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62 Download: 0

박영란 작곡 해금과 타악기를 위한“Mirror↔rorriM” 분석연구

Title
박영란 작곡 해금과 타악기를 위한“Mirror↔rorriM” 분석연구
Other Titles
“Mirror↔rorriM” composed by Park, Yong-Nan for haegeum and percussion instruments
Authors
박배화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류정연
Abstract
본 논문은 박영란 작곡 해금과 타악기를 위한“Mirror↔rorriM”를 분석 및 연구한 것이다. 본 악곡은 이상의 시 <거울>을 모티브로 작곡된 곡으로, 시는 총 6연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의 각 구절은 악곡 안에서 소단락을 나누는 역할을 가진다. 따라서 본 악곡은 총 6개의 단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안에서 A부터 L까지 총 12개의 리허설마크로 또다시 나누어진다. 본 논문에서는 각 단락의 분석과 더불어 그 안에서 나타나는 음악적 특징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시에서 나타난 문학적 표현을 위해 악곡 안에서 여러 음악적 표현 기법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 결과는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제1단락 “거울속에는소리가없소...”는 Intro와 A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징으로는 Intro 부분에서 연주자의 위치를 악보에 직접 제시했다는 점이다. 그리고 해금에서 모티브 F음정의 출현이 처음 나타나며, 또 본 악곡에서 가장 중요하게 사용되는 모방기법과 특수주법 사용이 나타나는 점을 알 수 있다. 이때 모방기법은 ‘거울’을 묘사한 것으로 시를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본 악곡의 중심 기법이다. 그리고 특수주법 역시 시 안에서 화자의 심리상태를 표현하기 위한 매우 중요한 기법으로 사용되었다. 제2단락 “거울속에도내게귀가있소...”는 B부분이 해당하며 모티브음정의 활용으로 선율이 변형되어 나타난다. 그리고 해금과 타악기의 모방기법이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데, 이는 화자가 거울을 마주한 후의 모습을 묘사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 중음주법을 사용하여 거친 음색을 표현하였는데, 이는 화자의 거칠고 불안한 내면을 표현한 것이다. 제3단락 “거울속의나는왼손잡이오...”는 C, D, E, F가 해당한다. C부분은 새로운 모티브 활용 선율 두 가지가 등장한다. 그리고 두 악기 각자의 모방기법이 나타나는데, 역시 ‘거울’을 묘사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또, 목소리를 이용한 연주법이 등장한다. 목소리를 통해 의도적으로 거친 소리를 내며 화자의 내면을 효과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마찬가지로 트레몰로 주법 역시 화자의 불안하고 흔들리는 상태를 표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D부분은 엇모리 리듬으로 진행되며 반음 관계를 이용해 선율을 진행하였다. D부분 역시 모방기법을 사용하였으며 특수주법으로는 트레몰로와 레가토 주법을 사용하였다. E부분에서는 앞서 나타났던 리듬 형태가 16/12박자 안에서 다시 나타난다. 또, 해금의 중음주법 사용을 중심으로 선율의 반음 진행이 나타났다. 마찬가지로 모방기법이 사용되었으며 특수주법은 트레몰로와 중음주법이 주로 사용되었다. 이후 F부분에서는 해금과 타악기가 응답형식을 통해 리듬 형태를 주고받는다. 이때 선율은 정확한 pitch가 아닌 음형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그리고 C부분과 같이 목소리가 다시 등장한다. 제4단락 “거울때문에나는거울속의나를만져보지못하는구료마는...”은 G, H, I 부분이 해당한다. G부분은 본 악곡에서 유일하게 조성적 선율이 등장하는 부분이며 악곡에서 등장하는 특수주법이 모두 사용된다. H부분은 카덴차로, 선율이 진행되는 부분에서 Tempo Rubato로 연주한다. 특수주법으로는 글리산도와 트레몰로, 중음주법이 사용되었으며 이후 J부분의 자아분열을 표현하기 위해 선율을 고조시킨다. 다음 I부분은 제5단락으로 연결되기 위한 브릿지 구간으로 사용되었다. 제5단락“나는지금거울을안가졌소마는거울속에는늘거울속의내가있소...”는 J부분이 해당한다. 조표가 # 1개인 J부분에서는 계이름 ‘라’인 E음을 강조하였다. 또 두 악기가 서로 다른 리듬 형태로 진행되는 점을 알 수 있다. 제6단락“거울속의나는참나와는반대요마는...”은 K, L부분이 해당한다. K부분은 화자의 자아분열이 정점에 달하는 부분으로, 두 악기의 리듬 형태가 전혀 다르게 진행된다. 이후 마지막 L부분은 반음 관계로 선율을 진행하면서, 본 악곡에서 사용되었던 특수주법이 동시에 사용되었다. 이는 화자의 자아분열 상태를 극대화 시킨 것으로, 화자 내면의 모든 감정을 표현하면서 악곡을 마무리한다. 이처럼 해금과 타악기를 위한“Mirror↔rorriM”와 시 <거울>은 깊은 유기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악곡에서는 공통적으로 모방기법과 특수주법을 중심 기법으로 사용하며 각 주제에 따른 음악적 기능으로 적절히 사용되었고 작곡가는 이를 통해 <거울>과의 연관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으로 본 논문의 내용이 해금과 타악기를 위한“Mirror↔rorriM”를 연주하는 데 있어 도움이 되는 자료가 되기를 바란다.;This paper analyzes and studies Park Yong-Nan’s composition “Mirror↔rorriM”for haegeum and percussion instruments. This song is composed with the motif of the poem , and the poem consists of a total of six consecutive lines. Each line of the poem plays the role of dividing small paragraphs in the music. Therefore, this song consists of a total of 6 paragraphs and is divided again into a total of 12 rehearsal marks from A to L. In this paper, not only each paragraph of the song is analyzed, but the musical characteristics that appear in them are also analyz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various musical expression techniques were used in the music to parallel the literacy expressions from the poem.