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59 Download: 0

성평등 원조 결정요인 분석

Title
성평등 원조 결정요인 분석
Other Titles
A Study on Determinants of OECD DAC Member Countries’ Aid in Support of Gender Equality and Women’s Empowerment
Authors
김정수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행정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원숙연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heoretical model for the aid for gender equality and to empirically analyze it. Gender equality is a key principle and norm of development cooperation, and OECD Development Assistance Committee(DAC hereafter) has led international discussions and policy efforts for improving aid for gender equality. While discussions on gender equality aid has focused mainly on normative aspects and policy practices, what actually drives donor countries’s commitments for gender equality aid has remained unanswered. This academic vacuum needs to be fill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underlying mechanisms working for and further develop policies for the gender equality aid. Thus, this thesis aims to develop a comprehensive theoretical model for the aid for gender equality and empirically analyze its determinants to ultimately contribute to furthering the development of both theories and policies on the gender equality aid. For this aim, this study analyzes the determinants of gender equality aid marked by OECD DAC’s gender equality policy markers: gender marker 2(principal objective) and 1(significant objective). The analysis is based on 23 OECD DAC member countries’ commitments on gender equality aid for 145 recipient countries for ten years(2010-2019). Methodologically, panel tobit analysis is conducted as the dependent variable is panel and censored data that cannot have a negative value. Based on thorough the literature review on international relations(IR hereafter) theories and feminist IR theories as well as gender equality aid, this paper attempts to present a comprehensive theoretical model for the gender equality aid. While previous research on the aid and its determinants has mainly centered on rationalist IR theories and the donor interest-recipient need(DI-RN model hereafter) model, this study attempts to further expand theoretical explanations on gender equality aid: It introduces a wider range of IR theories(including world polity theory, constructivism, and critical theory) to the explanation, and it also integrates feminist IR theories that have been overlooked in the previous discussions. Through the theoretical expansion, several developments have been made to better explain the determinants of the gender equality aid. First, this study includes recipient country’s gender needs(Gender Inequality Index, GII) as one of the main variables in the DI-RN model in the first step. Second, it futher develops the model to include wider perspectives that liberalism further allows: donor country’s represented social value of gender equality(women’s representation in parliament and proportion of family-related government expenditure of donor countries; and considerations on political right and civil liberty in recipient countries). Finally but most importantly, this study also includes variables that shows impacts of world polity(isomorphic tendency of gender aid) and women’s movements(internation women’s NGO) on the gender aid. The main finding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OECD DAC countries tend to provide gender aid with altruistic motives rather than pursuing interests of the donor country. However,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gender marker 2(principal) and 1(significant) aids: the impact of the gender needs in recipient countries is found to be more consistent in the gender marker 2(principal objective) aid than in marker 1(significant objective) aid. Meanwhile, both of the gender aids are found to be consistently influenced by recipients’ general development needs measured by GDP per capital. Second, women’s representation in donor countries tends to increase gender aid― both gender marker 2(principal objective) and marker 1(significant objective) aids. It can be inferred that donors’ values for gender equality measured by women’s representation have been reflected in the overseas aid for gender equality. Third, donor countries tend to increase their gender aid to follow the global tendency. This confirms that isomorphic tendency exists in the OECD DAC members’ aid in support of gender equality. It is also implied that the the