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93 Download: 0

참여형 공공미술과 공동체 형성에 관한 연구

Title
참여형 공공미술과 공동체 형성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Research on Participatory Public Art and Community Formation : V.Turner's perspective on Liminality and Communitas
Authors
김민선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일호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effectiveness of the social functions of the participatory public art, from an interdologic point of view. For this reason, we will elucidate the meaning of the community formed by participatory public art as a concept of the liminality and communitas of the cultural anthropologist Victor Turner. Victor Turner focused on theatricality in modern culture and in daliy life, and examined the dramatic opportunity to lead the change of social communities in the modern age where the magical effect of ritual has disappeared. He defined the spatial state and community that occur in this "dramatic” situation as the concept of liminality and communitas, respectively. Liminal state at the transitional stage of the rites of passage that are taken when they experience changes in the state and status in the method specified by the culture they belong to. The subject of the rituals who participated in the transitional stage is to have a conversion experience, that is, the local community, while placing social and cultural status and attributes in a socially intermediate state. Turner believes that this phenomenon may occur in the overall areas of society and culture, and expands the meaning of liminality beyond the context of religious and secular rituals to social, political and cultural context. Liminality means that the power of the established order means that it is not valid, but it means that the spatial space is temporarily released from the social and economic regime and moral norms, and departured behavior and accidents from the social style. Is an area that occurs. People in these areas will establish a practical human interaction through equal and whole personal encounters away from the social structure they belong to. This study will understand the concepts of liminality and communitas as a cultural interpretation method theory based on the following research that applies Turner's book and its theory to aesthetics, and analyze the artistic practice of participatory public art and communities. In the 1990s, after the concept of New genre public art was introduced, public arts developed by focusing on participation,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As a joint producer of the work, the audience discussed the social issues directly related to their lives, participated in the process of collaborating, and focused on the fact that the work was substantially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community. However, it was pointed out that the collaboration was at the heart of the work, and the consistent labor eras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community members and separated into one common identity. In addition, a critical perspective was proposed that the community could used as a political and administrative tool to enhance existing social structure instead of transmitting the expression of the community. In contrast, this paper holding fast to critical perspectives of participatory public art, will apply to the artistic significance of participatory public art as a theoretical framework, applying the liminality and community concept as a theoretical framework. Turner saw the essence of liminality as being free to play with the various factors that make up culture. This play can subvert the mainstream system and give rise to a variety of alternative models, symbols and paradigms. Turner explains that art can deconstruct structures and recombines them in creative ways, reflecting institutionalized structures as forms of play that occur in liminality. In this context, researchers will focus on the theatrical production and playfulness of participatory public art, analyze the process of forming liminality and communitas, and focus on the experience of transformation experienced by participants. The works of Suzanne Lacy and Amanda Heng that I saw in this research are space-time directed by the authors, inducing women's voluntary participation through "chattering," which is a means of articulation and play for women. This is a work that attempts to form a community that becomes the subject of change. In this way, this research attempts to discuss the possibilities of participatory public art from a new perspective, using the anthropological concepts of liminality and communitas as concepts for analyzing aesthetic experience.;본 연구의 목적은 상호학제적 관점으로 동시대 참여형 공공미술이 가진 사회적 기능의 유효성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화인류학자 빅터 터너의 리미널리티와 커뮤니타스 개념으로 참여형 공공미술에서 형성되는 공동체의 의미를 규명한다. 빅터 터너는 현대문화와 일상에 내재한 연극성에 주목하여, 제의의 마법 같은 효력이 사라진 현대에서 사회 공동체의 변화를 주도하는 극적인 계기를 고찰하였다. 그는 이 ‘극적인’ 상황에서 발생하는 시공간적 상태와 공동체를 각각 리미널리티와 커뮤니타스 개념으로 정의하였다. 리미널리티는 개인이나 집단이, 그들이 속한 문화가 규정한 방식으로 상태나 지위의 변화를 경험할 때 연행되는 제의인 통과의례의 전이 단계에 기원한다. 전이 단계에 참여한 의례의 주체들은 사회적·문화적 지위나 속성을 거의 지니지 않는 사회적 중간상태에 놓이면서 변환의 경험, 즉 문지방 경험을 하게 된다. 터너는 이러한 현상이 사회나 문화의 전반적인 영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보았고, 리미널리티의 의미를 종교적·세속적 의례의 맥락을 넘어 사회적·정치적·문화적 맥락으로 확장하였다. 리미널리티는 기성 질서의 힘이 유효하지 않아 일상적인 행위 양식에서 벗어나거나, 사회·경제 체제와 도덕적 규범에서 일시적으로 해방되는 시공간의 상태를 뜻하며, 사회적 양식이라기보다 행위와 사고가 발생하는 영역이다. 이러한 영역에 위치한 사람들은 그들이 속한 사회 구조에서 벗어나 평등하고 전인격적인 만남을 통해 실존적인 인간의 상호관계를 확립하는데, 터너는 여기서 형성된 탈구조적 공동체를 커뮤니타스라 정의하였다. 본 연구는 터너의 저서와 그의 이론을 미적 경험에 적용한 후속 연구들을 토대로 문화해석방법론으로서 리미널리티와 커뮤니타스 개념을 이해하고, 참여형 공공미술의 예술적 실천과 공동체를 분석한다. 1990년대 새로운 장르 공공미술 개념이 도입되면서 공공미술은 참여와 소통 그리고 협업을 중심으로 발전하였다. 관객들은 작품의 공동생산자로서 자신의 삶과 직결되는 사회적 쟁점에 관하여 대화하고 협업하는 과정에 참여하였고, 작품은 실질적으로 공동체의 삶의 질을 높이는 데 지향점을 두었다. 그러나 협업이 작품의 핵심에 위치하면서 일관된 노동이 공동체의 구성원들이 가지는 유의미한 차이를 지우고 하나의 공통적인 정체성으로 고립시킨다는 점이 위험요소로 지목되었다. 또한 협업이 공동체의 표현을 매개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정치적이고 행정적인 도구로서 공동체를 이용하고 기존의 사회 구조를 강화할 수 있다는 비판적인 시각이 제기되었다. 이에 대해서 본 논문은 참여형 공공미술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견지하고 리미널리티와 커뮤니타스 개념을 이론적 틀로 적용하여 참여형 공공미술이 갖는 예술적 의의를 모색할 수 있는 관점의 전환을 시도한다. 터너는 리미널리티의 본질이 문화를 구성하는 여러 요인을 가지고 자유롭게 놀이할 수 있는 상태에 있다고 본다. 이 놀이를 통해 주류 체계를 전복하고 다양한 대안적인 모델, 상징, 패러다임들을 생성할 수 있다. 터너는 예술이 리미널리티에서 발생하는 놀이의 표현 양식으로서 제도화된 구조를 반영하면서도 구조를 해체하고 독창적인 방식으로 재결합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연구자는 참여형 공공미술의 연극적 연출과 놀이성에 주목하여 리미널리티와 커뮤니타스가 형성되는 과정을 분석하고 참여자들이 겪는 변환의 경험에 주목한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수잔 레이시와 아만다 헹의 작품은 예술가가 연출한 시공간에서 여성의 발화 수단이자 놀이인 ‘수다’를 매개로 개인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사회적 변화의 주체가 되는 공동체를 형성하고자 한 작품이다. 이처럼 본 연구는 인류학적 개념인 리미널리티와 커뮤니타스를 미적 경험을 분석하기 위한 개념으로 전용하여 참여형 공공미술이 가지는 가능성에 대해 새로운 관점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