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The first paragraph, “goulsogeneunsorigaopsso...” includes an introduction and Part A. The characteristic of this first paragraph is that the introduction part suggests the position of the performer. Additionally, the motif F note in haegeum first appears, and the most importantly used techniques such as pastiche and special performance techniques are used. Here, the pastiche technique represents a ‘mirror’ and is the central technique of this music that effectively expresses the poem. And the special performance technique was also used as a very important technique to express the speaker's mental state in the poem. The second paragraph, “goulsogedonaegegwigaitsso...”corresponds to Part B, and the melody is transformed by the use of motif notes. Here, the pastiche technique of haegeum and percussion instruments is most recognized, which can be seen as a description of the speaker after facing the mirror. In addition, the rough tone was sounded using the double-stops technique, and this expressed the speaker’s rough and anxious heart. The third paragraph, “goulsoginaneunwensonjabio...” corresponds to parts C, D, E, and F. In part C, two new motif-using melodies appear. Additionally, the pastiche technique of each of the two instruments appears, and it can be seen that it also depicts a ‘mirror’. Also, the musical technique of voice usage appears. By intentionally making a rough sound with the voice, the speaker’s inner state is effectively expressed. Likewise, the tremolo technique can also be used to express the speaker's anxious and unstable state. The D part progressed to the ‘ut-mori’ rhythm, and the melody was performed using the chromatic mediant. Part D also used pastiche techniques, and tremolo and legato techniques were used as special performance techniques. In part E, the rhythm that appeared earlier reappears with the 16/12 beats. In addition, the progression of the melody's semitone was shown by the use of haegeum's double-stops technique. Likewise, the pastiche technique was used, and the tremolo technique and double-stops technique were mainly used as special performance techniques. Then in part F, haegeum and percussion instruments exchange rhythm through the pastiche technique. In this, the melody is focused on the sound, not the exact pitch. And the voice reappears like part C. The fourth paragraph,“goulttaemunenaneungoulsoginareulmanjobojimotaneungu ryomaneun...” corresponds to parts G, H, and I. The G part is the only part in this song where the tonality melody appears, and all the special performance techniques that appear in the song are used. Part H is played as a cadenza, and the melody part is played as Tempo Rubato. Glissando, tremolo, and double-stops techniques were used as special performance techniques, and the melody is then intensified to express the self-segregation of part J. Next, part I was used as the bridge to be connected to the fifth paragraph. The fifth pargraph, “naneunjigeumgoureurangajotssomaneungoulsogeneunneul goulsoginaegaitsso...” corresponds to part J. In part J with #1 notation, the syllable name ‘La’ (which is the E note) was emphasized. It can also be seen that the two instruments are played in different rhythms. The sixth paragraph, "goulsongninaneunchamnawaneunbandaeyomaneun..." corresponds to parts K and L. Part K is the part where the speaker's self-segregation hit its peak, and the rhythm of the two instruments is played completely differently. Then, the last L part is played using chromatic mediant, and the special performance techniques used in this song are used simultaneously. This maximizes the speaker's self-segregation state and the music finishes while expressing all the emotions of the speaker. In conclusion, it can be seen that the song "Mirror↔rrorriM" for haegeum and percussion instruments and the poem have a deep relationship. In this music, pastiche techniques and special performance techniques were commonly used as the main techniques, and they were appropriately used as musical roles for each topic, and the composer showed a connection with the poem . Last but not least, I hope that this paper will be helpful in playing "Mirror↔rorriM" for haegeum and percussion instrum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