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67 Download: 0

민영치 작곡 설장구 협주곡 <오딧세이(Odyssey): 긴 여행>분석 연구

Title
민영치 작곡 설장구 협주곡 <오딧세이(Odyssey): 긴 여행>분석 연구
Other Titles
An analysis of Seoljanggu concerto composed by Min, Young-chi
Authors
진세영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원영석
Abstract
The Korean concertos for orchestra attached weight mainly to the orchestral instruments such as Daegeum, Piri, Haegeum, Gayageum and Geomungo in the initial stage but they have been gradually extended and diversified into vocal music and percussion. There have been 213 papers on the concertos using the various Korean instruments since 1995. However, there have been relatively few papers on the concertos with a theme of percussion given the number of their presentations and performances. Hence, for the research conducted actively on the concertos with percussion, the study analyzed and examined the Seoljanggu concerto by Min Young-chi. Most of all, the research examined the musical backgrounds of the composer and commentaries on the work, summarizing the musical notation and playing techniques of Janggu Jangdan newly transcribed. Based on the above, it analyzed the structure of the entire piece, archetype and development of the traditional Jangdan, changes of rhythms and playing techniques, investigating the correlation with orchestral music.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the entire music consists of a single movement of 520 bars including cadenza. Dividing the piece via a rehearsal mark, instruction and tempo specified by the composer based on the thematic melodies of the orchestra, it is composed of 3 paragraphs with 14 parts. A summary of the musical notation and playing techniques utilized to transcribe Seoljanggu shows 4 techniques in Habjangdan, 5 in Goonggulchae and 5 in Yeolchae. Secondly, as for each paragraph, the followings are analytic findings on the archetype of the traditional Jangdan, development of Jangdan, changes of rhythms and playing techniques, and correlation with orchestral music. With the instruction ‘Gutgeori Jangdan’, the paragraph A has the triple rhythm and breathing, frequently showing the traditional Gutgeori Jangdan rhythm of Seoljanggu in the three provinces. The orchestra plays the melodies with the rhythm that matches the rhythmic stress of the SOLO Janggu, playing a role in assisting the rhythm of the SOLO Janggu. The paragraph B has the instructions‘With tension’,‘Jajinmori’and‘CadenzaⅠ’. For the instruction ‘With tension’, a rhythm created was used, which catches on beat in 4/4 time without the archetype of the traditional Jangdan. The rhythms of SOLO Janggu have the beat structure of 3+3/3+3/2+2 based on the eighth note, presenting a variation by repetition of the rhythm and extension of the phrase. In the orchestral music, every instrument