소재는 바람·춤·굿을 모티브로 한 음악적 경향이 현저히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세 번째 시기의 소재는 전위적인 음악 및 서양악기의 접목으로 확대된 시기이다. 이해식의 관현악곡을 시기적 대표 작품으로 분류하여 연구한 결과 관현악 작품에서는 전통적인 관현악기법(orchest-ration)과 연주법(instrumentation)의 확대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악곡 구성에서는 악곡 구조·악기편성·악기 선율배치·관현악 악기 조합을 연구하였다. 관현악 작곡 기법에 있어서 소재의 활용으로는 표제적 소재와, 전통음악 선율의 변용을 살펴보고 선율의 활용에서는 선율, 음색, 부분적 효과를 분석하였으며 리듬의 활용을 분석하였다. 전기, 중기, 후기의 관현악곡 작곡 기법을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성은 변화를 주지 않았고 플랫 4개만을 사용한다. 이는 이해식의 관현악 작품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다. 전기, 중기, 후기의 모든 시기에서 조성은 전통적인 다조성으로 선율을 통해 변청 즉 조옮김이 나타났다. 이해식 작곡가의 독특한 조성 표기법이다. 기존의 서양음악의 조성 방식과는 다른 작곡자만의 조성으로 조표와 전혀 상관없는 조성을 선택하여 쓰였다. 산조 및 무속음악에서 나타나는 즉흥적인 변청 즉 선율에 의한 조옮김에 관련된 부분을 적용함으로써 전통음악에서 나타나는 다조성의 특징을 변주하여 표현했다. 둘째, 관현악곡 작품에서 구성된 악기 편성은 타악기의 중요성에 대해서 상기시켜 주기에 충분했다. 관현악법에서 나타나는 타악기는 리듬상의 역할이 아니라 관현악법에 관한 음색의 대비가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색채음악의 큰 중심부에는 타악기의 관현악법이 표현되며 작곡 기법으로는 이처럼 관현악곡에서 다양성을 추구하고 음악적인 색깔을 확장 시켜 나갔다. 셋째, 악기 선율배치를 통해 알아본 결과 전경, 중경, 배경을 알 수 있었다. 이해식의 전기 󰡔해동신곡(海東新曲)󰡕는 관악기인 향피리, 세피리가 전경이고 관악기가 중경이며 현악기가 배경으로 쓰였다. 중기 󰡔춤을 위한 협주 피리󰡕는 관악기인 피리가 전경이고 관악기가 중경이며 현악기, 특수악기가 배경이다. 󰡔젊은이를 爲한 춤(바람의 말)󰡕는 현악기인 법금(가야금), 관악기인 젓대(대금)가 전경이고 관악기가 중경이며 현악기, 특수악기, 타악기가 배경이다. 후기 󰡔플루트와 국악관현악을 위한 두레맞이󰡕는 서양악기인 플루트가 전경이고 현악기가 중경이며 타악기, 특수악기가 배경으로 쓰였다. 전기, 중기, 후기에서 전경에서는 관악기 사용이 많았고 중경에서는 현악기 사용이 많았고 후경에서는 타악기, 특수악기의 사용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넷째, 악기 조합을 통해 알아본 결과 이해식의 전기, 중기, 후기의 곡에서 도입부는 항상 독주(solo)의 악기로 시작되고 종지는 단락 A로 돌아간다. 서양음악의 소나타 형식과 유사한 형식이라고 할 수 있다. 다섯째, 선율의 활용에서 지속음이 주로 사용되었다는 점이다. 지속음의 사용은 거의 모든 작품에서 나타났다. 서양음악에서의 화성 개념하고는 달리 전통 가곡에서 나타나는 지속음의 형태를 국악관현악에 도입하여 한 성부가 음을 지속하고 있고 다른 성부의 독립적인 선율들을 강조하는 형태로 작곡하였다. 이러한 작곡 기법은 음역과 음량이 넓혀지면서 특별하면서 독창적인 음향을 나타냈다. 여섯째, 선율의 활용에서 폴리포닉(polyphony)의 구조를 취하고 있는 것이다. 주선율과 변주 선율이 독립성을 가지고 있으며 모티브의 선율을 다른 악기 성부들이 선율적으로 연결되어서 나오는 구조이다. 폴리포닉의 구조는 전반적으로 전기, 중기, 후기의 관현악곡에서 뚜렷하게 보여지고 있다. 일곱째, 선율의 활용에 전기는 톤 클러스터(tone cluster)를 사용하였고 중기와 후기는 화음을 사용하였다. 전통악기의 선율을 배음과 유사한 음색으로 표현하였으며 이때 선율과 음색이 대조되는 효과가 나타난다. 관현악곡 내에서 화음의 사용 가능성은 넓어졌으며 소재에 대한 음악적 어법은 확대되어 독특한 음색을 느낄 수 있게 된다. 여덟째, 리듬의 활용에서 전기 󰡔해동신곡(海東新曲)󰡕에서 아이소 멜로디(iso melody)는 연주자가 임의대로 선율에 리듬을 바꾸는 연주법으로 연주자가 자유롭게 반복하지만, 멜로디는 유지하면서 불규칙한 리듬을 표현하게 된다. 중기 󰡔젊은이를 爲한 춤(바람의 말)󰡕에서 리듬 페달(rtythm pedal)은 반복적인 리듬 패턴을 시간적 규칙성을 제시하여 같은 리듬 형태가 반복되는 리듬이 나타났다. 후기 󰡔플루트와 국악관현악을 위한 두레맞이󰡕에서 하이브리드 리듬은 3분박에서 2분박으로 변화는 형태이다. 헤미올라 리듬을 하이브리드 리듬과 같다. 전기, 중기, 후기에 나타난 주요 리듬은 변주 방법이 되고 음악이 지속해서 무한한 변화를 거듭하고 서양 음악적 기법을 차용하였는데 이는 이해식만의 독특한 작곡 기법으로 나타냈다. 작곡가 이해식의 작곡 기법을 분석한 결과 그는 소재와 선율 그리고 리듬의 활용에서 다양한 작곡 기법을 사용하였으며 그의 폭넓은 경험과 견고한 철학적 소양이 음악 어법으로 표출되었음을 알 수 있게 되었다. 이 글을 통해 이해식의 작곡 기법적 요소를 재조명함으로써 창작 음악의 발전과정을 되돌아볼 수 있었으며 작곡가들에게 중요한 작곡 기법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This paper is a study related to the composition technique in orchestral music composed by composer Lee Hae-sik, and aims to analyze how the material, melody, and rhythm of the composition technique are applied and changed in musical grammar according to the trend of the times. Lee Hae-sik expressed his style in distinct material and musical language for his entire life. The composition of music and orchestral composition techniques were analyzed by dividing it into the first, middle, and late periods by era. The selected works are "Haedong Singok(1979)", "Concerto Flute for Dance(1987)", "Dance for Young People(1990)", "Duremaji for Flute and Gugak Orchestra(2001)", "Trumpet for Family Register(2014)".