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69 Download: 0

미완의 유년

Title
미완의 유년
Other Titles
Unfinished Childhood
Authors
박은영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서은애
Abstract
This study is an exploration of the fragmentary images of my childhood that emerge at unexpected moments after staying under the surface of my mind, and as such, it is a process of accepting those image not as wounds but just as things that exist there as they are. There is no longer any need to try to give meaning to what they are trying to say to me. Looking into one's childhood is the time to walk backwards because I discover that things I thought I had already lost are still there. Nostalgia exists not in the past but in the present in the raindrops by the window on a summer day, in a concrete building with peeling paint, in an old playground, or in the back of someone passing by. To be sure, what is ‘unfinished' does not presuppose completion, but accepts a vacuum that will continue in the future. I exist in the present as a result of my experiences and choices in the past. And the experiences and emotions I went through in the process are not lost, but sink into the unconsciousness to show themselves from time to time. In the early stage of my work, I looked back on my life and thought that I was like a person who had lost something at some point. The emptiness of an unknown cause piled up like a question for which an answer couldnot be expected. Attempts to find the source of the loss in painting naturally led me to interest in the unconscious. There are moments of déjà vu that arises out of nowhere. When I smell the fresh Sunday morning air mixed with the smell of the mountains, when I see a concrete building with only the skeleton remaining in the clearing, when I see the shadow at my feet that gets longer as the sun goes down—these moments take me to a certain point in my childhood. Following the unconsciously collected and instinctively imprinted images of my childhood, which are dim in my memory, emotions and memories of the time come to mind very vividly. But at times, I encounter some missing parts or things I have intentionally avoided. Finding the ambiguous points where the objects and the inner emotions that correspond to them collide and combine on a single canvas through the medium of specific types of subject-matters that remind me of childhood emotions that have already passed is an act of chasing traces of childhood on the surface, but it is also a process of exploration to understand myself. Accordingly, my childhood is not an immature and incomplete past that is not identified; instead, it changes from within me as a repository of expressions that gathers and collects images. The discontinuous pieces pulled up from the inside are embodied in drawings, photos, and writings, combine with each other, or become clues themselves to create other pieces. Painting is like groping in unfathomable water. It is to touch things that were once so clear but now have become obscured, and to measure their shapes, while looking at childhood from an external point of view, tracing back emotions and experiences such as sensitivity, insensitivity, innocence, and stupidity just before entering adolescence leaving childhood behind. The discovery of the present ‘I’ that has continued since childhood in the unspecified forms of childhood carefully captured in the depth of the unconscious, starts with giving names and stories to the moments of my life that were incomprehensible at that time, changes to accepting me the way I am, and leads to the will to continue the blank of the childhood that was not finished into the unknown realm of the future. In the process of collecting and combining fragmentary images from my childhood, this study has provided me with the opportunity to observe how they interact