plays the melodies composed of the same rhythms and dynamics as SOLO, emphasizing the rhythm. In the instruction ‘Jajinmori’, long rhythm of the 8th note + 4th note is repeated centered on the introduction of Seoljanggu Jajinmori of the three provinces. In the orchestra, a subdivided rhythm of the eighth-note, which was spread out horizontally, is vertically paralleled, and all instruments are played in a rhythm emphasizing the 4th beat. The instruction ‘CadenzaⅠ’shows a section in which Seoljanggu SOLO is begun in earnest. Beginning from Jajinmori melodies of Seoljanggu in the three provinces, slowing down a speed, Jangdan starts with a Sinawi(salpuri) style, it is played with the rhythms having the brilliant techniques by borrowing ‘Yeolchae 24 beats' and ‘Gungchae 36 beats’of Seoljanggu. And then, it returns to the original Jajinmori Jangdan and represents the initial rhythm of ‘CadenzaⅠ’ at the end, showing the structure of rhyming couplets. Here, a new contemporary technique, in which Yeolchae is changed to Gunggulchae, appears. As for the rhythm of Seoljanggu SOLO, 6/8, 4/4, and 5/8 beats are played freely with a form of fill-in, and it is a section showing the skills of SOLO before completing the first cadenza. The paragraph C consists of the instructions‘Whimori’and‘CadenzaⅡ’. The instruction Whimori’appears twice in the paragraph C and it gradually quickens based on the Whimori rhythm of Seoljanggu Jangdan in the three provinces. The bridge having the changed beats of 6/8, 5/8, 4/8 has a form where it reduces to 3→2→1 by omitting the rhythm of the final beat. The orchestral music does not interfere with the fast and rhythmical Whimori Jangdan of SOLO and plays the melodies of a relatively long poem. It consists of offbeat which is different of the SOLO rhythm. In the ‘CadenzaⅡ’, along with the prior instruction of‘ Whimori’, SOLO Janggu performs Whimori melodies of Seoljanggu, not losing a sense of Jangdan. Hereafter, the traditional melody of Dongsalpuri, which belongs to Seoljanggu in the three provinces, appears. In the Dongsalpuri Jangdan, we can see a technique to strike a tightening string of Janggu with Gunggulchae and as kind of a ghost note it is expressed as a sound as if skipping ‘kung’and leads to the formation of two little phrases. Such Seoljanggu SOLO rhythms drives tempo with a fast passage and makes the splendor of SOLO stand out before cadense. Finally, it returns to the‘instruction’Whimori again and the paragraph is completed. It is the work created newly in accordance with orchestral music by combining various techniques and changing rhythms based on Gutgeori, Jajinmori, Hwimori, Dongsalpuri of Seoljanggu in the three provinces. An analysis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orchestra and Seoljanggu Jangdan shows they have complementary and organic relations. It is expected that this paper will be helpful for researching a variety of concertos with a theme of percussion. ;국악관현악 협주곡은 초기에 주로 대금, 피리, 해금, 가야금, 거문고 등 관현악기에 치중되어 있었으나 점차 확대되어 성악, 타악 등으로 다양화 되었다. 