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It can be divided into 3 parts according to Lee Hae-sik's work material and musical ideas. The first period is from the 1960s to 1979, the second period is from the 1980s to 1999, and the third period is from the 2000s to 2020. Lee Hae-sik's work expressed clear subject matter and grammar by period, and it could be seen that musical characteristics changed and developed. In particular, after the 20th century, it was reborn and developed in a new direction. The material of the composition technique of the first period was composed on a basis of local music, and the musical tendency of the second period had the motif of wind, dance, and gut which is remarkably prominent. The third period is when the material was expanded by the combination of avant-garde music and Western instruments. Lee Hae-sik's orchestral music was classified and studied as a representative work of the time. As a result, the expansion of traditional orchestral instrument methods and instrumentation was remarkable in orchestral work. As for the use of materials in orchestral composition techniques, the subjective material and the transformation of traditional music melodies were examined. In the use of melody, melody, tone, and partial effects were analyzed, and the use of rhythm was focuse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orchestral composition techniques in the early, mid, and late periods,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First, the composition did not change and only four flats are used. This is common in Lee Hae-sik's orchestral work. In all periods of the first, middle, and late periods, the composition did not appear as a traditional polymorphism. Through the melody, there was a movement through the melody It is a unique composition notation of composer Lee Hae-sik. The composer's own composition, which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Western music composition method, was selected and used, which had nothing to do with the notation. By applying the part related to the spontaneous transmission of music in Sanjo and shamanic music, the characteristics of polytonality in traditional music were expanded and expressed. Second, the organization of instruments composed in the orchestral work was sufficient to remind us of the importance of percussion. Percussion instruments that appear in orchestral music are not rhythmic roles, but the contrast of tone with orchestral music is remarkable. In the large center of color music, the orchestral method of percussion is expressed, and as a composition technique, diversity was pursued in orchestral music and musical color was expanded. Third,as a result of finding out through the arrangement of musical instrument melodies, the foreground, middleground, and background could be known. Lee Hae-sik's early Haedong Singok was a panoramic view of the wind instruments Hyangpiri and Sepiri, while the wind instruments were the middle part, and string instruments were used as the background. The "Concerto Flute for Dance" in the middle period is a panoramic view of the wind instrument, the wind instrument is a central view, and the background is a string instrument and a special instrument. "Dance with Young People (Wind Horse)" is a panoramic view of the stringed instrument Beopgeum (Gayageum) and the wind instrument