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30 Download: 0

C.G.융의 분석심리학 관점에서 본 회화의 개성화 연구

Title
C.G.융의 분석심리학 관점에서 본 회화의 개성화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Individualization Found in the Paintings from the Perspective of Analytical Psychology of C. G. Jung
Authors
이영재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박일호
Abstract
This study began as an interest to see how the inner unconsciousness of an artist is reflected and represented as symbols in his or her work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20th-century paintings were chosen and analyzed through the analytical psychology of C. G. Jung. The purpose and meaning of this study lies in finding out how the self-realization process of artists is reflected on their works as symbols. From the perspective of analytical psychology, an artwork is defined as the product of creative activities by a person, a manifestation as symbols of the archetypes composing his or her collective unconsciousness. These basic symbols, as the art of the period, whip up the deepest layers of unconsciousness and reflect the lives of the people in a country. When the images symbolizing the archetypes common in all humans are represented as artistic materials through mediums, we can call the representation an art. In some respect, artists themselves have traditionally been marginalized as “the others” when their works are appreciated or criticized. Now, it’s high time that efforts were made to work on how the psychological depths of artists are expressed through their works. It seems necessary to broaden the scholarly horizon by shifting our focus from appreciators’ viewpoint to artists’.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 process of artistic individualization can be observed through artworks, this study analyzes the formative attempts and contents of artworks in accordance with Jung’s theory. Furthermore, it tries to find artistic behaviors in artists by exploring their lives and makes a bold attempt at deep interpretation of the unconscious worlds of artists who sought their true selves. In doing so, it suggests a theory based on Jung’s analytic psychology as a new way to understand and criticize an artist. This study is focused on paintings by the contemporary artists of Jung’s time, and is composed of two parts. First, a consideration is made on the individualization process of Jung’s analytic psychology, collective unconsciousness and archetype, and the symbol theory. Second, based on these theories, the symbols of unconsciousness, which are abundantly found in paintings, are explored on when and how they appear in the course of such individualization. The samples for this study are from the artists and their works that belong to the period of from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to the 1060s. There is some scope for applying Jung’s analytic psychology, in that various artistic attempts were made during the unique period when artists had to go through two world wars. The analysis, however, is restricted to the works of expressionists, symbolists and surrealists among diverse art trends, because the author of this study believes that archetypes in artists’ unconsciousness are well represented in those works as symbol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that artists reveal their inner worlds, namely archetypal images, through their works. Such conclusion leads to the finding that doing art can be defined as recognizing our unconsciousness by making continuous efforts to reflect on ourselves.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suggests a new way of appreciating artworks, based on the analysis derived from Jung’s analytical psychology. Further studies will include more various art trends and artists, and develop methodologies to observe their inner worlds in a new way from their subjective perspectives.;본 연구는 작가들 내면의 무의식이 어떻게 작품 창작에 반영되는가, 그리고 그 결과물인 작품이 상징을 통해 어떤 방식으로 드러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는 심리학적·예술비평적 관심에서 출발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20세기 회화를 융의 분석심리학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예술가들의 자기실현 과정이 상징을 통해 회화에 어떻게 반영되고 드러나는지를 보는 데 목적과 의의를 둔다. 인간에게 공통으로 존재하는 원형의 원초적 이미지들이 예술적 재료가 되어 매체를 통해 표현될 때 이것을 예술이라 부를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미술 작품에 대한 감상이나 비평에서 작가 자신은 타자화되어 작품에서 소외된 측면이 있었다. 이제는 작가의 심층적 내면이 미술 작품에 어떻게 드러나는지가 논의되고 이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때이다. 작품 해설의 시점을 감상자에서 작가로 옮겨서 그 학문적 층위가 다양화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본 논문은 미술 작품에 작가의 개성화 과정이 나타난다는 가정에서 융의 이론을 분석 틀로 활용하여 작품의 조형적 시도와 내용을 분석하고 해석하였다. 나아가 작가의 생애를 통해 작가적 행동과의 연결고리를 살펴보면서, ‘자기(Self)’를 찾아가는 작가의 무의식의 세계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을 하였다. 본 논문에서 연구자는 작가를 이해하고 비평하는 새로운 방법으로 융의 분석심리학 이론을 제안하고자 한다. 무의식의 내용을 깨달아가는 단계에 일정한 공식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마음에서 원형들의 의식화가 이루어져야 전체성이 가능해진다. 그 첫 단계로 자아와 가장 근접해 있는 그림자를 의식하고 두 번째는, 외적 인격인 페르소나와 나를 구별하고 이를 통해 내적 인격인 아니마·아니무스와 마주하는 단계를 지나 마지막으로, 자기 원형의 단계와 관련하여 전체 정신인 자기를 인식하여 원래 내가 누구였는지를 성찰한다. 이로써 인간은 태어나는 순간부터 우리에게 주어져 있던 인간 본래의 원형적 모습, 즉 전체성(totality)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의식 단계에서부터 전체성에 이르는 모든 과정을 한 작가의 일생을 통해 분석하는 것도 의미 있지만, 이 연구에서는 각 단계에 따라 단계별 원형이 가장 잘 드러나는 작가와 작품을 배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융과 동시대를 살았던 작가들의 회화를 중점으로 다루었으며, 구체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분석심리학의 개성화 이론, 집단 무의식과 원형, 그리고 상징 이론을 고찰하였다. 이 이론들을 바탕으로 회화 안에서 풍부하게 드러나는 무의식의 상징들이 개성화 중에서 어떤 과정이며 원형인지를 탐구하였다. 시대적으로 표본 대상들은 20세기를 시작하는 시점에서부터 1960년대까지의 작가와 그들의 회화 작품이다. 1, 2차 세계대전을 겪은 시대적 상황과 맞물려 특별히 이 시기에 다양한 예술적 시험과 방법이 시도되고 전개되었음을 볼 때, 융의 분석심리학을 분석 틀로 한 작품 해석의 여지는 충분하다고 할 수 있다. 매우 다양한 미술사조가 혼재된 가운데에서 표현주의와 상징주의, 초현실주의 작가들로 분석 대상을 제한한 것은, 이들의 작품에서 무의식의 원형이 상징으로 잘 드러나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작가들은 자신의 작품을 통해 자신의 내면세계, 원형상을 세상에 드러내고 있다는 것이다. 미술 작업이란 수행을 통해 작가는 자신의 무의식을 끊임없이 의식화하고 이는 결국 자기(Self)를 향해 나가는 것임을 발견하였다. 본 논문은 융의 분석심리학 이론으로 작가들의 작품을 분석함으로써, 미술을 보는 새로운 비평과 감상 방법론을 제안한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이 연구의 대상은 초현실주의 상징주의 표현주의 작품으로 한정했지만, 앞으로 동서양 구분 없이 다양한 사조와 광범위한 작가들을 탐색하여, 작가 중심의 관점에서 그들의 내면을 새로운 시각으로 분석하고 작품을 해석할 수 있는 방법론으로 연구를 전개 시켜 나갈 예정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