normative and policy efforts made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cluding the OECD DAC are working for improving global supports for the gender equality of developing countries. Additionally, it is very noteworthy that some of the results are different from the hypotheses. Especially, two variables―the proportion of family-related government expenditure and women’s movement―are influencing in a difference direction on marker 2(principal objective) and marker 1(significant objective) aids. As the proportion of family-related government expenditure increases, the gender marker 2(principal objective) aid decreases while the gender marker 1(significant objective) aid increases. On the other hand, as more Women’s International NGOs exist in donor countries, gender marker 1(significant objective) aid decreases while gender marker 2 aid(principal objective) increas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two types of gender aid are very different and orientations of the government and women’s organizations toward the gender aid can differ as well. Also, it is implied that there might exist a tension in a donor country’s use of government expenditure between the domestic and the overseas supports for gender equaility and women-related issues. Based on the finding, policy implications can be drawn as follows: First, international society’s policy efforts for gender equality have been working to spread the international norm of gender equality and increase OECD DAC member countries’ aid in support of gender equality. Thus, these efforts need to continue and be futher developed. Second, it is necessary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role of women's international NGOs. By making them more engage in, the gender equality aid can be improved further in a way that gender mainstreaming and twin-track approach originally intended. Lastly, it is very critical to continue to develop the gender-sensitive data to monitor the gender equality aid and gender needs in recipient countries to further develop the theories and practices on the gender aid. Finally, the contribu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in the theoretical aspect, this paper contributes to developing a comprehensive theoretical model of gender equality aid. By removing the fault line between the mainstream IR theories and feminist perspectives, this research provide richer explanations on the mechanism in implementing gender equality aid. This study also contributes to providing policy implications to improve the gender aid practices in line with what global society and feminist activists originally intended by the gender mainstreaming and the twin-track approach. However, there are some limitations in this research to be addressed in the future research: Causal relationships need to be further explored and explained about the variables whose impacts are found to be different from the hypotheses. Also, lack of full explanations on the size of variables’ impacts and some inconsistencies found in the results need to be further explored in the future research.;본 연구는 국제사회의 성평등 원조 노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이론적 모형을 구성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성평등은 개발협력의 주요한 원칙이자 규범으로서, OECD 개발원조위원회(Development Assistance Committee, DAC)를 중심으로 성평등 원조의 확대에 대한 논의와 정책적 노력도 꾸준히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도의적이고 정책적인 책무성을 넘어서 실제 성평등 원조의 이행을 결정하는 데 작동하는 요인에 대한 분석과 이에 대한 이론적 논의는 충분히 발전하지 못하였다. 향후 성평등 원조와 관련 정책을 보다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성평등 원조의 실제와 그 이행 매커니즘에 대한 이해가 선제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이러한 학문적 공백은 아쉬운 부분으로 남아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성평등 원조를 둘러싼 이론적 검토를 바탕으로 성평등 원조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이론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기반으로 성평등 원조 결정요인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성평등 원조에 대한 이론과 실천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성평등 원조를 둘러싼 국제사회 논의와 국제관계이론, 여성주의 국제관계이론을 바탕으로 성평등 원조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실증분석 모형을 제시하고, 분석함으로써 성평등 원조를 그동안 추동해온 실제 기제를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젠더마커(gender marker) 2점과 1점으로 표기된 성평등 원조 약정액(commitments)으로, OECD 개발원조위원회의 23개 회원국이 2010년부터 2019년까지 145개국에 수원국을 약정한 금액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종속변수인 성평등 원조는 패널자료이자, 0보다 작은 음(-)의 값을 가질 수 없는 검열된 형태의 자료이기 때문에 이러한 특성을 반영하여 패널토빗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론적 배경으로서 성평등 원조에 대한 개념적 논의와 국제관계이론, 경험적 선행문헌을 