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04 Download: 0

포스트모던 그림책의 미적 경험에 관한 연구

Title
포스트모던 그림책의 미적 경험에 관한 연구
Authors
이지현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박일호
Abstract
본 논문은 포스트모던 그림책의 독자 역할과 미적 경험에 관한 고찰을 목표로 한다. 포스트모더니즘 예술에서 수용자의 역할이 주목받으면서 수용이론이 적용되듯이 포스트모던 그림책에서도 독자의 참여와 그로 인한 텍스트의 의미 형성이 중요해짐에 따라 수용이론의 적용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수용 개념을 적용하여 포스트모던 그림책의 독자 수용과 그에 따른 미적 경험과 의의를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문학과 미술에 나타난 포스트모더니즘 예술의 특징을 살펴보면, 불확정성, 파편화, 탈경계, 탈중심, 상호텍스트성, 대중화, 행위와 참여가 나타난다. 이와 더불어 문학에서 바르트가 저자의 죽음과 의미 생산의 주체로서 독자의 탄생을 알리고 텍스트와 독자의 개념이 등장한다. 야우스와 이저는 수용이론을 주장하며 창조적인 텍스트 수용자로서 독자의 역할을 강조한다. 특히 이저는 텍스트에 존재하는 ‘빈자리(Gaps)’ 개념을 제시하고, 독자가 빈자리를 채우며 텍스트의 의미를 재생산한다고 한다. 또한, 미디어 수용자 이론도 수용자가 디지털 미디어 텍스트의 의미를 재생산하며 능동적인 해석을 강조한다. 포스트모던 그림책은 불확정성, 파편화, 탈정전화, 이종결합, 상호텍스트성 외에도 다양한 디자인과 레이아웃, 인쇄기법이 적용된다. 또한, 거대서사를 탈피한 주제가 다루어지며, 독자층은 어린이에서 성인 독자로 확대되어 각자의 경험, 지식, 정보 등을 활용하여 빈자리를 채우고 의미를 형성한다. 포스트모던 그림책은 크게 종이 그림책과 재매개로써 증강 현실 그림책으로 구성되는데 전자는 글과 그림 텍스트, 표지, 레이아웃 등의 곁텍스트로 구성된 아이코노텍스트를 통해 이야기를 전개한다. 후자는 스마트기기의 애플리케이션 터치를 통해 영상, 음성, 음악, 음향 등의 텍스트로 확장된 이야기를 전개한다. 이들 텍스트는 종이 그림책과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상승효과를 창출하는 총체적 아이코노텍스트로서 기능한다. 총체적 아이코노텍스트로서 그림책은 허구와 실재, 선행 텍스트와 후속 텍스트, 종이 매체와 디지털 미디어의 상호텍스트성으로 인해 빈자리가 더욱 활성화된다. 포스트모던 그림책의 대표적인 빈자리 장치는 패러디, 메타픽션, 재매개된 증강 현실이다. 포스트모던 그림책의 미적 경험은 복합감각에 근거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독자는 능동적인 텍스트 의미 형성에 참여하여 빈자리를 채우고 텍스트를 재창조하게 된다. 독자는 종이 그림책에서 글, 그림, 곁텍스트를 통해 시각적인 감각과 소극적인 개념의 촉각적인 감각의 이중 감각을 경험한다. 종이 그림책이 최첨단 디지털 기술에 의해 재매개된 증강 현실 그림책에서는 글, 그림, 영상, 음성, 음악, 음향 텍스트 등이 활성화된다. 이로 인해 독자는 적극적인 개념의 시각, 촉각, 청각 등의 복합적인 감각을 공유하는 총체로서의 아이코노텍스트를 통해 미적 경험을 하게 된다. 이상의 연구에서 포스트모던 그림책의 의미와 미적인 경험은 독자의 수용에 따른 복합감각과 아이코노텍스트를 중심으로 이루어짐을 확인하였다. 사회가 더욱 공감각적인 경험을 추구하고 디지털화되어가면서 포스트모던 그림책도 복합감각 기반의 아이코노텍스트의 작용이 더욱 활성화되고 최첨단 디지털 미디어 기술을 활용한 그림책이 활발하게 출판될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추세와 맞물려 독자의 능동적인 역할과 미적 경험을 촉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consider the role of postmodern picturebook readers and their aesthetic experiences. As the role of art receivers attracted attention in the world of postmodern art, the reception theory began to be applied to various analyses. Therefore, the theory can also be applied to the study of postmodern picturebooks: readers’ participation and their ability to formulate the meanings of texts are highly required. In this study, by applying the said theory, the author attempts to shed light on the readers’ reception of the books, their aesthetic experiences and the implication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author summed up postmodern features in literature and art as indeterminacy, fragmentation, borderlessness, decentralization, intertextuality, popularization, act and participation. To give historical background on postmodernism, in literature, Roland Barthes signaled “the death of the author” and the birth of the reader as an active agent producing meanings, and then the concepts of text and reader appeared. Hans Robert Jauß and Wolfgang Iser proposed the reception theory and emphasized the role of readers as creative text receivers. In particular, Iser suggested the concept of “gaps” in text, according to which readers reproduce text meanings by filling in the gaps. Even in the media reception theory, the receivers are said to reproduce the meanings of digital media texts, and active interpretation of the texts is emphasized. Along with the main characteristics of postmodernism (such as indeterminacy, fragmentation, decanonization, crossover and intertextuality), various designs, layouts and printing methods are found in postmodern picturebooks. In addition, master narratives are not used in the books, and the audience includes not only children but also adults who, by using their experiences, knowledge, information, etc., willingly fill in the “gaps” and decipher the meanings. A postmodern picturebook consists of a paper book and an augmented reality picture book as the second medium. The former develops its story through iconotext composed of text, image and paratexts (such as cover and layout), while the latter through expanded texts (such as moving image, voice, music and sound) experienced from touching the screen of a smart device. Expanded texts function as an overall iconotext for establishing an inseparable relationship with the paper book and creating synergy effects. In a postmodern picturebook as an overall iconotext, gaps are more activated due to the existence of intertextuality between fiction and reality, between preceding and subsequent text, and between paper and digital medium. And, parody, metafiction and augmented reality as the second medium are often found to be the most representative devices acting as gaps. Aesthetic experiences coming from reading a postmodern picturebook are rooted in the enjoyment of a composite sense. Its reader actively participates in working out the meaning of the text to fill in the “gaps” and goes so far as to recreate the text. In this process, he or she experiences a dual sense composed of the visual sense, coming from the paper book via world text, picture text and paratext, and the sense of touch as a passive concept. Also, audio functions (such as voice, music and sound text) are activated in an AR picture book, because the state-of-the-art digital technology, as the second medium, is employed in printing the book. This combinatorial effect gives the reader aesthetic experiences through the iconotext as a whole that conveys a composite sense—a mixture of visual sense, sense of touch, auditory sense, etc. To sum up, the meaning and aesthetic experience of a postmodern picturebook is centered around iconotext and a composite sense coming from the reader’s reception. It is expected that picturebooks will develop toward closer combination of iconotexts based on composite senses, as the society pursues synesthetic experiences and becomes digitalized. More and more picturebooks will adopt cutting-edge digital media technology, and the role of image texts will be strengthened. The transition will advance the day when postmodern picturebooks are treated as an independent genre, not a sub-category of literature. This study, in step with the trend, is expected to help promote the active role of readers and their aesthetic experienc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