with each other and materialize in my paintings, and how the meaning of the act of capturing them changes in me, and in the process, how I get to know myself in the present. Chapter Ⅰ of the dissertation outlines the motivation for my work and the process of its changes. Chapter II explores the process in which the emotions and attitudes I feel while looking at my childhood change and become the basis of my work. Chapter III deals with the process of reconstructing the images and emotions I discovered in my own way and my works being materialized while going back to my ambiguous childhood emotions. The process of attempting to reconstruct the collected memories in a single picture is discussed under the heading of ‘Overlapping Shapes’; the process of concentrating on collecting the fragments that came to mind without assigning meaning to them is discussed under the heading of ‘Floating Shapes’. Lastly, Chapter IV divides my work into three major categories and discusses the changes in the representation method and materials for each work. Attempts to grasp the unidentified signs of the unconscious will continue throughout my life. I will be able to discover further meaningful indicators while encountering new aspects in the process of interpreting the collections I gather while crossing the boundary between consciousness and the unconscious into my own artistic signs. Through this, I hope to broaden and deepen my work further.;본 연구는 마음 속 수면 아래 머물다 예기치 못한 순간 떠오르는 유년의 단상들을 붙잡으며 이것이 본인에게 상흔이 아닌 그저 그 자리에 존재하는 것으로서 받아들여지는 과정이었다. 더 이상 그것들이 본인에게 어떤 것을 말하고자 하는지 구태여 의미를 부여하려 할 이유는 없다. 유년을 들여다보는 것은 뒤를 보며 걷는 시간이다. 이미 잃어버렸다고 생각했던 것들은 여전히 그 자리에 머물고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여름날 창가의 빗방울에서, 칠 벗겨진 콘크리트 건물에서, 낡은 놀이터에서, 언뜻 스친 타인의 뒷모습에서 향수는 과거가 아닌 현재 속에 존재한다. ‘미완’은 완성되기를 전제하는 것이 아니라 앞으로도 계속 이어질 공백을 받아들이는 것이다. 본인은 과거의 경험과 선택의 결과로 현재에 존재한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의 경험과 감정은 잃어버린 것이 아니라 무의식의 수면 아래에 가라앉은 것이 되어 제 모양을 드러내곤 한다. 작업의 초기에 본인은 자신을 돌아보며 어느 시점으로부터 무언가를 잃어버린 사람 같다고 생각해 왔다. 원인을 알 수 없는 공허감은 답이 없는 질문처럼 답답하게 쌓여갔다. 그림 속에서 상실의 근원을 찾으려는 시도는 자연스럽게 무의식에 관한 관심으로 이어졌다. 어느 순간에 불현듯 떠오르는 기시감들이 있다. 어떤 것은 일요일 오전의 산 냄새 섞인 맑은 공기를 맡았을 때, 빈터에 뼈대만 남아있는 콘크리트 건물을 보았을 때, 해가 넘어가며 길어지는 발치의 그림자를 볼 때 그것들은 본인을 유년의 어느 지점으로 호출한다. 무의식적으로 수집한, 본능적으로 각인된 이미지를 따라 자신도 잘 기억이 나지 않는 유년기를 더듬어 가다 보면 아주 생생히 당시의 감정과 기억이 떠오르기도 하지만 유실된 부분, 또는 의도적으로 회피해온 것들과 마주하기도 한다. 현재의 시점으로 이미 지나온 유년을 당시의 감정을 떠올리게 하는 특정한 형태의 소재들을 매개로 하여 대상과 그에 감응하는 내면의 감정들이 한 화면에서 서로 부딪히고 결합하는 모호한 지점을 찾는 것은 표면적으로는 유년의 흔적을 쫓는 행위이지만 자신을 이해하고자 하는 탐구의 과정이다. 이에 따라 유년은 식별되지 않는 미성숙이자 미완결된 과거가 아닌, 이미지를 채집하고 수집하는 표현의 저장고로서 본인 내부로부터 변화한다. 내면으로부터 끌어올려진 불연속적인 조각들은 드로잉, 사진, 글 등으로 구현되어 서로 결합하기도 하고 그 스스로가 단서가 되어 또 다른 조각들을 만들어내기도 한다. 그림을 그리는 것은 보이지 않는 물속을 더듬는 것과 같다. 외부의 시점으로 유년기를 응시하며 아동기를 벗어나 청소년에 진입하기 직전의 예민, 둔감, 순수, 어리석음 등의 감정과 경험을 거슬러 올라가며 한때 너무나 선명했지만, 이제는 모호해져 버린 것들을 하나하나 만져보며 그 모양을 가늠하는 일이다. 무의식의 저변에서 유의 깊게 포착한 유년기의 불특정한 형상들 속에서 유년으로부터 이어지는 현재의‘나’를 발견하는 것은 이해할 수 없었던 본인의 모습에 이름과 이야기를 붙이는 것으로 시작하여 종래에는 존재하는 그대로를 받아들이는 것으로 변화하며 완결될 수 없는 유년의 공백을 미완의 영역으로 이어가고자 하는 의지로 이어진다. 본 연구는 본인이 유년의 단상들을 수집하고 결합하는 과정에서 이들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며 회화적으로 구체화하여가는지, 이를 붙잡는 행위가 본인에게 있어서 어떤 의미로 변화하는지 살펴보며 이를 통해 현재의 본인을 알아가는 시간이었다. 논문의Ⅰ장에서는 작업의 동기와 변화하는 흐름을 개괄적으로 서술한다. Ⅱ장에서는 본인이 유년기를 바라보며 느끼는 정서와 태도가 변화하며 작업의 근간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살펴보았고, Ⅲ장에서는 본인이 모호한 유년의 정서를 거슬러 올라가 발견한 이미지와 정서를 본인만의 방법으로 재구성하고, 작업이 구체화 되어가는 과정을 다룬다. 수집한 기억을 바탕으로 하나의 화면 속에 재구성하고자 시도했던 과정을‘겹쳐지는 형상’으로, 의미를 부여하지 않고 떠오른 단상들을 채집하는 것에 집중하는 과정을‘떠오르는 형상’으로 나누어 서술해 보았다. 끝으로 Ⅳ장에서는 본인의 작업을 크게 3가지의 분류로 나누어 그 표현방식과 재료의 변화를 작품별로 기술해 보았다. 식별되지 않는 무의식의 형상들을 붙잡으려는 시도는 앞으로 본인이 삶을 이어 나가는 내내 계속될 것이다. 의식과 무의식을 넘나드는 채집 과정을 통해 본인만의 조형 언어로 풀어내는 과정에서 새로운 일면들과 마주하며 또 다른 유의미한 지표를 발견할 수 있을 것으로 여기며, 작품 세계를 한층 더 심화시켜 나가고자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