검토하였고, 그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우선, 성평등 원조와 관련해 젠더와 개발에 대한 국제적 논의는 여성주의 운동에 힘입어 발전해 왔으며, 국제사회의 성평등 원조 정책은 성주류화 전략에 기반한 이중전략 접근(twin-track approach)을 기본적인 접근방식으로 채택해왔다. OECD 개발원조위원회는 성주류화와 이중전략을 기반으로 성평등과 여성지원을 직접목적으로 한 젠더마커 2점(principal) 사업과 성평등 관점을 간접적으로 반영한 젠더마커 1점(significant) 사업의 균형있는 발전을 도모하였으나, 실제 이행면에서는 불균형한 성장 등의 한계가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성평등 원조의 실제 이행기제에 대한 실증적 분석과 검토는 충분히 발전되지 못하여 아쉬운 학문적 공백으로 남아있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성평등 원조에 대한 종합적 이론 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성평등 원조의 실제 이행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이론적 배경으로서 원조를 둘러싼 국제관계이론의 확장과 여성주의 국제관계이론들을 검토하고, 성평등 원조에 대한 종합적 이론모형을 제시하였다. 우선, 국제관계이론의 주류인 합리주의적 국제관계이론에서는 기본적으로 공여국의 이해와 수원국의 수요, 즉, 상호호혜주의 모형에 기반하여 원조를 가장 간명하게 설명하고 있다. 반면, 자유주의 이론과 대안적 국제관계이론(세계정체이론, 구성주의, 비판이론)에 의해 원조에 대한 설명은 보다 확장되어 보다 풍부해질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이론적 확장을 통해 공여국 내에서 사회적으로 합의된 가치, 국제사회 규범의 영향력과 동형화, 비국가행위자들의 역할에까지 원조에 대한 이론적 논의가 확장될 수 있다. 한편, 여성주의 국제관계이론을 통해 여성주의 관점을 성평등 원조 모형에 통합할 수 있다. 여성주의 관점이 성평등 원조 이론모형에 통합될 때, 상호호혜주의 모형에 여성주의 관점의 변수로 수원국의 성평등 수요가 고려될 수 있었고, 자유주의적 관점에서 공여국의 성평등 가치가 해외 성평등 원조로도 투영될 수 있다는 점이 고려될 수 있었다. 여성주의 관점이 통합된 대안적 이론들은 여기에서 더 나아가 성평등 원조의 국제적 동형화 현상과 성평등 사회운동의 영향력에 대한 설명을 추가할 수 있도록 해주고 있다. 이처럼 성평등 원조에 대한 다양한 설명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원조결정요인에 대한 실증분석을 시도한 여러 문헌들을 검토해볼 때, 성평등 원조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시도한 문헌은 찾아볼 수 없었고, 일반적인 원조 결정요인을 분석한 경험적 선행문헌들 역시 대안적 이론들과 여성주의 관점이 허락하는 많은 영향요인들이 기존의 선행문헌에서는 충분히 다루어지지 못한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다양한 국제관계이론과 여성주의 관점에서 확장될 수 있는 성평등 원조에 대한 종합적인 이론모형을 바탕으로 실증연구를 설계하였다. 첫째, 가장 기본적인 형태의 상호호혜주의 모형에 수원국의 성평등 수요를 포함하였다. 두 번째로, 자유주의 관점에서 성평등 원조에 대한 설명을 보다 확장하여 공여국의 성평등 가치에 대한 변수들(공여국 여성대표성과 가족관련 정부지출 비중, 수원국의 정치적 권리와 시민적 자유 수준에 대한 고려)을 포함하였다. 마지막으로 대안적 이론과 진보적인 여성주의 이론을 바탕으로 국제적 성평등 원조 동형화 현상과 성평등 사회운동의 영향력(국제여성NGO)을 변수화 하여 모형 안에 포함하였다. 이러한 분석모형을 바탕으로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여국들은 성평등 원조 지원 시, 공여국의 이해보다 수원국의 성평등 및 개발 수요를 더 고려함으로써 이타적인 동기에 의해 성평등 원조를 공여하는 경향이 존재한다. 다만, 수원국의 성평등 수요에 대한 고려는 젠더마커 1점(significant) 모형에 비해 젠더마커 2점(principal) 모형에서 더 일관되게 나타나고 있는 한편, 수원국의 일반적 개발수요(수원국 1인당 GDP)에 대해서는 두 유형의 성평등 원조 모두 유의미한 영향력이 일관되게 나타나고 있었다. 둘째, 공여국의 여성대표성이 높을수록 OECD 공여국들은 더 많은 성평등 원조를 지원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공여국의 여성대표성이 공여국 내에서 합의된 성평등 가치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공여국의 성평등 가치가 해외로의 성평등 원조 지원으로 투영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OECD 공여국들에게는 성평등 원조에 대해 국제적 성평등 원조 경향에 따라가는 동형화 압박이 존재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그동안 OECD 개발원조위원회와 국제사회 차원에서 이루어져온 규범적 그리고 정책적 차원의 노력이 작동하고 있다는 것을 반증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공여국의 가족관련 정부지출 비중과 여성단체의 영향력이 젠더마커 2점(principal)과 1점(significant) 원조에서 반대 방향으로 작동하고 있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가 시사하는 바는, 젠더마커 2점(principal) 원조와 1점(significant) 원조가 그 내용이나 가치 면에서 다르고 양측 간 선택의 긴장이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두 유형의 성평등 원조에 영향을 미치는 정부와 여성단체의 고려가 상반될 수 있다는 점 역시 시사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할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그동안 국제적 여성운동이 추동해온 국제사회에서 성평등의 규범화 노력은 긍정적으로 평가될 수 있으며, 지속·발전될 필요가 있다. 둘째, 성주류화와 그에 기반한 이중전략 접근의 본래의 취지를 살릴 수 있는 방향으로 성평등 원조를 질적으로도 성장시키기 위해 국제여성NGO이라는 행위자의 역할에 보다 주목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성평등 원조와 수원국의 성평등 수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데이터 구축을 지속·발전시켜야 할 것으로 보인다. 본 논문과 같이 성평등 원조가 실제로 어떠한 동인에 의해 영향을 받고있는지에 대한 실증적 검토는 OECD 차원의 젠더마커 도입을 통한 성평등 원조에 대한 모니터링 노력과 여성주의 관점을 반영한 여러 통계(UNDP 성불평등지수, 여성국회의원 비율 등)가 존재했기에 가능했던 일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성평등 원조의 확대와 이를 위한 모니터링을 위해서는 여성주의에 입각한 데이터의 축적과 개발에 대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요청된다고 본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는 다음과 같다. 우선, 이론적 측면에서, 본 논문은 여성주의적 관점과 주류 합리주의적 국제관계이론 간 간극을 극복하여 성평등 원조에 대한 이론적 모형을 확장시키고, 성평등 원조 작동기제에 대한 풍부한 설명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기여가 있다고 생각된다. 실천적으로는 성평등 원조의 두 유형, 젠더마커 2점(principal)과 1점(significant) 원조를 추동하는 공통적 기제와 차이가 나는 기제를 발견하여 성주류화와 이중전략의 취지에 발 맞추어 성평등 원조의 양적·질적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 데에 그 기여가 있다고 생각된다. 다만, 본 연구의 한계로서, 가설과 달라진 분석결과에 대한 인과관계와 주요 설명변수들의 영향력의 방향성 외에 영향력의 크기를 충분히 설명하지 못한 점, 모형별 분석결과의 차이에 대한 설명이 이루어지지 못한 점 등은 향후 후속 연구를 통해 보완·발전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행정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