Jeotdae (Daegeum), while the wind instrument is a central view, and stringed instruments, special instruments, and percussion are the background. In the later period, "Duremaji for Flute and Gugak Orchestra", the foreground was a wind instrument string instrument, and the background was a percussion instrument and a special instrument. In the early, mid, and late periods, wind instruments were used in the foreground, while percussion and special instruments were the most frequently used in the background of strings in the middle.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instrument combination, the introduction always begins with a solo instrument in Lee Hae-sik's first, middle, and late songs, and the end returns to paragraph A. It can be said to be a form similar to the sonata form of Western musi Fifth, continuous sound was mainly used in the application of melody. The use of continuous sound has been shown in almost every work. Unlike the concept of harmony in Western music, it was composed in a form that emphasizes the independent melodies of one voice while one voice continues the sound by introducing the continuous sound form of traditional songs into Korean classical orchestral music. These composition techniques showed special and original sounds as the range and volume were expanded. Sixth, the structure of polyphony is taken in the use of melody. The main melody and the variable melody have independence, and the melody of the motif is connected to the melody of other musical instruments. The structure of polyphonic is generally clearly shown in orchestral music in the early, mid, and late periods Seventh, tone clusters were used in the early use of melody, and chords were used in the middle and late periods. The melody of a traditional instrument was expressed in a tone similar to that of a vowel, and at this time, the effect of contrasting the melody and tone appears. The possibility of using chords in orchestral music has increased, and the musical grammar of the material has expanded to feel the unique tone. Eighth, in the use of rhythm, the iso melody in the early "Haedongshingok" is a method in which the performer arbitrarily changes the rhythm to the melody, and the player freely repeats it, but expresses irregular rhythm while maintaining the melody. In the mid-term "Dance with Young People (Wind Horse)," the rhythm pedal presented repetitive rhythm patterns as temporal regularity, resulting in repetitive rhythms in the same rhythm form. In the later "Duremaji for Flute and Gugak Orchestra," the hybrid rhythm is a form that changes from 3 minutes to 2 minutes. Hemiola's rhythm is like a hybrid rhythm. The main rhythms that appeared in the early, mid, and late periods became variational methods, and music continued to change endlessly and borrowed Western musical techniques, which were expressed by Lee Hae-sik's unique composition technique. As a result of analyzing composer Lee Hae-sik's composition technique, he used various composition techniques in the use of materials, melodies, and rhythms, and his extensive experience and solid philosophical knowledge were expressed in musical grammar. Through this article, we were able to reflect on the development process of creative music by re-examining the elements of Lee Hae-sik's composition technique, and we hope that it will help composers with important composition techniqu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