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07 Download: 0

취업모의 주도적 성격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Title
취업모의 주도적 성격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Employed Mother’s Proactive Personality on Parenting Behavior : The Serial Mediating Effect of Workfamily Conflict and Marital Satisfaction
Authors
이소정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아동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운경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취업모의 주도적 성격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과 일-가정갈등과 결혼만족도를 통한 간접적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만 3~5세 유아기 자녀를 둔 전일제 직장에 종사하는 어머니 202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취업모의 주도적 성격은 긍정적 양육행동에 정적으로 유의한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취업모의 주도적 성격이 부정적 양육행동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취업모의 주도적 성격이 일-가정갈등을 매개로 긍정적 양육행동과 부정적 양육행동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취업모의 주도적 성격이 결혼만족도를 매개로 긍정적 양육행동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취업모의 주도적 성격이 결혼만족도를 매개로 부정적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취업모의 주도적 성격이 긍정적 양육행동과 부정적 양육행동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에서 일-가정갈등과 결혼만족도의 순차적인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하면, 취업모의 주도적 성격은 긍정적 양육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취업모의 주도적 성격은 결혼만족도를 통하여 긍정적 양육행동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취업모의 긍정적 양육행동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취업모의 주도적 성격 수준에 주목하여 주도적 성격의 긍정적 특성을 발휘할 수 있는 방안을 고려하고, 그 과정에서 주도적 성격이 조화로운 결혼 생활을 영위하도록 하여 긍정적 양육행동을 촉진한다는 점에 주목하여 취업모의 결혼 관계를 함께 살펴보며 결혼 생활에 대하여 긍정적 태도를 갖고 배우자와 협력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기 자녀를 둔 취업모의 긍정적 양육행동을 촉진하는 요인으로써 취업모의 주도적 성격의 역할에 주목할 필요성을 제시하며, 향후 취업모 대상의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적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among employed mother’s proactive personality, work-family conflict, marital satisfaction, and parenting behavior and to examine the serial mediating effect of employed mother’s work-family conflict and marital satisfaction between mother’s proactive personality and parenting behavior. A total of 202 full-time employed mothers with a child between the ages 3 and 5 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employed mother’s proactive personality had a direct effect on mother’s positive parenting behavior. But the direct effect of employed mother’s proactive personality on mother’s negative parenting behavior was not significant. Second, the indirect effect of employed mother’s proactive personality on mother’s positive and negative parenting behavior through mother’s workfamily conflict was not significant. Third, the indirect effect of employed mother’s proactive personality on mother’s positive parenting behavior through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was significant, but the indirect effect of employed mother’s proactive personality on mother’s negative parenting behavior through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was not significant. Finally, the serial mediating effect of employed mother’s proactive personality on mother’s positive and negative parenting behavior through mother’s work-family conflict and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was not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needs to focus on the role of the proactive personality of employed mothers as a factor that promotes mother’s positive parenting behavior and are expected to be th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parent education programs for positive parenting behavior of employed moth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