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22 Download: 0

국내 간호사와 간호대학생 대상 호스피스 완화의료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Title
국내 간호사와 간호대학생 대상 호스피스 완화의료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s of the Hospice & Palliative Care Education Programs for Nurses and Nursing students in Korea : A Systematic Review
Authors
노원영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미영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간호사와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호스피스 완화의료 교육의 효과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분석하고, 간호사와 간호대학생 대상 호스피스 완화의료 교육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국내 간호사와 간호대학생으로 호스피스 완화의료 교육 중재 후 결과를 분석한 선행 연구들을 검색 및 선택하여 문헌의 질 평가를 실시하고, 자료 분석 및 결과 제시의 과정으로 체계적 문헌고찰이 진행되었다. 문헌의 검색 및 선정은 국내 데이터베이스(RISS, KISS, NDSL, DBpia), 국외 데이터베이스는(CINAHL, PubMed)로 2000년 이후 출판된 국내⋅외 학술지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검색된 논문은 PRISMA chart에 따라 논문을 선정 및 제외하였으며, 총 15편의 논문이 선정되었다. 선정된 논문으로 연구자와 연구자 외 1인이 문헌의 질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15편 모두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로 RoBANS 2.0으로 평가하였다. 자료 분석은 최종 선정된 15편의 논문으로 실시되었으며 분석은 연구정보(저자명, 출판연도), 연구 설계, 연구 대상(대상자, 대상자의 수, 대상자의 연령 또는 학년), 중재자, 중재 특성(중재수준, 교육 프로그램, 교육 시간 및 횟수, 교육 기간, 교육 프로그램의 내용, 교육 방법, 대조군 교육)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호스피스 완화의료 중재 분석으로 간호사보다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그룹 교육의 형태가 많았고, 교육 시간은 1시간 초과 2시간 이하, 교육 횟수는 5회 초과 10회 이하, 교육 기간은 4주 이내가 가장 많았다. 중재 내용으로는 삶과 죽음의 의미, 말기 환자 돌봄, 법과 윤리적 쟁점 순으로 다루어졌다. 교육 방법은 강의를 중심으로 영상시청, 토론 및 발표, 개인과제, 간접 체험, 의미요법, 성찰일지, 인간적 접근, 디브리핑과 다양한 교육 방법이 활용되어 이루어졌다. 교육 효과는 기술 및 행동 범주에서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지식과 인식은 연구마다 상이한 결과를 나타냈고, 태도는 장기간 교육을 제공한 연구와 임상 경험이 있는 대상자에게 제공한 연구에서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의미요법, 성찰일지, 인간적 접근, 디브리핑이 교육 방법으로 활용된 연구에서는 모든 범주(지식, 인식, 태도, 기술 및 행동)에서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국내 간호사와 간호대학생에게 호스피스 완화의료 교육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죽음에 대한 인식과 태도의 효과를 위해 죽음에 대한 가치관이 정립될 수 있도록 일회성 교육이 아닌 지속적인 정기 교육이 제공되어야 하고,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할 때에는 대상자의 임상 경험을 고려하여 다양한 교육 방법을 적극 활용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revious studies on the effect of the hospice & palliative care education for nurses and nursing students in korea, and the study was a systematic review to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n the effect of hospice & palliative care education for nurses nursing students in korea. The subjects on this study were nurses and nursing students in korea, and the quality of literature was evaluated by searched and selected previous studies that analyzed the result after intervention in hospice & palliative care education, then the systematic review was conducted with data analysis and presenting the result. The search and selection of literature was conducted on published academic journals after 2000s from domestic databases(RISS, KISS, NDSL, DBpia) and international databases(CINAHL, PubMed). Searched research papers were selected or excluded based on PRISMA chart, and the total of 15 research papers were selected. The investigator and one other evaluated the quality of literature with selected research papers. RoBANS 2.0 was used to evaluate non-equivalence controlled trial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with 15 research papers that were selected, and the analyzation was classified as the information of study(the author’s name/year), the design of study, the subject of study(nurses or nursing students, the number of the subjects, and their age or years), the intervention analysis(intervention: level, education program, time, duration, intervention contents, method, control group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based on the data analysis of the hospice & palliative care education, the study was executed on the more nursing students than nurses, the most frequency of intervention level was group, the most intervention time was 1hour to less than 2hours, the most frequency of intervention was 6 to less than 10 times, the most duration of intervention was less than 1month. The contents of intervention included in order of the meaning of the life and death, end-of-life patient care, legal and ethical issues. The intervention delivery methods was mainly lecture and was conducted with watching video, discussion and presentation, assignment, indirect experience. By analyzing the effect of the hospice & palliative care education, the level of skills/performanc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ut the level of knowledge and recognition showed difference in each literatures. And the level of attitudes toward death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in long term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nalyzed that the hospice & palliative care education is effective for nurses and nursing students in korea. In the future, studies should be activated with variable teaching method to confirm the effect of the hospice & palliative care education in recognition and attitude variables and to settle the hospice & palliative care education into formal education cours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