다양한 국악기들을 활용한 협주곡을 주제로 연구된 논문은 1995년부터 현재까지 213편이 있다. 그러나 타악기를 주제로 한 협주곡은 발표 및 연주된 수에 비해 연구된 논문의 수가 상대적으로 적다. 따라서 타악기를 주제로 한 협주곡의 활발한 연구를 위하여 필자는 민영치 작곡 설장구 협주곡 <오딧세이(Odyssey)-긴 여행>을 분석 및 연구하였다. 선차적 과정으로 작곡가의 음악적 배경 및 작품 해설을 알아보았고 본 논문의 분석을 위해 새롭게 채보한 장구 장단의 기보법 및 타법을 정리해보았다. 이를 기반으로 전체 악곡의 구조와 각 부분에서 나타나는 전통장단의 원형, 장단의 전개, 리듬의 변화, 타법을 분석한 후 관현악과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러한 방법으로 작품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악곡은 카덴차를 포함한 520마디의 단악장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관현악 주제선율을 중심으로 작곡가가 지정해 놓은 리허설 마크, 지시어, 빠르기 등을 기준으로 나누었을 때 총 14개의 부분으로 구성된 3개의 단락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설장구 채보를 위해 사용한 기보법 및 타법을 정리해보았을 때 합장단은 4개의 주법이 나타났고 궁굴채는 5개의 주법이 나타났으며 열채는 5개의 주법이 나타났다. 둘째, 각 단락의 전통장단의 원형, 장단의 전개, 리듬의 변화, 타법, 관현악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A단락은 지시어 ‘굿거리 장단’으로 삼도 설장구의 굿거리 전통 장단형의 리듬꼴이 주로 등장하며 3분박의 강세와 호흡을 갖도록 구성되었다. 관현악은 SOLO 장구의 리듬 강세에 부합한 리듬이 내재되어 있는 선율을 연주하여 SOLO 장구의 리듬을 도와주는 역할을 하였다. B단락은 지시어 ‘긴장감 있게’, ‘자진모리’, ‘Cadenza Ⅰ’으로 구성되었다. 지시어 ‘긴장감 있게’는 전통장단의 원형이 없는 4/4박자의 중심박(on beat)을 잡아주는 새롭게 창작된 리듬이 사용되었다. SOLO 장구의 리듬은 8분음표 기준 3+3/3+3/2+2의 분박 구조로 되어있었으며 리듬을 반복하며 프레이즈의 확장으로 변화를 주었다. 관현악은 모든 악기가 솔로와 동일한 리듬과 다이나믹으로 구성된 선율을 연주하여 리듬을 강조하고 있었다. 지시어 ‘자진모리’는 삼도 설장구 자진모리 도입가락을 중심으로 8분음표+4분음표의 뒤가 긴 리듬을 반복하였다. 관현악은 수평적으로 펼쳐져있던 8분음표 분할 리듬이 수직적으로 병렬되며 모든 악기가 4박을 강조하는 형태의 리듬으로 연주되었다. 지시어 ‘Cadenza Ⅰ’은 본격적인 설장구SOLO가 시작되는 구간이었다. 삼도 설장구 장단 중 자진모리 가락으로 시작한 후 속도를 늦춰 시나위(살풀이)풍으로 장단의 머리를 내고, 삼도 설장구 중 굿거리 장단의 ‘열채 24박’과 ‘궁채 36박’가락을 차용하여 화려한 타법이 도드라지는 리듬으로 연주되었다. 이후에는 본래의 자진모리 장단으로 돌아와 ‘Cadenza Ⅰ’의 첫 리듬형이 마지막에 재현되며 수미쌍관의 구조를 보여주었다. 이 때 열채를 궁굴채로 바꿔 연주하는 새로운 현대적인 주법이 등장하였다. 설장구 SOLO의 리듬은 필인(fill-in)의 형태로 6/8, 4/4, 5/8 박자가 자유로이 연주되며 첫 번째 카덴차 마무리 전 솔로의 기량을 보여주는 구간이었다. C단락은 지시어 ‘휘모리’,‘Cadenza Ⅱ’로 구성되었다. 지시어 ‘휘모리’는 C단락에서 총 두 번 등장하며 삼도 설장구 장단 중 휘모리 가락의 리듬을 중심으로 점점 빨라지는 형태로 구성되었다. 6/8, 5/8, 4/8로 박자가 변화하는 연결구는 마지막 박의 리듬이 생략되며 3→2→1로 줄어드는 형태를 가지고 있었다. 관현악은 솔로의 빠르고 리드미컬하 휘모리 장단을 방해하지 않으며 비교적 긴 시가로 구성되어있는 선율을 연주하며 솔로의 리듬형과 다른 엇박 형태의 리듬형태로 구성되어 있었다.‘Cadanza Ⅱ’는 SOLO 장구가 앞선 지시어 ‘휘모리’를 이어 받아 삼도 설장구 중 휘모리 가락을 연주하며 장단감을 유지하였다. 이후 삼도 설장구 장단 중 동살풀이 전통 가락이 등장하였다. 동살풀이 장단에서 궁굴채로 장구의 조임줄을 치는 주법이 등장하였는데 이는 일종의 고스트노트로‘쿵’이 생략된 것 같은 음향으로 표현되어 두 개의 작은 프레이즈가 형성되었다. 이러한 설장구 SOLO의 리듬형은 빠른 패시지로 템포적으로 몰아가는 것에 더하여 종지전 마지막 솔로의 화려함을 돋보이게 해주었고 마지막에 다시‘지시어’휘모리로 돌아가 단락을 마무리하였다. 본 곡은 삼도 설장구의 굿거리, 자진모리, 휘모리, 동살풀이 장단을 중심으로 다양한 타법과 리듬의 변화를 결합하여 관현악에 맞춰 새롭게 구성된 작품으로, 관현악과 설장구 장단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서로 상호 보완적이고 유기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을 통해 타악을 주제로 한 다양한 협주곡들을 연구하는 데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